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 운동역학/23년도 기출문제풀이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기능해부학 11-20번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4. 6.
반응형

🐾 문제 분석

보행 시 나타나는 장애 유형에 대한 보상작용이 옳지 않은 것은?

이 문제는 기능해부학 + 운동역학 + 보상 패턴까지 같이 나오는
진짜… 진심 전문가 문제다냥 ㅠㅠ


✅ 정답: ② 무릎 굽힘 구축 – 엉덩관절 휘돌림 (❌)


🔎 보기는 왜 틀렸냐면...

  • 무릎 굽힘 구축(knee flexion contracture)은
  • 무릎이 펴지지 않아서 전체적인 하지 길이 짧아짐
  • → 보상 작용은 엉덩관절 굽힘 증가 또는 보폭 감소
  • → ❌ *엉덩관절 휘돌림(hip circumduction)*은 발이 안 들리는 경우
  • Hip circumduction은 대표적으로
  • Foot drop (발처짐)에서 보상으로 나타나는 양상

나머지 보기도 확인해보자... 🐾


① 발처짐 → 과도한 무릎/엉덩관절 굽힘 (⭕)

  • 종아리 근육이나 신경 이상으로 족배굴곡이 안 되는 상황
  • 보상: 무릎·엉덩이 굽혀서 발을 들어 올림 (steppage gait)

③ 대퇴사두근 약화 → 앞으로 몸통 기울임 (⭕)

  • 무릎 굽힘 방지하려고 몸을 앞으로 숙여서
  • 중심을 무릎 앞쪽에 놓는 전략 사용함

④ 발목 저측굴곡 구축 → 무릎 과다폄, 말기기댐 시 몸통 앞으로 (⭕)

  • 발이 뒤로 젖혀지지 않아 발뒤꿈치 착지가 안 됨
  • 대신 mid stance에서 무릎 과다폄
  • → terminal stance에서는 앞으로 몸통 밀기

🧠 한 장 정리 이미지로 떠올려봐!

  • 발처짐 = 다리 휘돌림 or 과도한 굽힘
  • 무릎 안 펴짐 = 그냥 짧아짐
  • 대퇴사두 약화 = 몸 앞으로
  • 발목 구축 = 뒤꿈치 착지 안 돼서 몸 앞·무릎 과다폄

🌟 예상문제

Q. 보행 중 steppage gait는 어떤 근육의 약화로 발생하는가?
① Gastrocnemius
② Tibialis anterior
③ Gluteus medius
④ Rectus femoris

✅ 정답: ② Tibialis anterior
👉 족배굴곡(발등 들어올림)이 안 되면 발처짐(gait drop)이 생기고,
steppage gait로 보상함.
 
🦶 보행 주기별 문제점 · 원인 · 보상 작용 정리


1. Heel Strike (Initial Contact)

  • ✅ 문제점: 발처짐 (Foot Drop)
  • ✅ 원인: 전경골근 약화 또는 신경손상 (뒤꿈치가가 바닥에 닿을 때 적절한 dorsiflexion이 안됨.)
  • ✅ 보상작용:
  •   → 엉덩관절 휘돌림 (hip circumduction)
  •   → 과도한 무릎/엉덩관절 굽힘 (steppage gait)

2. Loading Response (체중부하기)

  • ✅ 문제점: 대퇴사두근 약화 (Quadriceps weakness)
  • ✅ 원인: 대퇴사두근 기능 저하
  • ✅ 보상작용:
  •   → 몸통 앞으로 기울임 (forward trunk lean)
  •     → 무릎 신전 보조하기 위해 체중을 전방 이동. 땅을 딛고 서있어야하는데 사두가 약하니까 무릎이 완전히 안펴짐. 

