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태생리학] 11번 문제
문제 요약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고르는 문제.
정답: ④ (ㄴ, ㄹ)
보기 검토
ㄱ. "흉통은 운동 시 발생하지만 안정을 취하면 사라진다."는 설명은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에 해당한다.
하지만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은 불안정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포함하므로 흉통이 휴식 시에도 발생하고, 점차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림.
ㄴ. "관상동맥의 경화반(plaques) 파열 및 혈전과 관련 있다."는 설명은 정확함.
ACS의 병태생리는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의 파열로 혈전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허혈이나 괴사가 발생하게 된다.
ㄷ. "관상동맥의 혈전이 아닌 연축(spasm)에 의해 발생한다."는 설명은 틀림.
이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설명이 아니라 **변이형 협심증(Prinzmetal angina)**의 기전이다.
ㄹ. "cTnI와 cTnT의 비정상적인 증가와 ST 분절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은 정확함.
ACS 중 특히 STEMI(심근경색)에서는 **심근손상 지표(troponin I, T)**가 상승하고, ECG에서 ST분절 상승이 관찰된다.
따라서 옳은 보기만 고르면 ④번 (ㄴ, ㄹ)이다.
핵심 요약
ACS는 죽상경화반 파열과 혈전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심근 손상 지표의 상승과 ST 분절 변화가 동반된다. 안정형 협심증과는 달리 휴식 시 흉통이 생길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STEMI, NSTEMI,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나뉜다.
핵심 키워드
#급성관상동맥증후군 #ACS #죽상경화반파열 #혈전형성 #트로포닌 #ST분절상승 #불안정형협심증
예상문제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불안정형 협심증
② ST분절 상승 심근경색(STEMI)
③ 변이형 협심증
④ ST분절 비상승 심근경색(NSTEMI)
정답: ③
해설: 변이형 협심증은 관상동맥 연축에 의해 발생하는 협심증으로, 죽상경화반 파열과 혈전 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ACS에 포함되지 않는다.

[병태생리학] 12번 문제
❓ 문제 요약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의 발생기전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야
정답은 ②번이야
① 산화된 LDL-콜레스테롤이 혈관 내피에 침착되어 죽종(atheroma, 죽상반) 형성에 기여하는 건 아주 중요한 초기 기전 중 하나야. 맞는 설명이야
② 대식세포(macrophage)는 손상된 내피를 뚫고 침윤(infiltration)한 다음 LDL을 탐식하면서 foam cell(거품세포)을 형성해. 하지만 보기에서는 대식세포가 손상부위에 부착되어 염증을 시작한다고 했지? 실제로는 대식세포보다 앞서서 호중구나 단핵구 등의 면역세포들이 먼저 부착하고, 그 후에 대식세포로 분화해 작용하니까 이 설명은 부정확해
③ TNF-α는 염증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이고, 죽상경화의 진행에 관여해. 맞는 설명
④ CRP는 IL-6에 의해 간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전신 염증 반응의 마커야. 죽상동맥경화증에서 염증의 결과로 CRP가 높아지는 건 사실이고, 위험도 평가에 사용되기도 해. 완벽하진 않아도 틀린 문장은 아냐
따라서 ②번이 정답!
📌 핵심 키워드
#죽상동맥경화증 #foam_cell #LDL #대식세포 #CRP #TNFα #염증반응
🎯 예상문제
Q.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에 따라 가장 먼저 일어나는 반응은?
① 섬유막(fibrous cap) 형성
② 대식세포의 침윤
③ 내피세포 손상
④ 혈소판 응집
정답: ③ 내피세포 손상
이유: 죽상동맥경화증의 시작은 내피세포 손상에서 시작되며, 이로 인해 염증세포들이 침윤하고 LDL이 침착되며 foam cell이 형성되기 때문이야
🔍 이 문제의 핵심 개념은 바로 이거야!
➤ 죽상동맥경화증의 병태생리학적 진행 순서
🧠 핵심 개념 구조 정리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은 하나의 연속적인 염증성 반응 과정이야. 순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
1️⃣ 내피세포 손상 (Endothelial injury)
: 고혈압, 흡연, 고혈당, 산화된 LDL 등으로 인해 손상돼
→ 혈관 내벽이 '거칠어짐'
→ 투과성 증가 + 염증세포 유입 촉진
2️⃣ LDL 침착 및 산화 (LDL infiltration & oxidation)
: 혈관벽 안쪽에 LDL이 침투하고 산화되면
→ 면역계가 위험 신호로 인식!
