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부하검사] 1번 문제
운동부하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기 분석
① 질환에 대한 진단과 예후 및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 ✅ 정답 맞음.
운동부하검사(Exercise Stress Test, EST)는 진단적 목적, 예후 예측, 운동능력 평가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됨.
출처: ACSM’s Guidelines, 11th ed.
"Exercise testing is used for the assessment of functional capacity, diagnostic evaluation, and prognosis."
② 진행 중인 불안정 협심증 진단을 위해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 ❌ 틀림 (정답)
-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은 절대 금기사항이다.
- 이 시기에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하면 심근경색 또는 심장사 위험이 높아짐.
출처: ACSM’s Guidelines, 11th ed.
"Unstable angina is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exercise testing."
③ 혈압이나 최고 운동능력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이다.
→ ✅ 맞음
- 운동 중의 혈압 반응, 심전도 변화, 운동능력 등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종합 평가하는 수단임.
④ ST 분절 하강과 같은 증상-제한 최대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실시한다.
→ ✅ 맞음
- "Symptom-limited maximal test" 개념에 해당됨.
- 피험자가 흉통, ST 하강, 혈압 이상, 과도한 피로, 호흡곤란 등으로 검사를 종료하게 됨.
✅ 정답: ②번
불안정 협심증 환자에게 운동부하검사는 시행하지 않음 (절대금기)
🔁 한 줄 요약
운동부하검사는 운동능력, 심혈관 반응, 예후 판단에 쓰이지만,
불안정 협심증 등 금기사항이 있는 경우엔 금지된다.
🧠 예상문제 파생
다음 중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 금기사항이 아닌 것은?
① 불안정 협심증
② 최근 심근경색
③ 조절되지 않은 심부전
④ 안정형 협심증
정답: ④ 안정형 협심증
→ 상대적 금기 (의료진 감독하에 가능)
[운동부하검사] 2번 문제
운동부하검사가 필요한 경우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② 2일 이내 발생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해
🔍 보기는 이렇게 검토해야 해
① 가슴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들의 평가를 위해
→ ✅ 운동부하검사 적응증
- 흉통(가슴통증)의 원인을 평가하거나,
- 협심증 의심 시 감별진단 목적으로 시행됨.
특히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의심 시 적합
② 2일 이내 발생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예후 예측
→ ❌ 운동부하검사 금기 상황임 (정답)
- 급성 심근경색 발병 후 2일 이내는
ACSM에서도 **운동부하검사의 절대 금기(Absolute contraindication)**로 분류. - 심근이 손상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 심부담 증가 → 재발 위험 있음
③ 심장발작 이후 직장의 복귀 여부 판단
→ ✅ 운동부하검사 사용 목적 중 하나
- 심근경색 이후 기능회복 평가나
- 작업능력(직장 복귀 여부 등) 확인 목적에서 사용
④ 심장질환자의 운동처방을 권고하기 위해
→ ✅ 운동능력 평가 후 개인 맞춤형 운동처방을 위한 기준 자료 확보 목적
✅ 최종 정답: ②
급성심근경색 2일 이내는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 금기 상황임
📌 ACSM's Guidelines 11판 기준 문장 인용
"Recent significant change in the resting ECG suggesting acute cardiac event 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ithin 2 days is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exercise testing."
🧠 예상문제 예시
다음 중 운동부하검사의 절대적 금기 상황으로 옳은 것은?
① 안정형 협심증
② 조절된 고혈압
③ 급성 폐색전증
④ 심혈관질환 가족력
정답: ③
[운동부하검사] 3번 문제
트레드밀 검사와 비교하여 자전거 에르고미터 검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④
🔍 보기 분석
① 혈압과 심전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
→ ✅ 맞음
- 자전거 에르고미터는 상체 움직임이 적고 고정된 자세이므로
➝ 혈압 및 심전도(EKG) 모니터링이 트레드밀보다 훨씬 안정적
② 이동이 간편하고 공간이 적게 필요하다.