3. Mid Stance

  • ✅ 문제점: 무릎 과다폄 (Knee hyperextension)
  • ✅ 원인: 대퇴사두 약화 or 발목 저측굴곡 구축
  • ✅ 보상작용:
  •   → 무릎 잠금 보행 (locking gait)
  •     → 관절 안정성 확보를 위해

4. Terminal Stance

  • ✅ 문제점: 발목 저측굴곡 구축 (Plantar flexion contracture)
  • ✅ 원인: 비복근·가자미근 단축
  • ✅ 보상작용:
  •   → 무릎 과다폄
  •   → 발 뒤꿈치 닿지 않음 (toe walking), 비복근 단축이니까 까치발 됨.

5. Pre-Swing

  • ✅ 문제점: 지연된 발가락 이탈 (Delayed toe-off)
  • ✅ 원인: 발가락 굴곡근 긴장
  • ✅ 보상작용:
  •   → 발가락 끌며 걷기 (dragging gait)

6. Initial Swing

  • ✅ 문제점: 고관절 굴곡 약화 (Hip flexor weakness)
  • ✅ 원인: 장요근 약화
  • ✅ 보상작용: 흔듦기에서 hip 굴곡 되면서 공중에 떠야하는데 그게 안되니까 골반을 휘돌려서 다리가 뜨게 함.
  •   → 엉덩관절 휘돌림 (hip circumduction)
  •   → 반대쪽 골반 상승 (hip hike)

7. Mid Swing

  • ✅ 문제점: 하지 길이 부족 (Shortened limb)
  • ✅ 원인: 하지 구조적 짧음 or 보행 주기 단축
  • ✅ 보상작용:
  •   → 엉덩관절 지나친 굴곡 (hip overflexion)

8. Terminal Swing

  • ✅ 문제점: 햄스트링 단축 (Hamstring tightness)
  • ✅ 원인: 햄스트링 단축 or 신경근성 긴장
  • ✅ 보상작용: 햄스트링이 짧아져 앞으로 다리가 완전히 펴져서 내딛어지지 않으니까 
  •   → 보폭 짧아짐 (shortened step)
  •   → 보행 주기 단축

캬 미챠부러 Chat gpt랑 제미나이가 아직 이거까진 못 계산한다. 거꾸로 유추해서 답 끼워맞추라고 하면 신기한 식을 만들어 내는데 한참 고민했네ㅡㅡ 나도 바보여... 
님들 이 문제는 50뉴턴, 100뉴턴 더해서 저항토크를 설정해두는 것이 아닌, 100N의 토크 따로, 50N의  토크 따로 구해서 더한 값과 이두의 토크값이 같아지도록 해야함.
그리고 무적권 받침점은 팔꿈치임. 이두 부착점 아님. 이두가 상쇄해야할 토크는 추와 팔의 무게 즉 2가지임.
이 지레는 3종 지레로 축이 팔꿈치, 힘점이 이두 부착점, 저항점이 팔무게 부분과 손 부분.
팔의 토크 = 15cm*50N = 750
손의 토크 = 30cm*100N= 3000
이두 토크 = 5cm* x N = 3750 
정답 750 N


2021.01.27 - [📕운동상해] - 호시탐탐 파트라슈 손목 뼈 외우기

호시탐탐 파트라슈 손목 뼈 외우기

아무것도 모를 때는 그저 손목뼈가 저렇게 여러동강으로 아작이 나있는지 미쳐 상상치 못했다. 그리고 공부하기 시작하면서도 왜 중요한지 알수가 없었다. 오늘 공부 또 했지만 양이 방대해 넘

corebox21.tistory.com

호씨탐'탐' 
파트라슈
용사여 당신의 오른손바닥을 보시옹
 
🧠 [문제 개념 핵심 요약]

손목(wrist)의 8개 손목뼈(carpal bones) 중,
가장 **먼쪽(distal)**에 위치한 뼈를 고르는 문제야.

손목뼈는 이렇게 두 줄로 나뉘어 있어:

  • 🔵 Proximal row (몸쪽 줄)
  • : 손배뼈(scaphoid), 반달뼈(lunate), 세모뼈(triquetrum), 콩알뼈(pisiform)
  • 🔴 Distal row (먼쪽 줄)
  • : 큰마름뼈(trapezium), 작은마름뼈(trapezoid), 머리뼈(capitate), 갈고리뼈(hamate)

🔍 보기를 하나씩 분석해볼게!

