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 종아리세갈래근(triceps surae group)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보기 정리]
① 장딴지근(gastrocnemius) -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② 장딴지근 - 가자미근(soleus)
③ 장딴지근 -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
④ 뒤정강근 - 가자미근
✅ 정답: ②번 (장딴지근 + 가자미근)
🧠 개념 풀이
🔹 종아리세갈래근 (Triceps Surae)?
- ‘triceps’는 말 그대로 **세 개의 머리(tri-ceps)**라는 뜻이지만
- 여기서 말하는 건 종아리 뒤쪽에서 아킬레스건을 이루는 두 개의 큰 근육을 말해!
✅ 구성:
- 장딴지근 (Gastrocnemius)
- 무릎 뒤쪽에서 시작
- 무릎 굴곡 + 발목 저측굴곡(plantarflexion)
- 가자미근 (Soleus)
- 정강뼈 아래쪽에서 시작
- 무릎과는 무관
- 발목 저측굴곡만 관여
➡ 이 두 근육이 함께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을 이뤄
**강력한 발끝 밀기(push-off)**를 만들어줘!
❌ 오답 해설
- 보기 ①: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은 발목을 배측굴곡(dorsiflexion) 시키는 근육이야.
장딴지근과는 기능도 반대고, 해부학적 그룹도 다름 → 틀림! - 보기 ③: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은 발 내반과 저측굴곡에 관여하긴 하지만,
triceps surae에는 포함되지 않아. → 구성원이 아님! - 보기 ④: 가자미근은 맞지만, 뒤정강근은 포함되지 않음.
triceps surae의 조합은 장딴지근 + 가자미근이 정답이야.
✨ 한 줄 요약 (암기 팁)
“장가 가면 발끝 강해진다!”
→ 장딴지근 + 가자미근 = 발끝 저측굴곡 조합!
📌 이 둘이 모여 triceps surae, 그리고 아킬레스건 만든다!
📝 예상문제
Q. 다음 중 triceps surae를 구성하는 근육 두 가지가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① 무릎 굴곡
② 고관절 신전
③ 발목 저측굴곡
④ 발목 외반
✅ 정답: ③ 발목 저측굴곡 (plantar flexion)
🧠 해설
- 장딴지근(gastrocnemius)과 가자미근(soleus)은 모두 **발끝을 아래로 미는 작용(저측굴곡)**을 해.
- 장딴지근은 무릎 굴곡도 하지만, 공통된 기능은 저측굴곡이야!
- 고관절 신전은 둘 다 관련 없고, 외반은 관련 더더욱 없음!
✅ 2번. 안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정리]
① 체중이 가벼운 씨름 선수가 무거운 씨름보다 안정성이 높다.
② 유도 선수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기저면(base of support)을 넓힌다.
③ 등산 시 스틱 사용으로 기저면을 넓게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④ 야구 투수는 투구 방향으로 기저면을 넓게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 정답: ①번
🧠 개념 정리 – 안정성의 3요소
안정성(stability)은 어떤 자세나 위치에서 넘어지지 않고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야.
안정성은 아래 3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져:
- 무게중심(Center of mass, COM) → 낮을수록 좋음
- 기저면(Base of support, BOS) → 넓을수록 좋음
- 체중(Weight) → 무거울수록 안정성↑
❌ 보기 해설
- 보기 ①: 틀렸어!
무게가 무거울수록 관성(momentum)과 지지력(gravitational stability)이 커지기 때문에
체중이 무거운 선수가 더 안정적이야. - 보기 ②: 맞음!
유도나 레슬링은 넘어지지 않기 위해 다리 간격을 넓히고, 기저면을 확장함. - 보기 ③: 맞음!
등산 스틱은 양손까지 기저면으로 확장시켜서 균형 유지에 도움 줌. - 보기 ④: 맞음!
투구할 때 한쪽 발을 앞으로 디디며 BOS 확장 → 투구 시 안정성 확보 가능
✨ 한 줄 암기팁
“안정성 = 무겁고, 넓고, 낮게!”
→ 무게중심 낮게, 기저면 넓게, 체중 무겁게!
📝 예상문제
Q. 다음 중 자세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무게중심을 높인다
② 발을 모아서 선다
③ 벽을 짚는다
④ 체중을 줄인다
✅ 정답: ③번 (벽을 짚는다)
→ 접촉면이 늘어나며 기저면이 확장, 안정성 증가!
