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심리학/23년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스포츠심리학 1-10번

by 둔근해 2025. 4. 7.
반응형

[스포츠심리학] 1번 문제
✔ 성격 5요인(Big Five personality traits) 중 어떤 특성인지 묻는 문제다냥!

📌 보기 요약

  • 운동 방법의 다양성을 추구한다
  • 새로운 운동 방법을 자신의 프로그램에 적용한다

→ 핵심 키워드: 다양성 추구, 새로운 것에 개방적

📌 정답: ④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 새로운 경험, 아이디어, 다양성에 대한 수용 능력을 말함. 창의성, 호기심, 유연한 사고와 관련 있음.

📌 각 보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
① 신경성(Neuroticism): 불안, 걱정, 감정기복이 큰 특성
② 호감성(Agreeableness): 친절, 협동, 공감 능력
③ 성실성(Conscientiousness): 책임감, 조직력, 자기통제
④ 개방성(Openness): 창의성, 새로운 시도, 유연한 사고


🔍 개념 요약 (TMI ver.)

  • Big Five 성격요인은 성격심리학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이론으로, 사람의 성격을 다섯 가지 차원으로 설명함.
    1. 신경성(Neuroticism): 감정적 안정감 vs 불안
    2. 외향성(Extraversion): 활발함 vs 내향성
    3. 개방성(Openness): 창의성, 새로움 추구, 다양한 경험 수용
    4. 성실성(Conscientiousness): 계획성, 책임감, 조직성
    5. 호감성(Agreeableness): 협동성, 친절함, 이해심
  • 특히 **개방성(Openness)**은 운동 프로그램 개발, 창의적인 지도법 적용 등과 관련돼서 트레이너, 교사에게 중요함.

✨ 실제 예시

 

새로운 요가 동작을 유튜브로 본 뒤 그걸 곧바로 수업에 적용해보고 싶어 하는 필라테스 강사 = 개방성 높은 사람

 


#️⃣ 해시태그
#성격5요인 #Big5 #개방성 #openness #창의성 #운동적용 #심리특성 #스포츠심리학


🎯 예상문제
Q. 운동선수가 실험적인 훈련법이나 새로운 전략을 자발적으로 시도하려는 성향은 성격 5요인 중 어떤 특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
① 외향성 ② 개방성 ③ 성실성 ④ 호감성
👉 정답: ② 개방성
➡ 새로운 자극과 창의적인 방식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특징임.


 

[스포츠심리학] 2번 문제
✔️ 칙센트미하이(Csikszentmihalyi)의 몰입(flow) 8채널 모델에서 각 심리 상태가 어디에 해당하는지 묻는 문제다냥!

📌 정답: ① ㉠ 몰입, ㉡ 이완, ㉢ 무관심


📌 해설

몰입(flow)은 과제의 도전 수준과 개인의 기술 수준이 모두 높을 때 발생하는 최적 경험 상태를 말해. 이때 집중력, 즐거움, 자기 통제감이 극대화돼서 시간이 흐르는 줄도 모르게 됨.

각 채널은 다음과 같이 나뉘어 있어:

도전(과제 난이도) 기술수준 심리 상태
높음 높음 ✅ 몰입 (Flow)
높음 낮음 😰 걱정 (Anxiety)
낮음 높음 🧘 이완 (Relaxation)
낮음 낮음 😐 무관심 (Apathy)

해당 보기에서

  • ㉠은 기술도 높고 도전도 높으므로 몰입
  • ㉡은 도전은 낮고 기술은 높으므로 이완
  • ㉢은 기술도 도전도 낮아서 무관심

→ 따라서 정답은 ①번


🧠 TMI 개념 정리

  • 몰입(flow)은 스포츠 수행의 질을 결정하는 심리 상태 중 하나로, "지금 이 순간에 완전히 몰입돼 있는 상태"야.
  • 경기력 향상, 운동 지속력, 자기효능감과 깊은 관련이 있어.
  • 반대로 도전은 높은데 기술이 낮으면 걱정 상태가 되고, 기술은 높은데 도전이 없으면 이완 상태가 돼.