3️⃣ 면역세포 부착 및 염증반응 시작
: 단핵구(monocyte)가 혈관벽에 부착 → 대식세포로 분화
→ 산화된 LDL을 잡아먹고 foam cell(거품세포) 형성
→ 죽종(fatty streak) 형성
4️⃣ 염증반응 지속 및 사이토카인 분비
: TNF-α, IL-1, IL-6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 평활근 세포 이동 및 증식
5️⃣ 섬유모세포 증식 → 섬유성 막(fibrous cap) 형성
: 죽종 주위를 감싸서 파열 막으려는 반응
→ 그러나 파열되면 급성 심혈관 사건 유발!
6️⃣ 말기 변화
: 혈소판 응집 → 혈전 형성 → 심근경색, 뇌졸중 등으로 진행
🧩 요약하면,
"내피손상 → LDL산화 → 면역반응(foam cell) → 염증 사이토카인 → 평활근 증식 → 죽종 + 섬유화 → 혈전"

[병태생리학] 13번 문제
❓ 문제 요약
김씨는 운동 후가 아닌 새벽 시간에 가슴 통증이 발생했고, 운동부하검사상 ST분절 하강도 없었으며,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경화반도 관찰되지 않았어.
그러나 질산염제제와 칼슘채널차단제를 투여한 후 증상이 사라졌지.
이러한 조건은 전형적인 심근경색이나 협심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정답은
👉 ④ 심근경색증(X), ③ 불안정협심증(X), ② 이형협심증(X)
✅ ① 안정형협심증도 X
🙀 정답은 없다고…?!? 아니지! 정답은 ④ 심근경색증 제외하고 다 안 맞는 듯하지만,
📌 출제 의도상 정답은 "② 이형협심증(variant angina, 프린츠메탈 협심증)"이 맞아!
📌 이형협심증의 특징 요약
- 플라크 없이 발생함
- 새벽, 이른 아침에 자주 발생
- **관상동맥의 일과성 경련(spasm)**이 원인
- 운동과는 무관하게 발생
- 니트로글리세린과 칼슘채널차단제에 반응
- 심전도에서 일시적 ST 상승 보일 수 있음
- 조영술상 정상 소견 보일 수 있음
정답은 2번 이형협심증!
💡 핵심 키워드
#이형협심증 #프린츠메탈협심증 #관상동맥경련 #ST분절상승 #니트로글리세린반응
🧠 예상 개념문제
Q. 이형협심증은 다음 중 어느 약물군에 잘 반응하는가?
① 베타차단제
② 이뇨제
③ 칼슘채널차단제
④ ACE 억제제
정답: ③ 칼슘채널차단제
이형협심증은 경련(spasm)에 의해 혈관이 수축되는 것이므로, 이를 완화시키는 칼슘채널차단제(CCB) 가 치료의 핵심이야.

[병태생리학] 14번 문제
❓ 고혈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③ 전신혈관의 수축은 신장으로 가는 혈류가 증가되어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을 활성화시킨다.
이 문장은 ❌ 틀린 설명이야. 왜냐면…
전신혈관의 수축이 일어나면 신장으로 가는 혈류는 감소하게 돼.
→ 그러면 신장은 "혈압이 떨어졌네?" 라고 착각해서
→ RAAS 시스템(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을 활성화해
→ 혈압을 올리게 되는 거야.
즉, 혈류가 줄어들어서 RAAS가 작동하는 건 맞는데,
③번 보기처럼 "혈류가 증가되어" 라는 표현은 완전히 반대야!
📌 나머지 보기 검토
① ✅ 일차성(본태성) 고혈압은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고, 고혈압 환자의 90% 이상을 차지해.
② ✅ 이차성 고혈압은 *신동맥협착, 갈색세포종, 폐쇄성무호흡증 등으로 생기며 원인이 명확해.
④ ✅ JNC-7 기준에 따르면
- 수축기 120 ~ 139mmHg 또는
- 이완기 80 ~ 89mmHg 는 고혈압전단계(prehypertension) 로 분류돼.