→ ✅ 맞음
- 트레드밀은 기계가 크고 설치공간 필요
- 자전거는 비교적 이동과 설치 간편, 공간 효율적
③ 국소 근피로로 인해 최대산소섭취량이 낮게 평가될 수 있다.
→ ✅ 맞음
- 자전거 운동은 하지 근육(특히 대퇴사두근) 사용에 치중됨
- 이로 인해 근피로가 먼저 도달 → VO₂max 도달 전에 종료 가능성 있음
➝ 최대산소섭취량이 실제보다 낮게 평가될 수 있음
④ 비만 환자와 같이 근골격계와 정형외과적 문제가 있는 경우에 적절하지 않다.
→ ❌ 틀림 (정답)
- 오히려 자전거 에르고미터는
- 체중 부하가 적고
- 관절 충격이 적음
➝ 비만, 관절염, 정형외과 질환자에게 적절한 운동검사임
- 트레드밀보다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 정답: ④
자전거 에르고미터는 비만 환자나 정형외과 질환자에게도 적절한 검사임
🧠 예상문제
자전거 에르고미터 검사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이 실제보다 낮게 나오는 이유는?
① 측정기기 오류
② 지구성 훈련 부족
③ 하지 근육 국소 피로
④ 불규칙한 호흡 패턴
정답: ③
[운동부하검사] 4번 문제
ACSM's Guidelines 11판 기준으로
운동부하검사 전 심혈관질환 위험분류 시
최종 위험요인 수는 몇 개인가?정답: ① 0개
📌 ACSM 위험요인 평가 기준 적용
항목 | 기준 | 해당 여부 |
1. 연령 | 여성 ≥55세, 남성 ≥45세 | ❌ 25세 여성 |
2. 가족력 | 부모 형제 중 조기 심질환 | ❌ 부모 모두 건강 |
3. 흡연 | 현재 흡연 or 6개월 이내 끊음 | ✅ 주당 1개피 흡연, 현재 흡연자 |
4. 신체활동 부족 | 주 3일 미만 or 30분 미만 | ❌ 주 3회 스피닝 참여 (충분) |
5. 고혈압 | SBP ≥130mmHg or DBP ≥80mmHg | ❌ 110/72 mmHg |
6. 이상지질혈증 | LDL ≥130 / HDL <40 / TC ≥200 | ❌ LDL 103, HDL 63, TC 183 (모두 정상) |
7. 공복 혈당 | FBG ≥100 mg/dL or HbA1c ≥5.7% | ❌ FBG 95 mg/dL |
8. BMI / 허리둘레 | BMI ≥25 또는 허리둘레↑ | ❌ BMI 22 |
9. HDL ≥60 | 보호 요인(+1) = 음성요인 | ✅ HDL 63 → 보호 요인으로 상쇄 가능 |
✅ 최종 계산
- 위험요인: 흡연 1가지 사항.
- 보호요인(HDL 63): +1점 → 위험요인 1개가 있었으므로 이것으로 상쇄 가능
- 따라서 최종 위험요인 수: 0개
🧠 예상문제
다음 중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으로 보지 않는 경우는?
① HDL 콜레스테롤 ≥ 60 mg/dL
② 가족 중 55세 이전 심근경색
③ FBG 102 mg/dL
④ 주 2회, 15분간 가벼운 산책
정답: ①
→ HDL ≥60은 위험요인이 아니라 보호요인임!