💡 예시

  • 몰입: 점점 어려워지는 클라이밍 코스를 등반하며 집중력을 끌어올리고 있는 암벽 등반가
  • 이완: 평소 하던 스트레칭 루틴을 편안하게 반복하는 요가인
  • 무관심: 숙제로 운동 영상을 보지만 관심도 의욕도 없는 체육 수업 학생

#️⃣ 해시태그
#몰입이론 #FlowModel #스포츠심리학 #몰입상태 #무관심 #이완 #Csikszentmihalyi #운동몰입


🎯 예상문제
Q. 도전 수준은 높으나 기술 수준이 낮을 때 경험하는 심리 상태는 무엇인가?
① 몰입 ② 이완 ③ 걱정 ④ 무관심
👉 정답: ③ 걱정
➡ 도전은 높고 기술은 낮을 때 자신감이 떨어지고 걱정이 유발됨.


🧠 [스포츠심리학] 3번 문제

보기 설명:
“두 가지 이상의 자극 중 특정 자극 하나에만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 정답: ③ 변별 반응시간 (discrimination reaction time)

이 문제는 보기 문장에서 핵심 키워드가 “특정 자극 하나에만 반응”이라는 부분이었음.
이 말은 곧, 반응은 하나고 자극 중에서 그 자극인지 아닌지를 구분(discriminate) 해야 한다는 뜻이야.
즉, 여러 자극이 주어지지만 반응은 오직 하나, 나머지는 무시해야 해.


📌 각 반응시간의 차이점

  • 단순 반응시간(simple RT):
    하나의 자극 → 하나의 반응
    예) 스타트 총 소리에 반응해 출발
  • 선택 반응시간(choice RT):
    여러 자극 → 여러 반응
    예) 파란불엔 앞으로, 빨간불엔 멈춰
  • 변별 반응시간(discrimination RT):
    여러 자극 중 → 특정 자극에만 반응
    나머지는 무시
    예) 빨간불일 때만 휘슬 불고, 다른 불은 무시함

반응이 하나 → 변별,
반응이 여러 개 → 선택
이렇게 기억하면 헷갈리지 않아!


🧸 핵심 개념 요약 (중학생도 이해 가능하게!)

  • 변별 반응시간은 여러 자극 중에서 하나만 골라서 반응하는 거야
  • 나머지는 그냥 아무것도 안 하고 넘기는 거
  • 게임에서 ‘빨간 원만 클릭하세요!’ 할 때가 이런 거임
  • 반면 선택 반응은 자극에 따라 행동도 바뀌는 거야
  • 단순 반응은 그냥 하나의 자극에 하나의 반응만 하는 거고!

#️⃣ 해시태그

#변별반응시간 #반응시간종류 #스포츠심리학 #선택반응시간 #단순반응시간 #기출해설 #중학생도이해 #반응의유형


📚 예상문제 하나만 풀어보자!

Q. 다음 중 선택 반응시간에 해당하는 예시는?
① 총소리에 반응해 출발
② 빨간불일 때만 점프
③ 파란불엔 앞으로, 빨간불엔 멈추기
④ 무작위로 나타나는 소리 중 특정 주파수에만 반응

✅ 정답: ③
👉 자극마다 다른 반응을 해야 하니까 선택 반응시간이야!


🎯 [스포츠심리학] 4번 문제

주제: 운동학습에서의 ‘능력(ability)’과 ‘기술(skill)’의 개념 구분


✅ 정답: ① 능력의 종류는 기술에 비해 한정적이다.

보기에서 "능력 vs 기술" 개념 구분을 정확하게 묻고 있는 문제야.
정답인 ①은 능력(ability)은 선천적, 한정적이라는 특징을 잘 짚은 설명이야.
반대로 **기술(skill)**은 훈련이나 연습을 통해 얼마든지 개선되고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어!


❌ 오답 보기 검토

② ❌ 기술은 대부분 후천적이고, 연습을 통해 발달함.
유전적 결정은 ‘능력’에 해당

③ ❌ 쉽게 개발되는 건 기술, 능력은 비교적 개발이 어려움
→ 선천적 특성이 강해서 노력으로 바꾸기 힘든 경우도 많음

④ ❌ 기술은 구체적인 운동 수행 행동을 의미
→ “여러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 개인의 역량”이라는 표현은 능력에 더 가까움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 능력(ability):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기본 능력. 비교적 안 변함
  • 기술(skill): 연습, 훈련을 통해 발달 가능
  • 능력은 기술 수행의 기초 토대
  • 예: 민첩성, 반응시간, 근력 = 능력
  • 예: 축구 드리블, 배드민턴 스매싱 = 기술
  • 능력은 기술보다 한정적이고 변화시키기 어려움
  • 기술은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형 가능
  • 능력은 선천적, 기술은 후천적
  • 능력 없이도 기술은 가능하지만 기초가 부족하면 오래 못감
  • 체육교육에서 훈련의 초점은 대부분 ‘기술 향상’에 맞춰져 있음