고혈압은 140/90mmHg 이상부터야!
📌 핵심 개념 요약
- RAAS 시스템은 신혈류가 감소할 때 활성화됨
- 전신 혈관 수축 → 신장 관류 감소 → 레닌 분비 증가
- JNC-7 기준: 고혈압은 140/90mmHg 이상
- 전고혈압(prehypertension): 120~139/80~89mmHg
📌 핵심 키워드
#고혈압기전 #RAAS #신혈류감소 #전고혈압 #JNC7 #본태성고혈압 #이차성고혈압
🧠 예상문제
Q. 신장혈류 감소에 따라 활성화되는 고혈압 관련 생리적 기전은?
① 심박수 감소
② 교감신경 억제
③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
④ 바소프레신 분비 억제
정답: ③
레닌은 신장의 JGA(사구체옆복합체)에서 분비돼서 안지오텐신 II를 생성하고, 혈관수축과 알도스테론 분비를 유도해 혈압을 상승시켜!
🔹 신동맥협착(Renal artery stenosis) -> 신장으로 가는 동맥이 좁아졌다.
콩팥으로 가는 동맥이 좁아져서 혈류가 줄어들면, 신장은 이를 ‘혈압이 낮다’고 착각해 레닌(Renin)을 과도하게 분비함.
결과적으로 RAAS 시스템이 과활성화되어 혈압이 상승하게 됨.
대표적인 이차성 고혈압 원인 중 하나야.
🔹 갈색세포종(Pheochromocytoma)-> 크롬염에 반응해서 색이 변하는 그롬친화세포임. 크롬산염에 노출되면 갈색이나 어두운색으로 변해서 갈색세포종임.
부신수질에서 발생하는 크롬친화세포 종양으로,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카테콜아민을 과도하게 분비함.
이로 인해 심박수,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고, 발한·두통·심계항진이 동반될 수 있음.
역시 이차성 고혈압의 드문 원인이야.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
잠자는 동안 기도가 반복적으로 막히는 질환으로 산소 부족 상태가 자꾸 생김.
저산소증이 교감신경계를 자극해 만성적인 혈압 상승을 유발함.
이차성 고혈압의 흔한 원인 중 하나로 간주돼.

[병태생리학] 15번 문제
📌 문제 요약
천식(asthm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야. 보기는 천식의 병태생리, 원인, 치료제, 합병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 보기 분석
① 기도의 과민반응으로 대부분 가역적인 기관지 수축이 특징이다.
→ 맞아. 천식의 대표적 특징은 가역적인 기관지 수축(기류제한)과 기도과민성임. 흡입제 치료로 회복 가능함.
② 바이오피성 천식유발인자는 주로 바이러스감염과 공기오염물질이다.
→ 이것도 맞아. 특히 소아 천식에서는 바이러스(리노바이러스 등)가 중요한 역할을 해.
③ 기관지경련을 완화하기 위해 β-2 억제제를 투여한다.
→ ❌ 틀렸어!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경련을 완화하려면 β-2 작용제(agonist) 를 사용해야 해!
※ 대표적 약물: 살부타몰(salbutamol), 살메테롤(salmeterol) 등
④ 기도재형성(airway remodeling)이 되면 폐쇄성질환에 대한 비가역적 요소가 된다.
→ 맞아. 반복되는 염증으로 인해 기도벽이 두꺼워지고, 이는 COPD처럼 비가역적 기류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어.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천식은 주로 알레르기 또는 감염 등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기도질환이야.
염증 → 기도 수축(기관지 평활근 수축), 점액 분비 증가 → 호흡곤란, 쌕쌕거림
급성기에는 β-2 작용제를 흡입해 기도를 빠르게 열고,
장기적으로는 스테로이드로 염증을 조절해.
기류제한은 가역적이지만, 반복되면 기도재형성으로 비가역적 변화가 일어나기도 해.
기도과민성은 자극에 대한 과도한 수축 반응이 특징이야.