위의 자료 구경가기
2025.04.12 - [📝제작 자료 판매 안내문] -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 0^)=@ 블로그 주인장 이하나짱짱맨입니다.건강운동관리사와 KACEP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중 특히 건운사 1교시 3과목을 커버하기 위해 반드시 꼭
corebox21.tistory.com
📌 각 그림 분석 요약
<그림 ①>
- 경사도: 1.7% → 2.5% → 3.4% → 4.2%
- 시간: 3분 단위 증가
- 속도: 1.7mph에서 시작해 점점 증가
→ 브루스(Bruce) 프로토콜
(3분마다 속도·경사 모두 증가)
<그림 ②>
- 경사도: 1% → 7% → 13% → 17.5%
- 속도는 항상 2.0mph 일정
- 2분 간격
→ 노튼(Naughton) 프로토콜
(속도 고정, 경사도만 증가)
🧠 예상문제 (난이도↑)
브루스 프로토콜의 초기 경사도와 속도는 각각 몇 %와 몇 mph인가?
① 0%, 1.0mph
② 10%, 1.7mph
③ 10%, 2.5mph
④ 15%, 1.7mph
👉 정답: ②
📌 정답 해설
① ❌ 틀림 (정답)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심박수와 수축기혈압은 감소하게 된다."
→ 수축기혈압(SBP)은 감소하지 않는다.
- ACSM 11판에 따르면, **최대심박수(Max HR)**는 나이와 함께 감소하지만,
- **수축기혈압(SBP)**은 운동 중 최대치에 도달할 수 있으며, 연령과 무관하게 상승함.
- 특히, 고령자에게는 운동 중 SBP 반응이 오히려 더 크거나 유지되는 경향도 있음.
✅ 그래서 "둘 다 감소한다"는 문장은 과도한 일반화, 따라서 틀린 보기임.
② ✅ 맞음
- 폐환자의 SpO₂ ≤80% → 운동 중단 기준
- ACSM 11판 명시 기준임
③ ✅ 맞음
- 회복기 6분까지 심전도 기록 권고 (ACSM 명시사항)
④ ✅ 맞음
- 협심증 척도 3점 이상이면 중단 고려 사유
- 특히 **‘심한 흉통(Grade 3~4)’**은 중단 권고에 해당함
🔍 정리: 핵심 포인트
항목 | 변화 |
최대심박수 (Max HR) | 🔻 감소 |
최대 수축기혈압 (SBP) | ❌ 감소 아님, 유지 혹은 증가 가능 |
✅ 예상문제
Q. 다음 중 운동 중 고령자의 반응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대 심박수는 감소한다
② 최대 수축기 혈압은 감소한다
③ 폐활량은 감소한다
④ 협심증 빈도는 증가할 수 있다
정답: ②
→ 수축기 혈압은 운동 시 여전히 증가 가능하다.
답 2
해당 자료 구경가기
2025.04.12 - [📝제작 자료 판매 안내문] -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 0^)=@ 블로그 주인장 이하나짱짱맨입니다.건강운동관리사와 KACEP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중 특히 건운사 1교시 3과목을 커버하기 위해 반드시 꼭
corebox21.tistory.com
보기 1번. ACSM 11판 자료 내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생리적 반응이 성인과 다르지만, 성인용 운동검사의 표준 지침을 그대로 적용한다"는 직접적인 문장은 확인되지 않았어. 다만, ACSM은 보통 이런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서술함:
“Children and adolescents differ physiologically from adults in response to exercise, yet adult testing guidelines are generally applied with caution or modified if necessary.”
즉, 기본적으로는 성인 지침을 참고하되, 주의해서 적용하거나 상황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한다는 입장이야. 따라서 문제 보기의 "성인 운동검사의 표준지침을 따르지 않는다"는 표현은 과장되었거나 절대적인 의미로 보면 틀릴 수 있음.
✅ 결론 정리:
- 생리적 반응은 다름 (✔ 맞는 내용)
- 하지만 성인용 지침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음 (❌ 보기 내용과 불일치 가능)
👉 그래서 보기 ①은 '옳지 않은 보기'로 판단할 수 있고, 주인쟝이 지적한 부분이 아주 타당함. 이걸 바탕으로 정답 수정해도 무방함.
