본문 바로가기
📕ACSM/23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28.
반응형

✅ 주어진 정보

  • METs: 7
  • 체중: 80kg
  • 시간: 30분
  • 빈도: 3회/주
  • 산소소비량 1L당 5 kcal 소비

✅ 순(net) 산소 소비량(ml) 구하기


✅ ml → L 변환


✅ 에너지 소비량 (kcal) 계산


🎯 최종 정답: ② 756 kcal/주


🧠 이번 방식 요약 (네가 제시한 방식 기준)

순 에너지량이라는 함정을 조심하게나

 


✅ 1. 기본 용어 정리

용어의미
용어 의미
🔴 민감도(Sensitivity) 비만인 사람 중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온 비율 (진짜 비만을 얼마나 잘 찾아내는가)
🔵 특이도(Specificity) 정상인 사람 중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온 비율 (비만 아닌 사람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가)

✅ 2. 표 다시 정리

검사결과 ↓    실제상태 비만 (Positive) 정상 (Negative) 합계
양성 (Positive) 15 (TP) 10 (FP) 25
음성 (Negative) 10 (FN) 40 (TN) 50
합계 25 50 75

✅ 3. 민감도, 특이도 계산

🔴 민감도 (Sensitivity)


🔵 특이도 (Specificity)


✅ 4. 보기별 판단


① “민감도는 비만이 아닌 사람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음성검사 백분율이다.”

  • ❌ 오답!
  • 이건 **특이도(Specificity)**에 대한 정의임
  • 민감도는 비만인 사람 중 양성으로 판정된 비율이어야 해

② “특이도는 비만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양성검사 백분율이다.”

  • ❌ 오답!
  • 이것도 민감도와 헷갈림
  • 특이도는 정상인 중 음성 판정받은 비율이야

③ “A 신체측정법의 민감도는 80%이다.”

  • ❌ 오답!
  • 계산했을 때 민감도는 60%

④ “A 신체측정법의 특이도는 80%이다.”

  • ✅ 정답!
  • 특이도 = 40 / (40 + 10) = 80%

🎯 최종 정답:


🧠 개념 요약


용어 정의 계산식
민감도 실제 양성(비만) 중 양성으로 맞힌 비율 TP / (TP + FN)
특이도 실제 음성(정상) 중 음성으로 맞힌 비율 TN / (TN + FP)

✅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판) – 신체둘레 측정 위치 기준 요약

부위정확한 측정부위
부위 정확한 측정부위
복부(abdomen) 배꼽 높이에서 수평으로 측정
엉덩이(hip) 엉덩이의 최대 둘레 (둔부 돌출 부위)
허리(waist) 배꼽 위가 아님!늑골 하단과 장골능(iliac crest) 사이의 중간 지점
장딴지(calf) 종아리의 가장 둘레가 큰 지점

✅ 보기별 분석


복부: 엉덩뼈능선 높이(일반적으로 배꼽 높이)에서 수평 측정

맞음

  • 복부둘레는 일반적으로 **배꼽 주변 수평선(umbilicus)**에서 측정
  • ACSM은 “수직으로 선 자세에서, 복부 가장 넓은 지점”으로도 정의
    → 실제로 배꼽 or 약간 아래 장골능 높이 기준으로 자주 측정됨

➡ 옳은 설명


엉덩이: 엉덩이의 최대 둘레에서 수평 측정

맞음

  • Hip circumference는 엉덩이의 가장 넓은 부분(둔부 돌출 지점)에서 측정
    → 표준 방식

➡ 옳은 설명


❌ ③ 허리: 복부를 수축한 상태에서 몸통에서 수평 측정

🔴 틀림!

  • 허리 측정 시 주의사항:
    • 숨을 내쉬고 편안한 상태에서
    • 몸을 수축시키지 않고 측정해야 함!
    • 측정부위: 늑골 하단과 장골능(iliac crest) 사이 중간 지점

복부를 수축한 상태에서 측정하면 허리둘레가 작게 측정되어 부정확함

➡ ❌ 오답 → 정답은 ③


장딴지: 장축에 수직인 무릎과 발목 사이의 최대 둘레에서 수평 측정

맞음

  • Calf circumference는 종아리에서 가장 둘레가 큰 부분을 수평으로 측정
  • 장축에 수직이라는 표현도 정확히 맞음

➡ 옳은 설명


🎯 최종 정답: ③ 허리 설명이 틀림



✅ 보기별 분석


① 생체전기저항분석법(BIA): 체내전류 저항(임피던스)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설명