🏷️ 핵심 키워드 해시태그
#천식 #기도과민성 #β2작용제 #기도재형성 #기관지수축 #염증 #가역적기류제한 #스테로이드치료
🎯 예상문제
Q. 천식의 급성 악화 시 가장 먼저 사용하는 약물은?
① 항히스타민제 ② β-2 작용제 ③ 항생제 ④ 항류코트리엔제
→ 정답: ② β-2 작용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즉각적인 기도 확장을 유도함. 가장 빠르게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아래의 글을 눌러 알파, 베타 수용체의 작용제와 억제제 약물 암기팁을 알아보셈
2025.04.07 - [📕병태생리학/필수개념정리] - [병태생리학] 알파(α), 베타(β) 수용체 작용제/억제제 약물
[병태생리학] 알파(α), 베타(β) 수용체 작용제/억제제 약물
수용체에 먹히는 약물의 작용 기전을 먼저 외울게 아니라, 수용체가 뭐하는 애들인지 먼저 알아야함.그리고 팁은 1번 붙은건 보통 수축 상승시키고 2번은 이완이라고 생각하자. 📌 [기본 개념:
corebox21.tistory.com

📘 [병태생리학] 16번 문제
문제 요약: 뼈엉성증(골다공증, osteoporos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기!
🔎 보기 검토
① 진단기준은 골밀도의 T-score가 ≤ -2.5일 때이다.
→ ✅ 맞는 말!
골밀도 T-score가 -2.5 이하일 때 WHO 기준으로 골다공증으로 진단함. (T-score ≤ -2.5)
② 유발요인으로 갑상선기능항진증, 쿠싱증후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이 있다.
→ ✅ 맞음.
이 세 가지는 전부 뼈 흡수(재흡수)를 촉진하거나 파골세포 활성을 높이는 위험요소들임.
③ 뼈엉성증 환자의 1,25(OH)₂ vitamin D는 증가되어 있다.
→ ❌ 틀림.
비타민 D는 대부분 결핍돼 있음. 부족하면 장에서 칼슘 흡수 ↓ → 부갑상선 호르몬 ↑ → 뼈에서 칼슘 끌어다 쓰게 됨 → 골다공증 진행. 증가되어 있다는 건 잘못된 설명이야!
④ 칼시토닌은 파골세포의 활성을 촉진하여 혈액의 칼슘농도를 높인다.
→ ❌ 틀림.
칼시토닌(calcitonin)은 오히려 파골세포 억제 → 뼈흡수 억제 → 혈중 칼슘 감소!
※ 혈중 칼슘 낮추는 호르몬: 칼시토닌
※ 혈중 칼슘 높이는 호르몬: PTH(부갑상선호르몬)
📌 정답: ①번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골다공증은 뼈의 미세구조 손실로 인한 골절 위험 상태임
- T-score는 젊은 성인과의 골밀도 비교 지표이며 -2.5 이하일 때 진단됨
- 뼈 흡수를 증가시키는 대표적 위험인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갑상선기능항진증, 쿠싱증후군 등
- 비타민 D는 장에서 칼슘 흡수를 도와 뼈를 보호하지만 결핍 시 골다공증 악화됨
- 칼시토닌은 뼈흡수를 억제하는 호르몬으로 혈중 칼슘 농도를 낮춘다
- 반대로 부갑상선호르몬(PTH)은 혈중 칼슘을 높임 (파골세포 자극)
🔖 핵심 키워드
#T점수 #골밀도 #골다공증진단기준 #비타민D결핍 #칼시토닌 #파골세포 #PTH #골흡수 #쿠싱증후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예상문제
Q. 다음 중 골다공증 위험인자가 아닌 것은?
①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② 폐경 ③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장기 사용 ④ 갑상선기능항진증
정답: ①
→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은 혈중 칼슘 농도를 낮추고 파골세포 활성이 줄어들어 뼈흡수가 덜함. 위험요인이 아님!
2025.04.07 - [📕병태생리학/필수개념정리] - [병태생리학] 칼시토닌 vs 부갑상선호르몬 정리, 암기팁
[병태생리학] 칼시토닌 vs 부갑상선호르몬 정리, 암기팁
구분🟦칼시토닌 (Calcitonin)🔴부갑상선호르몬 (PTH)분비 기관갑상선(Thyroid)의 C세포부갑상선(Parathyroid)혈중 칼슘농도에 대한 반응혈중 칼슘이 높을 때 분비혈중 칼슘이 낮을 때 분비뼈에서의 작용
corebox21.tistory.com
암기팁을 훔쳐가세요

[병태생리학] 17번 문제
📌 문제 요약
콜레스테롤과 혈중지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야
📌 보기 검토
① 세포막 구성성분의 일부는 콜레스테롤로 구성되어 있다 → 맞음
콜레스테롤이 무조건 나쁜게 아니라,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의 유동성과 안정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성분이야, 우리몸에도 어느정도 콜레스테롤이 필요함.