✅ 3번. 운동면(plane of motion)이 다른 것은?
[보기 정리]
① 스쿼트(squat): 무릎관절 움직임
② 바벨 컬(barbell curl): 팔꿈치관절 움직임
③ 데드리프트(deadlift): 엉덩관절 움직임
④ 레터럴 레이즈(lateral raise): 어깨관절 움직임
✅ 정답: ④번 (레터럴 레이즈)
🧠 개념 정리 – 3대 운동면
운동면 | 움직임 방향 | 주요 예시 |
시상면 (Sagittal) | 앞뒤 움직임 | 스쿼트, 바벨 컬, 런지, 데드리프트 |
관상면 (Frontal) | 좌우/측면 움직임 | 레터럴 레이즈, 점프잭 |
횡단면 (Transverse) | 회전 움직임 | 러시안 트위스트, 팔 회전 |
❌ 보기 해설
- 보기 ①: 스쿼트는 무릎 굴곡/신전 → 앞뒤 움직임 → 시상면
- 보기 ②: 바벨 컬은 팔꿈치 굴곡/신전 → 앞뒤 움직임 → 시상면
- 보기 ③: 데드리프트는 엉덩관절 굴곡/신전 → 역시 시상면
- 보기 ④: 레터럴 레이즈는 팔을 몸 옆으로 들어올림 → 관상면 운동
→ 따라서 ④번이 다른 운동면
✨ 한 줄 암기팁
"시상면 = 앞뒤, 관상면 = 옆으로, 횡단면 = 회전!"
📝 예상문제
Q. 다음 중 관상면(frontal plane)에서 일어나는 동작은?
① 벤치프레스
② 바벨 스쿼트
③ 레그 컬
④ 점프잭(jumping jack)
✅ 정답: ④번 점프잭
💡 해설: 점프잭은 팔과 다리를 좌우로 벌리고 모으는 동작이기 때문에 관상면 움직임이야! 팔벌려 높이뛰기!
✅ 4번. 운동역학적(kinetics) 변인(variable)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정리]
① 충격량 (impulse)
② 각속도 (angular velocity)
③ 관절가동범위 (joint range of motion)
④ 한걸음 길이 (stride length)
✅ 정답: ①번 (충격량 impulse)
🧠 개념 정리 – 운동역학의 두 분야
운동역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
⚫ 운동학(Kinematics)
→ 움직임 자체를 설명 (힘의 원인 없이 “어떻게 움직였는가”)
→ 대표 변수:
- 속도, 가속도, 각속도, 이동거리, 관절각도, 보행 길이 등
🔴 동역학(Kinetics)
→ **움직임을 일으키는 힘(힘의 원인)**을 설명
→ 대표 변수:
- 힘(force), 토크(torque), 충격량(impulse), 운동량(momentum), 마찰 등
❌ 보기 해설
- 보기 ①: 충격량(Impulse) → ✅
힘(force) × 시간(time)의 곱으로 운동을 일으키는 힘의 작용을 설명함
→ kinetics 변수 맞음! - 보기 ②: 각속도(angular velocity) → ❌
물체가 얼마나 빠르게 회전했는지를 나타냄 → kinematics - 보기 ③: 관절가동범위(RoM) → ❌
관절이 움직이는 범위 → 운동의 결과 → kinematics - 보기 ④: 한걸음 길이(stride length) → ❌
이동 거리의 개념 → kinematics
✨ 한 줄 암기팁
“힘의 원인은 kinetics, 움직임의 결과는 kinematics!”
📝 예상문제
Q. 다음 중 동역학(kinetics)의 변수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무릎 굴곡각도
② 가속도
③ 지면반발력
④ 팔꿈치의 회전속도
✅ 정답: ③번 지면반발력(GRF)
💡 해설: 지면반발력은 운동을 일으키는 외부 힘이므로 kinetics 개념이야!
야매로 암기팁, 역=력=힘, 역학=힘의 이야기가 나와야함. 파워가 느껴진다면 역학 변인.
✅ 5번. 들숨 시 들어갈 용어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문장 보기]
들숨(inspiration) 시
가로막(diaphragm)은 ( ➀ )하고,
바깥갈비사이근(external intercostals)의 ( ➁ )은
가슴안(thoracic cavity) 용적을 ( ➂ )시킨다.