  • ① 붓돌기(ulnar styloid process)
  • → 이건 척골의 뼈 끝! 손목뼈가 아니라 전완골이야. ❌
  • ② 작은마름뼈(trapezoid)
  • → 손목의 먼쪽 줄에 위치한 진짜 distal 뼈! ✅ 정답 후보
  • ③ 손배뼈(scaphoid)
  • → 몸쪽 줄에 위치한 손목뼈. ❌
  • ④ 반달뼈(lunate)
  • → 이것도 몸쪽 줄! ❌

✅ 정답: ② 작은마름뼈(trapezoid)


🧠 한 줄 암기 꿀팁!

손목뼈의 영어 이름 첫 글자를 따서 외워보자냥:

몸쪽 줄 (Proximal row)
"Some Lovers Try Positions"

  • Scaphoid, Lunate, Triquetrum, Pisiform

먼쪽 줄 (Distal row)
"That They Can't Handle"

  • Trapezium, Trapezoid, Capitate, Hamate

🎯 예상문제
Q. 다음 중 손목뼈(carpal bon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손배뼈
② 반달뼈
③ 척골
④ 머리뼈
👉 정답: ③ 척골 (ulna)
☝️ 손목을 구성하지만 손목뼈는 아님! 전완골임.


푸시오프구간이죠 직접해보시죠 발바닥으로 바닥 밀어보죠
❓ 문제 요약
**보행 시 말기디딤기(Terminal stance, 31~50%)**에서
가장 적게 활성화되는 근육은 무엇일까?


✅ 정답: ③ 앞정강근 (tibialis anterior)


🧠 개념 정리 (말기디딤기란?)
📌 Terminal Stance (말기디딤기)

  • 보행 주기 중 31 ~ 50% 구간
  • 발뒤꿈치가 바닥에서 뜨고, 반대쪽 발이 스윙기에 가까워짐
  • 몸통은 전방으로 진행 중이고, 체중은 앞발로 이동 중!

💪 말기 디딤기에서 주로 활성되는 근육은?

근육명 작용 활성화 정도
🟡 가자미근 (Soleus) 발목 저측굴곡(plantar flexion) 매우 활발
🟡 장딴지근 (Gastrocnemius) 발목 저측굴곡 + 무릎 굽힘 활성화
🟡 긴발가락굽힘근 (Flexor digitorum longus) 발가락 굽힘 보조적 활성
🔵 앞정강근 (Tibialis anterior) 발목 배측굴곡(dorsiflexion) 거의 비활성

🔻 이 시기엔 발목이 저측굴곡 상태이므로,
배측굴곡 근육인 앞정강근은 휴식 상태라고 보면 돼.


🔐 한줄 요약 꿀팁

“발바닥 떼기 직전엔 뒤쪽 근육은 다 열일!
앞쪽 근육(앞정강근)은 잠시 쉬어간다~”


📌 예상문제
Q. 발뒤꿈치 들림(heel-off) 직후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는 근육은?
① 앞정강근
② 장딴지근
③ 장요근
④ 중둔근
정답: ② 장딴지근
→ 말기디딤기의 저측굴곡 파워 주동근이야!


뉴만 그림 나왓죠ㅜㅜ
✅ 정답: ③ 위팔가로인대 (transverse humeral ligament)


❓ 문제 요약
**GH 관절(어깨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는 **상부 관절주머니 구조(SCS)**가 아닌 것은?


🧠 개념 정리
📌 Superior Capsular Structures (SCS)
: 중력(G)과 함께 상완골두(humeral head)를 관절와에 눌러주는
"압박력(Compressive Force, CF)"을 만들어주는 수동적 안정 구조물이야.