② 혈중지질개선을 위한 약물치료가 식이요법보다 더 효과적이다 → 맞음
고위험군에서는 스타틴 등의 약물치료가 식이요법보다 LDL 감소 효과가 더 확실하다고 알려져 있음.
③ 중성지방을 제외한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틀림
LDL-C는 에너지원이 아니라 콜레스테롤을 말초조직에 운반하는 역할을 해.
에너지원으로는 주로 중성지방(triglyceride) 이 쓰이므로, 이 설명은 틀렸음
④ 스타틴은 간에서 HMG-CoA 환원효소를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생성을 억제함 → 맞음
부작용으로 근육통이 생기기도 해서 모니터링이 필요함
✅ 정답: ③
📌 핵심 개념 요약
-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과 호르몬, 담즙산 합성에 쓰임
- LDL-C는 '나쁜 콜레스테롤'로,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함. 그걸로 세포막도 만들고, 호르몬도 만들고 담즙산 만들기 위해 원료로 쓰임. 콜레스테롤 자체가 나쁜게 아니고 과하게 쌓이거나 산화되었을 때 혈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
- HDL은 '좋은 콜레스테롤'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회수함. 간은 그걸 담즙산 전환시켜서 담즙(쓸개즙)을 만들고 담낭으로 넘겨서 십이지장에서 지방소화를 하는데 사용됨. 그리고 남는건 장을 통해 똥으로 배출할고얌!!!!
- 중성지방은 지방조직에 저장되며 에너지원으로 사용됨
-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 LDL 수치를 낮춤
- 근육통, 간효소 상승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 식이요법도 중요하지만 고위험군은 약물치료가 병행되어야 함
📌 핵심 키워드
#LDL #HDL #콜레스테롤 #스타틴 #중성지방 #에너지원 #세포막 #지질대사 #약물치료 #식이요법
📌 예상문제
다음 중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주요 기능으로 옳은 것은?
① 호르몬 전달 ② 세포막 구성 ③ 에너지원 ④ LDL 생성
✅ 정답: ③
💬 중성지방은 체내에 저장되어 필요할 때 에너지로 사용됨!

📌 [병태생리학] 18번 문제
👉 문제 요약
ATP III 기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진단요소를 바르게 고른 보기를 찾는 문제
🔎 보기 검토
① 허리둘레 (복부비만)
ATP III 기준은
- 남성 > 102 cm
- 여성 > 88 cm
❌ 보기에는 남성 > 110 cm, 여성 > 85 cm로 기준이 이상함.
→ 틀림
② 공복혈당
ATP III 기준:
- 공복혈당 ≥ 100 mg/dL or 당뇨약 복용자
→ 맞음
③ HDL 콜레스테롤
ATP III 기준:
- 남성 < 40 mg/dL, 여성 < 50 mg/dL
→ 보기에서는 남성 < 35, 여성 < 40으로 제시됨
❌ 기준보다 너무 낮게 설정됨 → 틀림
④ 중성지방 (TG)
ATP III 기준:
- TG ≥ 150 mg/dL or 지질강하제 복용자
→ 맞음
⑤ 혈압
ATP III 기준:
- ≥ 130/85 mmHg or 고혈압 약 복용자
→ 보기에서는 ≥140/85로 되어있음
❌ 수축기혈압 기준이 높게 설정됨 → 틀림
✅ 정답: ③번
📚 핵심 요약 (10줄 이내)
- ATP III 기준은 대사증후군을 진단하는 기준으로 5가지 요소가 있음
- 그 중 3가지 이상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
- ① 복부비만 (남>102 cm, 여>88 cm)
- ② 공복혈당 ≥100 mg/dL 또는 약 복용
- ③ HDL-C (남<40 mg/dL, 여<50 mg/dL)
- ④ 중성지방 TG ≥150 mg/dL 또는 약 복용
- ⑤ 혈압 ≥130/85 mmHg 또는 고혈압약 복용
- 보기 ③은 HDL 기준이 잘못되어 틀린 설명
정말 치사하죠.. 대한의사협회 기준도 외워야하고 ATP 3 기준도 외워야하곸 그래서 ㄴ준비했쑵니다
📊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비교표 (ATP III vs 대한의사협회)
항목 | ATP III (미국, 2001) | 대한의사협회 (KOSSO, 2005) |
복부비만 | 남성 > 102 cm 여성 > 88 cm |
남성 ≥ 90 cm 여성 ≥ 85 cm |
중성지방 (TG) | ≥ 150 mg/dL 또는 지질강하제 복용 | 동일 |
HDL-C | 남성 < 40 mg/dL 여성 < 50 mg/dL |
동일 |
혈압 | ≥ 130/85 mmHg 또는 항고혈압 약 복용 | 동일 |
공복혈당 | ≥ 100 mg/dL 또는 혈당강하제 복용 | ≥ 100 mg/dL 또는 당뇨병 치료 중 |
보니까 큰 차이점이 없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서양인과 동양인의 복부 사이즈만 다를 뿐..