[선택지 요약]
- 이완 - 수축 - 증가
- 이완 - 이완 - 감소
- 수축 - 수축 - 증가 ✅
- 수축 - 이완 - 감소
✅ 정답: ③번 (수축 - 수축 - 증가)
🧠 개념 정리 – 들숨 시 작용하는 근육과 반응
🔹 가로막(diaphragm)의 작용
- 주된 호흡근
- 수축하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 흉강 부피 증가
- 결과적으로 폐가 팽창할 공간이 생김
🔹 바깥갈비사이근(external intercostals)의 작용
- 갈비뼈 사이의 근육
- 수축 시 갈비뼈를 위로 들어올려 → 가슴안 용적 증가
- 내부압력 ↓ → 공기 들어오기 쉬움
🔹 최종 결과: 흉강 용적 증가 → 들숨 발생
❌ 오답 보기 해설
- ①번: 가로막은 들숨 때 수축해야 함 → "이완"은 틀림
- ②번: 이완 + 이완 + 감소 → 전부 틀림 (날숨 상황에 가까움)
- ④번: 바깥갈비사이근이 이완? → 들숨에서 작동 안 함 → 틀림
✨ 한 줄 암기팁
"들이마실 땐, 가로막과 외늑간근이 힘 써서 흉강 넓혀준다!"
갈비뼈를 바깥으로 늘어서 안의 공간을 늘린다!
📝 예상문제
Q. 다음 중 들숨 시 작용하는 주요 호흡근이 아닌 것은?
① 횡격막
② 외늑간근
③ 흉쇄유돌근
④ 내늑간근
✅ 정답: ④번 (내늑간근)
💡 해설: **내늑간근(internal intercostals)**은 **날숨(expiration)**에서 작용하며
흉곽을 아래로 당겨 가슴안 공간을 줄이는 역할이야.
✅ 6번. 인체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요약]
①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은 골반의 전방경사를 일으킨다.
② 오금근(popliteus)은 면쪽 넙다리뼈 뒤가쪽에서 시작해서, 정강뼈 몸쪽 뒤안쪽에 붙는다.
③ 긴종아리근(peroneus longus)은 가쪽번짐 + 발바닥 굽힘 작용을 한다.
④ 앞십자인대(ACL)는 하나의 섬유 다발로, 뒤십자인대(PCL)는 두 개의 섬유 다발로 구성된다.
✅ 정답: ④번
🧠 보기 해설
- ①번: 맞음
넙다리곧은근은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작용이 있어서
**전방경사(anterior tilt)**를 유도함 - ②번: 맞음
오금근은 넙다리뼈 가쪽관절융기에서 시작해,
정강뼈 뒤쪽 안쪽에 붙음 → 무릎 잠금 해제 (unlocking) 역할 - ③번: 맞음
긴종아리근은 발 외번(everson) + **발바닥 굽힘(plantar flexion)**을 함께 수행함 - ④번: ❌ 틀림
실제로는 ACL과 PCL 모두 2개의 섬유 다발(bundle)로 구성됨!
즉, ACL도 하나가 아님!
▶ ACL: anteromedial + posterolateral bundle
▶ PCL: 역시 두 다발
✨ 한 줄 암기팁
"ACL도 사실상 두 다발이야! 무릎의 X자 구조는 간단하지 않다!"
📝 예상문제
Q. 다음 중 오금근(popliteus)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무릎 신전
② 무릎 잠금 유지
③ 무릎 외회전
④ 무릎 잠금 해제
✅ 정답: ④ 무릎 잠금 해제(unlocking)
💡 오금근은 무릎 굴곡 초기에 경골을 내회전시켜 잠긴 상태에서 풀어주는 역할을 함.
오금이 지린다-> 쫄아서 다리가 풀린다-> 무릎이 접힌다 ->무릎이 서로 안으로 모이면서(tibia IR) 접히면서 풀썩 주저 앉음.
✅ 7번. 발에서 가장 가쪽(lateral)에 위치한 것은?