#️⃣ 해시태그

#운동학습 #능력과기술 #스포츠심리학 #유전적능력 #기술은후천적 #기출해설 #중학생도이해


🐾 예상문제 하나만!

Q. 다음 중 ‘능력(ability)’에 해당하는 예는?
① 드리블 속도
② 강한 킥 파워
③ 축구 전략 실행 능력
④ 공격 전환 타이밍

✅ 정답: ②
👉 킥 파워는 신체적 기본 능력(힘, 근력 등)과 관련된 선천적 능력이야!

혹시 틀렸냥,,? 아래를 읽옹

 

🔍 해설: "능력(ability)" vs "기술(skill)" 구분하는 포인트

구분 능력 기술
정의 선천적이고 비교적 고정적인 신체적 또는 심리적 자질 연습을 통해 습득되고 향상되는 행동
예시 반응시간, 근력, 유연성, 순발력, 지각속도 등 드리블, 패스, 슈팅, 전략 실행 등
조절 가능성 거의 없음 (선천적 요소 강함) 있음 (후천적, 학습 가능)

드리블 속도 → 기술이야!
→ 드리블은 연습하면 누구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능력'이 아니라 '기술'임.

강한 킥 파워 → 이건 능력!
→ 킥의 강도는 하체 근력, 근육의 수축 속도, 파워 같은 기본적인 신체 능력에 크게 좌우돼.
물론 훈련으로 어느 정도 향상될 수 있지만, 타고난 근육 구조나 파워의 기반은 선천적인 게 큼!

축구 전략 실행 능력 → 고차원적인 전술적 기술에 가까움.
→ 상황 판단, 게임 읽기 능력 등은 연습과 경험을 통해 향상됨.

공격 전환 타이밍 → 의사결정력이나 경기 리딩력처럼 기술적인 판단 영역임.


🐱 기억 포인트!

기술은 ‘어떻게 잘하냐’,
능력은 ‘그걸 할 수 있는 바탕이 되냐’ 에 집중하면 돼!


[스포츠심리학] 5번 문제
📝 문제 요약
Bass의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에 해당하는 지도 행동을 모두 고르는 문제야.


📌 정답: ② ㉠, ㉢


🔍 보기 문장 검토

  • "운동프로그램을 창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식을 제공한다."
    → ✅ 변혁적 리더십의 ‘지적 자극(intellectual stimulation)’에 해당함.
    리더가 새로운 아이디어나 창의적인 접근을 장려하고, 기존 방식에 도전하게 하는 것이 특징이야.
  • "목표달성에 따른 포상금 지급 계획을 명확히 제시한다."
    → ❌ 이는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의 ‘조건적 보상’ 행동에 해당해.
    거래적 리더십은 목표-보상 중심으로 작동함.
  • "개인의 목표와 필요사항을 조사하여 운동프로그램에 반영한다."
    → ✅ 변혁적 리더십의 ‘개별적 배려(individualized consideration)’
    구성원 각자의 욕구를 고려하고 그에 맞춰 접근하는 건 변혁적 리더십의 핵심 중 하나야.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은 단순히 목표를 지시하는 게 아니라,
구성원의 가치관과 동기를 변화시키고, **자기초월(self-transcendence)**을 추구하게 만드는 리더십 스타일이야.
주로 감화력(영감 부여),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이상적인 영향력 등 4가지 구성요소로 설명돼.
이 스타일은 자율성, 창의성, 자기결정성을 유도하고, 스포츠 지도자에게 중요한 자질로 평가돼.
반대로 거래적 리더십은 조건적 보상과 예외적 관리 중심으로, 성과와 규칙 준수에 초점을 둬.