📌 차이점 정리
- 🔴 복부비만 기준이 다름:
한국은 아시아 체형에 맞게 더 엄격하게 설정되어 있음.
(남성 ≥90 cm, 여성 ≥85 cm → BMI 낮아도 복부비만이면 해당) - 🟢 나머지 항목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준을 따름.
📝 정리 한 줄 요약
👉 한국 기준은 복부비만 기준만 더 엄격하게 적용하고,
나머지 중성지방, HDL, 혈압, 공복혈당은 ATP III 기준과 거의 동일해.
🏷 핵심 키워드
#ATP3기준 #대사증후군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 #허리둘레기준 #혈압기준 #지질이상 #복부비만 #건강운동관리사
🎯 예상문제
Q. 다음 중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여성의 HDL-C ≥50 mg/dL
② 공복혈당 ≥110 mg/dL
③ 중성지방 TG ≥150 mg/dL
④ 허리둘레 남성 >110 cm
✅ 정답: ③번 → 중성지방 TG ≥150 mg/dL는 정확한 ATP III 기준임!

[병태생리학] 19번 문제
📌 문제 요약
다음 중 **뇌졸중(strok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야. 보기 4개는 각각 위험요인, 원인, 치료법, 질환 구분 기준에 대한 설명들이야.
① 고혈압은 뇌동맥 파열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 맞아! 고혈압은 **뇌출혈성 뇌졸중(출혈성 stroke)**의 가장 큰 위험요인이야.
고혈압으로 인해 혈관벽이 약해지면 동맥류가 생기거나 혈관이 터질 수 있음.
② 색전증으로 인한 뇌경색은 심방세동으로 유발될 수 있다.
✅ 맞아.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은 혈액의 응고를 유도해 **색전(embolus)**을 만들고, 이게 뇌혈관으로 이동하면 뇌경색을 유발할 수 있음.
③ 뇌동맥류의 증상은 갑작스러운 두통이며, 치료법은 클립결찰술이나 코일색전술이다.
✅ 맞아. 뇌동맥류는 지주막하 출혈의 대표 원인이고, 치료로는 수술적 결찰(clipping) 또는 코일로 막는 색전술(coiling)이 있음.
④ 일과성허혈발작(TIA)은 급성기에 영구적 뇌손상이 특징이다.
❌ 틀려! **일과성허혈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는
🔹 일시적 뇌혈류 감소로 인해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만
🔹 24시간 이내에 회복되고 영구적 뇌손상은 없음
즉, ‘작은 뇌졸중(mini-stroke)’이라 불리며 예방경고 신호로 여겨짐.
✅ 정답: ④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뇌졸중(stroke)**은 혈류 이상으로 뇌기능이 갑작스럽게 손상되는 상태야.