✅ SCS에 해당하는 구조들

  1. 가시위근(supraspinatus)
    • 회전근개 중 위쪽에 위치
    • 상완골두를 상방에서 눌러주는 역할
  2. 관절주머니인대(capsular ligament)
    • 관절낭을 둘러싼 섬유성 구조물
  3. 부리위팔인대(coracohumeral ligament)
    • 상완골두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

🔺 이들은 모두 중력(G)에 대항해서 CF를 만들어내는 축이 된다.


❌ 오답 포인트
③ 위팔가로인대(transverse humeral ligament)

  • 얘는 **상완 이두근 긴갈래힘줄(long head of biceps)**이
  • 이두근구(bicipital groove) 밖으로 튀어나가지 않게 덮어주는 역할
  • 즉, GH 관절 안정성과는 직접적 관련 없음!

✍ 한 줄 요약

SCS는 GH관절을 잡아주는 "중력 대항 상부 구조물"
⛔ 위팔가로인대는 이두근 보존용이니 낚이면 안 된다냥!


📌 예상문제
Q. 다음 중 상완 이두근 장두(long head of biceps)의 활주를 안정화하는 구조는?
① 가시위근
② 관절주머니인대
③ 부리위팔인대
④ 위팔가로인대

👉 정답: ④
🧠 해설
**상완 이두근 장두(long head of biceps)**는 상완골 앞쪽의 홈,
즉 **이두근구(bicipital groove)**를 따라 지나가는데,
이때 **위팔가로인대(transverse humeral ligament)**가
그 홈 위를 뚜껑처럼 덮어서 장두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줘!
📌 반면, 나머지 보기는 모두 어깨 관절의 안정성 유지에 관여하는 구조지,
이두근의 활주 안정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 핵심 키워드
#어깨관절 #GH관절 #SCS #압박력 #CompressiveForce #Supraspinatus #CoracohumeralLigament #TransverseHumeralLigament #기출해설 #운동해부학


✅ 정답: ④ 몸통 무게중심의 수직 이동거리 변화


🔍 문제 해설
이 문제는 윗몸일으키기(sit-up) 자세에서
**운동 강도(필요한 힘)**가 왜 증가하는지를 묻는 문제야!

  • **(가)**는 평평한 바닥에서 수행
  • **(나)**는 상체가 아래로 내려간 경사면에서 수행

▶ 똑같이 허리 힘으로 몸을 들어올리지만,
(나)에서는 몸통 무게중심이 더 아래쪽에 있어서
➡ 들어올릴 때 수직으로 이동해야 할 거리가 더 길어짐!
즉,
무게중심의 수직 이동거리가 커질수록
💪 **더 큰 토크(회전력)**가 필요하게 되는 거야!


🧠 한 줄 정리

몸은 그대로여도, 무게중심의 위치가 변하면 드는 힘이 달라져! (특히 수직 방향 이동거리📏가 핵심!)


🏷 핵심 키워드
#운동역학 #무게중심 #윗몸일으키기 #허리굴곡근 #수직이동거리 #운동강도비교


🎯 예상문제
Q. 동일한 사람, 동일한 자세 조건에서, 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윗몸일으키기 시 더 많은 힘이 필요한 이유는?
① 관성 증가
② 마찰 감소
무게중심 수직 이동거리 증가
④ 질량 변화
👉 정답: ③


 


❓ 문제
보기의 뼈에 모두 부착된 근육군은?
👉 골반(pelvic), 넙다리뼈(femur), 정강이뼈(tibia), 종아리뼈(fibula)


✅ 정답: ④ 뒤넙다리근 군(hamstring group)


🔍 보기별 분석


보기 ① 종아리세갈래근 군 (triceps surae group)

  • 구성: 장딴지근(gastrocnemius), 가자미근(soleus)
  • 부착:
    • 기시: 대퇴골(femur), 종아리뼈(fibula), 정강이뼈(tibia)
    • 정지: 발꿈치뼈(calcaneus)
  • ❌ 골반에는 부착되지 않음 → 오답

보기 ② 볼기근 군 (gluteal group)