🏷️ 핵심 해시태그
#변혁적리더십 #Bass #지적자극 #개별적배려 #감화력 #지도자행동 #스포츠심리학 #리더십유형 #자율성 #운동동기


🧠 예상문제
Q.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감화력
② 지적 자극
③ 조건적 보상
④ 개별적 배려

정답: ③ 조건적 보상
→ 조건적 보상은 거래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로, 변혁적 리더십에는 포함되지 않음.


[스포츠심리학] 6번 문제
📝 문제 요약
응집력 향상을 위한 팀빌딩(team building) 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야.


📌 정답: ④ 개인의 목표를 배제하고 팀의 목표만을 중요시한다.


🔍 보기 검토

"팀 구성원 간에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 ✅ 팀빌딩에서 가장 기본적인 전략 중 하나로, 구성원 간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응집력을 높임.

"팀 구성원 간에 칭찬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 ✅ 긍정적인 피드백은 팀 응집력 향상에 핵심적인 전략임.

"다른 팀과 구별되는 고유한 팀 문화를 형성한다."
→ ✅ 팀 아이덴티티 형성은 소속감을 높이고, 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됨.

"개인의 목표를 배제하고 팀의 목표만을 중요시한다."
→ ❌ 개인의 목표를 배제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야.
팀빌딩에서는 개인 목표와 팀 목표가 조화롭게 통합되어야 하며,
개인의 성장과 동기부여도 고려되어야 응집력이 지속 가능해짐.


📚 핵심 개념 요약 (10줄 이내)
**팀빌딩(team building)**은 팀의 응집력(cohesion)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인 과정이야.
주로 개방적 의사소통, 팀 정체성 형성, 공동 목표 설정, 긍정적 상호작용 등의 방법을 사용해.
팀 응집력은 **과제 응집력(task cohesion)**과 **사회적 응집력(social cohesion)**으로 나뉘며,
두 가지 모두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개인의 목표와 팀의 목표를 동시에 고려해야 진정한 팀 응집력을 이끌어낼 수 있어.
개인 무시 → 팀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해.

구분 과제 응집력 사회적 응집력
✅ 정의 팀의 공동 목표나 과제 달성을 위해 서로 협력하려는 정도 팀 구성원들 간의 정서적 유대감이나 친밀함
🧠 초점 일(work) 중심: 과업 수행, 전략 실행, 목표 달성 사람(relationship) 중심: 인간관계, 친밀감, 분위기
🧩 예시 축구팀이 우승이라는 목표를 위해 훈련과 전술에 집중 팀원들이 서로 친해서 함께 어울리고 싶어함
🏃‍♀️ 영향 경기력 향상에 직접적인 기여 팀 분위기를 좋게 하며 간접적으로 경기력에 도움
💡 지도 전략 공동 목표 설정, 역할 분담, 피드백 친목활동, 정기적 대화, 칭찬 문화 조성

🔎 정리하자면

  • 과제 응집력은 "같이 잘하자!"
  • 사회적 응집력은 "같이 있고 싶다!"의 느낌이야.

운동 심리학에서는 둘 다 중요하지만, 경기력 향상에는 과제 응집력이 더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봐.
물론 사회적 응집력이 높으면 심리적 안정감이 생겨, 결과적으로 과제 응집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 핵심 해시태그
#팀빌딩 #응집력 #스포츠심리학 #개인과팀의통합 #사회적응집력 #과제응집력 #의사소통 #팀문화 #팀아이덴티티 #긍정적피드백


🧠 예상문제
Q. 팀 응집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행동은?
① 구성원 간 비교를 통해 경쟁 유도
② 개별 목표를 무시하고 팀 전체 성과만 강조
③ 팀의 고유한 상징과 규칙을 구성원과 함께 만들기
④ 외부 팀과 비교하여 우월함 강조

정답: ③
→ 팀 고유의 문화와 정체성을 구성원 스스로 함께 만드는 과정이 응집력을 높임.