- 허혈성 뇌졸중: 혈전 또는 색전으로 뇌혈류 차단
- 출혈성 뇌졸중: 고혈압 등으로 혈관이 파열되어 출혈
- **TIA (일과성허혈발작)**은 24시간 이내 회복되며, 영구 손상 없음
- 뇌졸중 치료와 예방을 위해선 고혈압, 심방세동,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 조절이 핵심임
🔖 해시태그
#뇌졸중 #TIA #고혈압 #허혈성뇌졸중 #출혈성뇌졸중 #뇌동맥류 #색전증 #심방세동
🎯 예상문제
Q. 다음 중 일과성허혈발작(TI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신경학적 손상을 유발한다
② MRI상 뇌경색이 항상 확인된다
③ 심방세동과 관계없다
④ 일시적 허혈로 24시간 이내 회복되며 영구손상은 없다
✅ 정답: ④
📍TIA는 뇌졸중 전조증상으로, 24시간 이내 회복되며 뇌 손상 없이 지나간다.

낚시 조심하십시오 ㅋㅋ
[병태생리학] 20번 문제
📌 문제 요약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고르는 문제야. 보기마다 증상, 병태생리, 평가척도, 치료 가능성 등을 묻고 있어.
① 운동과 약물요법 및 수술적 치료로 완치된다.
❌ 틀려! 파킨슨병은 만성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현재 완치는 불가능하고
약물(L-dopa 등)과 수술(심부뇌자극술 등)은 증상 완화 목적임.
② 중뇌의 흑색질로부터 도파민의 과도한 생성과 관련 있다.
❌ 틀려! 파킨슨병은 도파민의 과다 생성이 아니라 감소와 관련 있어.
특히 중뇌(substantia nigra)의 도파민 분비 뉴런이 파괴되며 발생함.
③ Hoehn 및 Yahr의 5단계* 중 1-2단계까지는 자세불안정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맞아!
Hoehn & Yahr는 파킨슨병의 임상적 중증도 측정 도구로
1-2단계에서는 일측 증상(1단계) 혹은 **양측 증상(2단계)**이 있지만
자세 불안정(postural instability)은 없는 상태임.
*Hoehn & Yahr 척도는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진행 정도를 평가할 때 자주 쓰이는 도구야.
각 단계마다 증상의 양측성 여부, 자세불안정, 일상생활 수행 가능 여부가 핵심 포인트임!
아래 표로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줄게ㅇㅇㅋ
단계 | 증상 특징 | 주요 변화 |
1단계 | 한쪽(일측성)만 증상 있음 | 가벼운 진전, 경미한 강직 등 |
2단계 | 양쪽(양측성) 증상 있으나 균형은 유지됨 | 일상생활 가능, 자세불안정 없음 |
3단계 | 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 있음 | 가벼운 균형 장애로 넘어질 위험 ↑ |
4단계 | 보행 및 자세 유지 어려움, 도움 필요 | 일상생활 일부 의존 |
5단계 | 휠체어나 침상 의존 상태 | 혼자 걷기 거의 불가능 |
🟣 참고 팁:
- 1~2단계: 초기 단계
- 3단계: 자세 불안정이 생기며 중기 진입
- 4~5단계: 중증으로 일상생활 도움 필요해짐
④ 주요증상으로 움직임이 느리고 톱니바퀴 강직(cogwheel rigidity)과 떨림이 특징이다.
✅ 맞아!
파킨슨병의 대표 증상 3가지:
- 서동증(Bradykinesia)
- 진전(Tremor) – 주로 안정 시 손 떨림
- 강직(Rigidity) – 특히 톱니바퀴 강직으로 불림. 관절이 딱딲딲 굳은 느낌임.
✅ 정답: ④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퇴행으로 발생하는 운동 장애 질환이야.
- 주요 3대 증상은 서동증, 진전, 강직이며 보행 장애, 자세 불안정도 동반됨.
- 도파민 부족이 주 원인으로 흑색질(substantia nigra)의 손상과 관련돼 있음.
-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은 존재하지만 완치는 어려움
- Hoehn & Yahr는 병기의 진행 정도를 1~5단계로 나누는 기준이야.
🔖 해시태그
#파킨슨병 #도파민감소 #흑색질 #브래디키네시아 #톱니바퀴강직 #HoehnYahr
🎯 예상문제
Q. 파킨슨병의 3대 주요 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진전(Tremor)
② 강직(Rigidity)
③ 운동과다(Hyperkinesia)
④ 서동증(Bradykinesia)
✅ 정답: ③
📍파킨슨병은 운동이 느려지는 질환으로, 운동과다는 증상이 아님.


'📕병태생리학 > 23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0번 (0) | 2025.04.0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