  • 구성: 대둔근, 중둔근, 소둔근, 이상근 등
  • 부착:
    • 주로 골반 → 대퇴골 (넙다리뼈)
  • ❌ 정강이뼈, 종아리뼈에는 부착 없음 → 오답

보기 ③ 넙다리네갈래근 군 (quadriceps femoris group)

  • 구성: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 부착:
    • 대퇴골 + 정강이뼈 (슬개골을 통해)
  • ❌ 종아리뼈에는 부착되지 않음 → 오답

보기 ④ 뒤넙다리근 군 (hamstring group)

  • 구성:
    •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 긴갈래: 골반(좌골결절)종아리뼈(머리)
      • 짧은갈래: 넙다리뼈(femur)종아리뼈(fibula)
    • 반막양근, 반힘줄근:
      • 골반정강이뼈
  • ✅ 네 개의 뼈 모두에 부착!

🧠 핵심 개념 요약

  • Hamstring group
    기시: 좌골결절(골반), 대퇴골
    정지: 정강이뼈, 종아리뼈
    👉 보기의 모든 뼈 포함!

💡 한 줄 정리
"햄스트링은 좌골~종아리까지! 기시도 다양, 정지도 다양!"


🎯 예상문제
Q. 햄스트링 중 대퇴골(femur)에서 기시하는 근육은?
① 반막양근
② 반힘줄근
③ 대퇴이두근 긴갈래
④ 대퇴이두근 짧은갈래 ✅
👉 해설:

  • 긴갈래는 좌골에서 시작
  • 짧은갈래는 대퇴골에서 기시! → 오직 짧은갈래만 대퇴골 기시

📌 핵심 키워드 해시태그
#햄스트링 #기시점정지점 #기능해부학 #근육부착 #좌골결절 #정강이뼈 #종아리뼈 #골반부착근 #건운사기출 #해부학정리 #근육암기팁


🧠 구조물의 해부학적 위치 비교 (위에서 아래로!)

구조물 해부학적 위치 비고
꼭지돌기 (mastoid process) 가장 위 (머리뼈, 귀 뒤쪽) 상지보다 위!
엉덩뼈 (ilium) 골반 뼈, 몸통 아래 하지 시작점
무릎뼈 (patella) 대퇴골과 경골 사이, 무릎 앞 하지 중간쯤
발꿈치뼈 (calcaneus) 발 뒤꿈치 뼈, 하지 끝 가장 아래

📌 따라서 위에서 아래 순서는?

꼭지돌기 → 엉덩뼈 → 무릎뼈 → 발꿈치뼈


✔ 정답: ②번


❌ 오답 확인

  • 엉덩뼈 → 무릎뼈 → 발꿈치뼈 → 꼭지돌기
    → ❌ 꼭지돌기가 마지막이면 말이 안 됨 (해부학적으로 머리에 있는 구조)
  • 무릎뼈 → 꼭지돌기 → 발꿈치뼈 → 엉덩뼈
    → ❌ 순서 난장판
  • 발꿈치뼈 → 무릎뼈 → 엉덩뼈 → 꼭지돌기
    → ❌ 아래에서 위로 나열되어 있음

💡 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

  • 꼭지돌기(mastoid process)는 귀 바로 뒤쪽, 즉 두개골의 일부야.
    → 해부학적 위치상 팔보다도 위!

🧠 예상문제 (개념 연습용)
Q. 다음 중 해부학적 위치상 가장 아래(inferior)에 있는 것은?
① 쇄골(clavicle)
② 장요근(iliopsoas)
③ 복장뼈(sternum)
④ 종골(calcaneus)
→ 정답: ④ 종골(calcaneus) (발꿈치뼈)


📌 핵심 키워드 해시태그
#해부학위치 #상지하지 #꼭지돌기위치 #기초해부학 #건강운동관리사 #운동해부학 #해부학순서문제 #mastoidprocess #calcaneus위치



❓ 문제

일반적으로,
**힘줄(tendon)**은 ( ㉠ )와/과 ( ㉡ )를 연결하고,
**인대(ligament)**는 ( ㉢ )와/과 ( ㉣ )를 연결한다.
알맞은 연결 조합은?