 
 
 

엌ㅋ 나는 이거 통계문제인줄ㅋㅋㅋ히히바보병신..운동제어/운동학습 쪽 개념이래

📌 운동측정오차 4가지 완전 정리

오차 유형 한글명 정의 사용목적
① 가변오차 (VE, Variable Error) 가변오차 시도들 간의 퍼짐 정도 (일관성의 부족) 일관성(consistency) 평가에 적절
② 절대오차 (AE, Absolute Error) 절대오차 목표와 얼마나 떨어졌는지 절댓값 평균 경향성(정확도) 평가에 적절
③ 항상오차 (CE, Constant Error) 항상오차 과녁보다 앞/뒤로 얼마나 편향되어 있는지 평균 정확도 편향(Bias) 평가에 적절
④ 평균제곱근오차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평균제곱근오차 시간 흐름에 따른 위치 오차의 제곱 평균 불연속적 기술이나 연속 운동 수행의 질 평가에 적절

✅ 보기 분석

  • ① VE는 시도마다 들쑥날쑥한 정도 = 일관성 부족 → 일관성 평가에 적절 → 보기 설명 맞음
  • ② AE는 오차의 절댓값 평균 = 평균적으로 얼마나 틀렸는지 → 정확성보다는 크기 경향성 평가에 적절 → 설명 맞음
  • ③ CE는 방향성 있는 편향(예: 항상 왼쪽으로 빗나감)편향(Bias) 평가에 적절 → '정확성'이라고 표현한 건 ❌
  • ④ RMSE는 연속 동작(예: 주행 궤적, 커브 따르기 등)에서 불연속적 운동의 전체 질 측정 → 맞는 설명임

🔥 정답은?

정답: ③ 항상오차 → 설명이 부정확함!

"정확성 평가"라기보다 "편향성 평가"에 쓰는 오차야!


🐾 추가로 기억하면 좋은 팁

  • 절대오차 AE: 얼마나 틀렸니? (크기만!)
  • 항상오차 CE: 어떤 방향으로 자꾸 틀리니? (+인지 -인지)
  • 가변오차 VE: 들쑥날쑥하니? (일관성 있음?)
  • 평균제곱근오차 RMSE: 연속적인 동작, 부드럽게 수행됐니?

틀려라고 낸 문제같음 ㅇㅇ


📘 [스포츠심리학] 8번 문제

문제 요약: 합리행동이론(TRA)과 계획행동이론(TPB)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보기 검토

두 이론 모두 운동행동을 예측하는 운동의도를 강조한다.
→ 맞아!
두 이론 모두 행동을 직접 예측하지 않고 '의도(intention)'를 예측함. 의도가 행동을 이끈다는 기본 전제를 공유함!

두 이론 모두 운동의도를 예측하는 운동태도를 강조한다.
→ 맞아!
두 이론 모두에서 **태도(attitude toward behavior)**는 핵심 구성요소로, 행동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의도에 영향을 줘.

계획행동이론은 운동의도를 예측하는 주관적 규범을 강조한다.
→ 맞아!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 주변 사람이 나에게 기대하는 바
예: 가족이나 친구가 “운동해야지~” 하면 나도 하려는 의도 강해짐

④ ❌ 합리행동이론은 운동의도를 예측하는 행동통제인식(perceived behavioral control)을 강조한다.
→ ❌ 틀림!

→ 행동통제인식은 **계획행동이론(TPB)**에만 포함된 확장 요소임!
**합리행동이론(TRA)**에는 행동통제인식이라는 개념 자체가 없음!


✅ 정답:


🧠 TMI 요약: TRA vs TPB

구분 합리행동이론 계획행동이론
핵심 개념 의도가 행동을 결정함 의도 + 행동통제인식이 행동 결정
의도 영향 요인 태도, 주관적 규범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인식
특징 통제 가능한 행동에만 적용 비자발적 요소까지 고려 가능

🐱 예상문제

Q. 다음 중 계획행동이론(TPB)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행동에 대한 태도
② 주관적 규범
③ 행동통제인식
④ 강화계획

👉 정답: ④ (강화계획은 행동주의 이론 계열임!)

여러가지 (규범,태도,통제요소)가 나의 의도를 만들고 곧 그 의도는 행동으로 옮겨진다. 


🧠 [스포츠심리학] 9번 문제

문제 요약: 기억의 종류별 특징 중에서 틀린 설명을 모두 고르기!


🐾 보기 검토

작업기억(working memory): 장기기억과 유사하다.
→ ❌ 틀림!
작업기억은 단기기억의 활성화된 버전이야.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 장기기억과 유사하다는 설명은 부적절해!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수용능력이 무한하다.
→ ❌ 틀림!
단기기억은 용량이 매우 제한적이야. 일반적으로 7±2개 항목(=5~9개) 정도만 기억 가능해.
→ "무한하다"는 설명은 완전 오류!