  • BIA =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원리: 체내 수분이 많은 조직(근육)은 전류를 잘 통과시키고,
    수분이 적고 저항이 큰 조직(지방)은 전류를 잘 통과시키지 못함
  • 따라서 **임피던스(Impedance)**를 이용하여 체지방량, 제지방량 등을 추정함

➡ ✅ 옳은 설명


② 수중체중법: 수중에서의 체중을 이용하여 총 신체 부피와 체밀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설명

  • 수중체중법(Hydrostatic Weighing)은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이용해서, 물속에서 측정된 체중 차이부피를 계산하고
    → 그로부터 체밀도 → 체지방률 추정함

➡ ✅ 옳은 설명


③ 피하지방 두께 측정법: 캘리퍼를 이용하여 해당(특정) 부위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설명

  • 스킨폴드 측정법(Skinfold method)은 피하지방층을 캘리퍼로 측정
  • 주로 3지점법, 7지점법 등으로 다양한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한 후
    공식에 넣어 체지방률 추정

➡ ✅ 옳은 설명


❌ ④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 신체 부피와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부피를 추정하기 위해 물의 전위 대신 공기의 전위를 이용한다.

🛑 틀린 설명 = 정답

🔍 이유:

  •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 = 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 이 방법은 **신체의 각 조직(지방, 제지방, 뼈)**의 X선 흡수율 차이를 기반으로 구성 비율을 추정함
  • 즉, "X선의 감쇠율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이지,
    물의 전위, 공기의 전위, 부피 측정과는 관련 없음!

❗ “부피를 추정하기 위해 공기의 전위를 사용한다” → 이건 Bod Pod(공기 치환법) 설명이랑 헷갈린 거야!


🎯 최종 정답:


🧠 정리 요약

방법 핵심 측정 원리 오답 포인트
BIA 전기저항 (임피던스) ✅ 정확
수중체중법 물속 체중 → 부피 → 밀도 ✅ 정확
스킨폴드 피하지방 두께 ✅ 정확
❌ DEXA X선 감쇠율 차이 (흡수율) 🔴 부피 측정 아님, 전위 아님

✅ 먼저 핵심 개념: 고위험군(Risk Stratification – High Risk)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주요 기준 (ACSM 11판 & AACVPR)

고위험군 기준 요약
▶ 운동 중 또는 회복기 ST분절 하강 ≥2 mm (무증상이더라도)
▶ 운동 중 또는 안정 시 심실부정맥
▶ EF(좌심실 박출률) ≤ 40% 이하
▶ 운동 중 혈압 비정상 반응 (저혈압 등)
< 5 METs에서 협심증, 호흡곤란, 어지럼증, 가슴통증 등 증상 발생
운동 중 또는 회복기 심정지, 실신 등의 중증 에피소드
심실기외수축이 증가하거나 다형성 부정맥 발생 등

✅ 보기별 판단


좌심실 박출률(EF) > 50%

🟢 EF가 정상 기준은 50 ~ 70%
→ EF가 50% 초과이면 정상 or 저위험군으로 간주

고위험군 아님 → 정답


안정 시 또는 운동 시 복합 심실부정맥

🔴 맞음 = 고위험군 해당

  • 복합 심실부정맥 (PVC 다발성, 조기심실수축, 쌍둥이형 등)은
    심정지 위험 요소로 간주 → 고위험군

운동 검사 또는 회복기에 증상 없이 ST분절 ≥ 2mm 하강

🔴 맞음 = 고위험군 해당

  • ST 분절 변화는 심근허혈 지표
  • 무증상이라도 ≥ 2mm 하강고위험군

낮은 운동강도(<5 METs)나 회복기의 협심증, 어지럼증, 가벼운 두통 또는 호흡곤란 포함 증상과 징후

🔴 맞음 = 고위험군 해당

  • <5 METs에서 증상 유발 → 기능적 능력 낮음 + 증상 유발
  • 어지럼증, 협심증, 호흡곤란 등은 고위험 징후

✅ 최종 정답:


🧠 요약정리

보기판단이유
보기 판단
① EF > 50% ❌ 고위험 아님 (정상 EF)
② 복합 심실부정맥 ✅ 고위험
③ ST 분절 ≥ 2mm 하강 (무증상) ✅ 고위험
④ < 5 METs에서 증상 발생 ✅ 고위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