📘 기본 개념부터 정리!
🟢 힘줄 (tendon)

  • **근육(muscle)**과 **뼈(bone)**를 연결하는 조직
  • 예시: 아킬레스건 → 종아리 근육과 발꿈치뼈 연결

🟣 인대 (ligament)

  • **뼈(bone)**와 **뼈(bone)**를 연결하는 조직
  • 예시: 무릎 내측인대(MCL) → 대퇴골과 경골 연결

🧠 따라서 정답은?

  • ㉠: 근육
  • ㉡: 뼈
  • ㉢: 뼈
  • ㉣: 뼈

①번이 가장 정확한 조합임!


✔ 보기 해설 (오답 이유 포함)

  • 보기 ②: 뼈와 뼈 연결하는 건 인대가 맞지만, 힘줄이 뼈와 근육 연결이라는 순서 틀림
  • 보기 ③: 인대가 연골과 뼈를 연결한다고 했는데, 일반적 정의는 뼈-뼈 연결
  • 보기 ④: 힘줄이 연골과 뼈 연결이라고 되어 있는데, 연골은 해당 안 됨

📌 정답: ①번


📌 핵심 키워드 해시태그
#힘줄 #인대 #tendon #ligament #근육뼈연결 #뼈뼈연결 #해부학기초 #운동해부학 #운동손상예방


🎯 예상문제

Q. 다음 중 뼈와 뼈를 연결하는 구조물은?
① 근막(fascia)
② 인대(ligament)
③ 힘줄(tendon)
④ 연골(cartilage)

정답: ② 인대(ligament)


❓ 문제
**아래다리(lower leg)의 앞쪽구획(anterior compartment)**에
해당하지 않는 근육은?


📘 핵심 개념: 하퇴 근육의 구획별 분류
🟢 Anterior compartment (앞쪽구획)

  • 기능: 발의 배측굴곡(dorsiflexion)
  • 지배신경: 심비골신경(deep fibular nerve)
  • 대표 근육
    • 앞정강근(tibialis anterior)
    • 긴엄지폄근(extensor hallucis longus)
    • 긴발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longus)

🔴 Posterior compartment (뒤쪽구획)

  • 기능: 발의 저측굴곡(plantar flexion)
  • 지배신경: 정강신경(tibial nerve)
  • 대표 근육
    • 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gus) ← ❗️문제의 포인트!

✔ 정답: ③ 긴발가락굽힘근

  • 이 근육은 이름 그대로 "굽힘(flexor)" 작용 → 뒤쪽구획(posterior compartment)
  • 나머지는 모두 "폄근(extensor)"앞쪽구획(anterior compartment)

🧠 보기 해설

  • 보기 ①: 앞정강근 – 배측굴곡 주동근 → 앞쪽구획 (O)
  • 보기 ②: 긴엄지폄근 – 엄지의 배측폄 → 앞쪽구획 (O)
  • 보기 ③: 긴발가락굽힘근저측굴곡 작용뒤쪽구획 (❌)
  • 보기 ④: 긴발가락폄근 – 발가락 배측폄 → 앞쪽구획 (O)

✅ 정답: ③번


🏷 핵심 키워드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하퇴근육 #근육구획 #anteriorcompartment #posteriorcompartment
#앞정강근 #긴발가락폄근 #긴발가락굽힘근 #운동해부학 #기출문제풀이


🎯 예상문제 (레벨업용)

다음 중 **뒤쪽 구획(posterior compartment)**에 해당하는 근육은?
① 앞정강근
② 긴엄지폄근
③ 긴발가락폄근
④ 긴발가락굽힘근

정답: ④번
 
본인이 외우는 방법

이것에 대한 설명을 장황하게 하고 싶으나 일단 패스임.
D=깊은종라이 신경, T=정강신경, S=얕은종아리신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