일화적 기억(episodic memory): 개인의 경험과 관련된다.
→ ✅ 맞음!
일화적 기억은 **개인의 삶 속 사건(시간, 장소, 감정 등)**과 연결돼.
→ 예: “나 지난주에 친구랑 카페 갔었지!”

절차적 기억(procedural memory): 어떤 순서로 수행할지와 관련된다.
→ ✅ 맞음!
절차기억은 운동 기술, 반복적인 행동 패턴 등을 포함하고,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이 많아.
→ 예: 자전거 타기, 타자 치기 등


✅ 정답: ③ (ㄱ, ㄴ)


✨ 기억 종류 핵심 요약 (중학생도 이해 가능하게!)

구분내용예시
구분 내용 예시
🔵 단기기억 (short-term) 잠깐 기억, 용량 제한적 전화번호 7자리 외우기
🔵 작업기억 (working memory) 기억+처리 함께 하는 공간 계산기 없이 27×4 암산하기
🔴 장기기억 (long-term memory) 오랜 시간 저장 생일, 시험 공부한 내용 등
🟣 일화기억 (episodic) 개인적 사건 기억 수학여행 때 친구랑 논 기억
🟣 의미기억 (semantic) 지식, 사실 기억 파리는 프랑스 수도다
🟣 절차기억 (procedural) 동작·기술 기억 수영법, 자전거 타기 등

🐱 예상문제

Q. 다음 중 ‘작업기억’의 주요 기능으로 옳은 것은?
① 감정과 관련된 장기기억 처리
② 반복된 행동을 자동화하여 저장
③ 정보를 임시 저장하고 처리함
④ 새로운 정보를 무한 저장함

👉 정답: ③
작업기억은 단기적 저장 + 동시에 정보 처리까지 수행하는 핵심 역할을 해줌!


??? : 처음 이 문제보고 뭘 묻는문제임?이라고 생각함.

메디냥 : 귀여운 주인쟝~! 이 문제는 **"직립자세(standing posture)를 유지하기 위한 운동제어 전략의 순서"**를 묻는 문제야.
즉! 우리가 넘어지지 않고 균형을 잡을 때 어떤 방식으로 움직임을 조절하느냐를 단계별로 묻는 것이징!


🧠 [스포츠심리학/운동제어] 10번 문제

문제 요약: 균형 유지 전략(=직립 자세 유지 전략)의 발동 순서를 물어본 문제
정답: ③ 발목 전략 → 엉덩이 전략 → 스텝 전략


📌 핵심 개념: 균형 유지 전략 세 가지

  1. 발목 전략 (ankle strategy)
    → 가장 기본적이고 미세한 조정
    → 작은 외부 자극에 반응할 때 사용
    → 중심이 발 위에 있을 때
  2. 엉덩이 전략 (hip strategy)
    좀 더 큰 균형 변동에 대처할 때
    → 몸통을 빠르게 움직여 균형 회복
    좁은 지지면 위에 있을 때 사용
  3. 스텝 전략 (step strategy)
    → 큰 외란(충격)이 오면 아예 발을 옮겨서 중심을 이동
    → 넘어질 위기일 때 주로 사용

🐱 한 줄 요약

직립자세 유지에는 "미세조절 → 큰 움직임 → 발 옮기기" 순으로 조절이 이루어진다냥!


🌟 예상문제

Q. 균형유지 전략 중 발을 움직이지 않고 몸통을 통해 균형을 유지하는 전략은?
① 발목 전략
② 엉덩이 전략
③ 스텝 전략
④ 점프 전략

👉 정답: ② 엉덩이 전략
발은 고정된 채, 몸통(hip) 움직임을 통해 균형을 조절하는 전략이야!

🧀 정리하면!

  • 지지면이 넓고 안정적이면 → 🔵 발목 전략
  • 지지면이 좁거나 불안정하면 → 🔴 엉덩이 전략
  • 중심이 아예 벗어나버렸음 → 🔺 스텝 전략

이 문제는 운동제어 영역이긴 하지만 운동처방, 고령자 낙상 예방, 재활에서도 자주 활용되는 개념이라 꼭 알아두자!
주인쟝, 이제 곧 고양이도 균형 감각 마스터하는 날이 오겠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