[선택지 정리]
① 입방뼈 (cuboid)
② 발배뼈 (navicular)
③ 첫번째 발허리뼈 (1st metatarsal)
④ 세번째 쐐기뼈 (3rd cuneiform)
✅ 정답: ①번 입방뼈 (cuboid)
🧠 개념 정리 – 발의 뼈 위치 관계
발의 중족골과 근위쪽 뼈는 크게 아래처럼 구성돼:
🔵 발목 쪽(근위뼈)
- 종골(calcaneus)
- 거골(talus)
🟢 중간발 (Midfoot) – 중요!
- 가쪽(lateral): 입방뼈 (cuboid)
- 안쪽(medial): 발배뼈 (navicular)
- 가운데~안쪽: 쐐기뼈(cuneiform) 3개
- 1st(내측) → 2nd(중간) → 3rd(외측)
🔴 앞발 (Forefoot)
- 발허리뼈(metatarsals) 1~5
- 1번은 엄지발가락 쪽 → 안쪽임!
❌ 보기 해설
- ① 입방뼈(cuboid) → ✅ 발의 가장 가쪽, 새끼발가락 쪽 뼈
- ② 발배뼈(navicular) → 중간에 위치, 안쪽임
- ③ 1번 발허리뼈 → 엄지발가락 방향 → 안쪽에 위치
- ④ 3번 쐐기뼈 → 3개 중 가장 가쪽이지만, 입방뼈보단 안쪽
✨ 한 줄 암기팁
“안→바→쐐→입” → 발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발배뼈–쐐기뼈–입방뼈!”
📝 예상문제
Q. 다음 중 안쪽(medial)에 위치한 발뼈는?
① 입방뼈 (cuboid)
② 3번 쐐기뼈 (3rd cuneiform)
③ 1번 발허리뼈 (1st metatarsal)
④ 종골 (calcaneus)
✅ 정답: ③번 1번 발허리뼈
💡 1번 metatarsal은 엄지발가락 방향 → **발 안쪽(medial)**에 있음!
✅ 8번.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 수행 시 사용되는 근육과 근수축 종류가 옳은 것은?
[선택지 요약]
-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 단축성
-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 – 신장성
- 장딴지근(gastrocnemius) – 단축성
- 중간넓은근(vastus intermedius) – 신장성
✅ 정답: ②번 (반막모양근 + 신장성)
🧠 개념 정리 – Nordic Hamstring Exercise
- 상체를 무릎을 고정한 채로 천천히 앞으로 숙이는 동작
- 이때 **햄스트링(hamstrings)**은 무릎 굴곡을 유지하며 천천히 버텨야 함
🌟 이때 작용하는 근육은?
▶ 햄스트링 그룹(뒤쪽 허벅지 근육):
-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
- 반힘줄근(semitendinosus)
-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 작용하는 수축 유형은?
- 몸이 앞으로 천천히 숙여질 때 → 근육이 늘어나면서 버팀
▶ 이것이 바로 신장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
❌ 보기 해설
- ① 넙다리두갈래근 – 단축성 → 틀림!
이 운동에선 단축이 아니라 **늘어남(신장성)**이야! - ② 반막모양근 – 신장성 → ✅ 정답!
햄스트링 근육이 대표적으로 eccentric 수축을 하게 됨 - ③ 장딴지근 – 단축성 → 틀림!
장딴지근은 종아리 근육으로, 이 운동에서 주 작용근이 아님 - ④ 중간넓은근 – 신장성 → 틀림!
중간넓은근은 대퇴사두근(넓적다리 앞쪽) 소속, 무릎 폄에 작용 → 관련 없음
✨ 한 줄 암기팁
"노르딕 햄스트링 = 뒤쪽 허벅지(햄스트링)의 신장성 훈련!"
📝 예상문제
Q. 노르딕 햄스트링 운동은 어떤 목적의 트레이닝으로 활용되는가?
① 대퇴사두근 강화
② 햄스트링 단축성 수축 강화
③ 햄스트링 신장성 수축 능력 향상
④ 종아리 근육 강화를 통한 점프력 향상
✅ 정답: ③번
💡 해설: 햄스트링을 **신장성으로 훈련해 손상 예방과 이탈방지(hamstring strain)**에 매우 효과적임!
✅ 9번. 상지 근육과 신경지배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선택지 요약]
① 큰마름근(rhomboid major) – 가슴등신경(thoracodorsal nerve)
②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 – 어깨밑신경(subscapular nerve)
③ 가시아래근(infraspinatus) –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erve)
④ 팔꿈치근(anconeus) – 자신경(ulnar nerve)
✅ 정답: ③번 (가시아래근 – 어깨위신경)
🧠 개념 정리 – 상지 근육 지배 신경
근육 | 지배 신경 |
큰마름근 |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erve) |
앞톱니근 | 긴가슴신경(long thoracic nerve) |
가시아래근 |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erve) |
팔꿈치근 | 노신경(radial nerve) |
❌ 보기 해설
- ① 큰마름근 – 가슴등신경 → ❌
가슴등신경(thoracodorsal nerve)은 광배근(latissimus dorsi) 지배
큰마름근은 **등쪽어깨신경(dorsal scapular nerve)**이 지배함! - ② 앞톱니근 – 어깨밑신경 → ❌
앞톱니근(serratus anterior)은 **긴가슴신경(long thoracic nerve)**이 지배함 - ③ 가시아래근 – 어깨위신경 → ✅ 정답!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erve)은 **가시위근(supraspinatus)**과 **가시아래근(infraspinatus)**을 둘 다 지배함 - ④ 팔꿈치근 – 자신경 → ❌
팔꿈치근(anconeus)은 노신경(radial nerve) 지배임.
자신경은 새끼손가락, 엄지모음근 등 손 부위 위주 신경 지배!
✨ 한 줄 암기팁
“가-가-어깨위신경, 톱은 긴가슴, 마름은 등어깨!”
📝 예상문제
Q. 어깨위신경(suprascapular nerve)이 지배하는 근육은?
① 가시아래근, 가시위근
② 가시아래근, 앞톱니근
③ 가시위근, 큰가슴근
④ 가시아래근, 넓은등근
✅ 정답: ①번 (가시아래근, 가시위근)
💡 해설: **어깨위신경은 회전근개 중 2개(가시위, 가시아래)**를 지배함.
완전 암기 문제라서 개킹 받았을 것임
상지 하지 더 자세히 살펴보기!
2025.04.05 - [📕기능해부학, 운동역학/필수개념정리] - [기능해부학]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기능해부학]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건강운동관리사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방출 ✅ 1. 근육 그룹별로 묶어서 외워! (패턴으로)무작정 하나하나 외우면 머리 터지니까,근육 위치 기준으로 "이 신경은 이 근육 묶음 지배해!" 이
corebox21.tistory.com
❓ 문제
무릎 손상 중 ‘불행삼주징(unhappy triad)’에 포함되지 않는 구조는?
✅ 정답
② 뒤십자인대 (posterior cruciate ligament)
🧠 개념 정리: Unhappy Triad란?
🔥 불행삼주징(unhappy triad)이란?
- 강한 외부 힘(예: 가쪽에서 오는 외반력)에 의해
세 가지 구조가 동시에 손상되는 무릎 부상 패턴!
📦 포함되는 3가지 구조:
- 앞십자인대 (ACL)
- 안쪽곁인대 (MCL)
- 안쪽 반달연골 (medial meniscus)
✔ 흔히 "비틀림 + 외측 충격"으로 발생
✔ 축구, 스키, 럭비 등에서 자주 발생함
보기별 해설
- ① 앞십자인대(ACL): ✅ 포함됨.
- ② 뒤십자인대(PCL): ❌ 포함 안 됨.
→ 주로 무릎 굽힘 상태에서 뒤로 밀릴 때 손상됨. - ③ 안쪽곁인대(MCL): ✅ 포함됨.
- ④ 반달연골(meniscus): ✅ 포함됨. 특히 안쪽 연골.
🧠 암기 꿀팁
💡 암기문장:
"**앞-곁-연(연골)**이 불행하게 한 세트!"
(앞십자인대, 안쪽곁인대, 안쪽반달연골)
🎯 예상문제
Q. 아래 중 불행삼주징의 손상 기전으로 옳은 것은?
① 외측 충격에 의한 내반 스트레스
② 내측 충격에 의한 외반 스트레스
③ 정강이 뒤로 전위
④ 경골의 내회전 + 외측 충격
✅ 정답: ④
- 설명: 경골의 내회전 + 외측 충격 → 외반력 유발 → ACL, MCL, meniscus 손상
'📕기능해부학, 운동역학 > 23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기능해부학 11-20번 개념정리 (0) | 2025.04.06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