② 노인: 최대심박수 220-나이 공식을 사용하지 말라
✅ 옳은 설명
- ACSM 11판에서도 권고:
- 노인은 HRmax 추정치로 220-나이 공식을 사용하면 과소평가 또는 과대평가 위험이 있으므로,
RPE(자각운동강도)나 관찰 기반 지표 사용을 권장함.
③ 임산부
✅ 옳은 설명
- ACSM 11판 내용 기준:
- 의학적 금기사항에 대한 평가 이후, 필요 시 의사 감독 하에 최대운동검사도 가능하다고 되어 있음.
④ 고혈압 환자
❌ 틀린 설명
- ACSM 11판 기준:
- 안정시 SBP ≥160 또는 DBP ≥100은 의사 감독하에 운동검사 가능함.
다만 SBP ≥200mmHg, DBP ≥110mmHg은 검사 연기 사유에 해당함.
→ 보기에서는 "의사 감독하에도 안 된다"고 해서 틀림
🔍 문제 핵심 다시 보기
“운동부하검사의 심전도 중 허혈성 심장질환 평가를 위해 보조적 영상(adjunctive imaging)이 필요한 심전도 파형은?”
즉,
- 허혈성 심장질환 평가가 필요한데
- 심전도만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한 파형이 답이야
→ 그래서 보조적 영상이 필요한 거지.
⚠ ACSM 11판 기준에서 보조적 영상이 필요한 대표적인 경우
- 좌각지차단 (LBBB, Left Bundle Branch Block)
- 심박 조율기(pacemaker rhythm)
- 기저 ST-T 이상 (디지탈리스 영향, LVH 등)
- **심방세동 (AF)**은 경우에 따라 판단 → baseline이 너무 흐리면 필요
- 운동 중 ST 해석이 불가능할 정도의 기본 이상
🔎 보기별 심전도 재판독
①번
- 넓은 QRS, 특히 QRS가 0.12초 이상,
- V1처럼 보이는 파형에서 깊은 S파,
- V6처럼 보이는 파형에서 뭉툭한 R파
→ 이건 전형적인 좌각지차단 (LBBB)
📌 LBBB는 ST분절 해석이 불가능
→ 허혈이 있어도 ST 하강을 구분 못함
✔ ACSM에서 “운동 중 보조 영상 반드시 필요”하다고 명시
✅ 정답
②번
- 심박수 빠름 (tachycardia)
- ST 하강 있음 → 해석 가능
→ 운동성 허혈의심 소견이지만
→ ST 해석이 가능한 정상 리듬
❌ 보조 영상 불필요
③번
- P-QRS-T 완벽
→ 정상 동율동, ST-T 이탈 없음
❌ 보조 영상 불필요
④번
- P파 없음, 불규칙한 R-R
→ 심방세동(AF)
하지만 baseline이 그리 불안정하지 않음
→ 해석 가능성 있는 정도
→ 조건부 보조 영상 필요일 수 있음, 하지만 LBBB보다는 덜 명확
❌ 정답 가능성 낮음
✅ 최종 결론
번호 | 진단ST | ST 해석 가능? | 보조영상 필요 | 비고 |
① | 좌각지차단 (LBBB) | ❌ 불가능 | ✅ 필요 | 정답 |
② | ST 하강 허혈성 소견 | ✅ 가능 | ❌ 불필요 | |
③ | 정상 동율동 | ✅ 가능 | ❌ 불필요 | |
④ | 심방세동(AF) | ⚠ 가능 | ⚠ 조건부 | baseline 안정적 |
🎯 정답: ①번
심방세동도 흔히 보조 영상 대상이지만, LBBB는 ACSM에서 명시적으로 'ST 해석 불가'라 반드시 영상 필요라고 돼 있어.
다음에 이런 유형 나오면 "LBBB = 무조건 영상 필요" 요걸 기억하면 돼 😼💡
이 문제는 최대 운동부하검사 중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의 위음성(false negative) 원인을 묻고 있어.
✅ 핵심 개념: False Negative란?
- **검사 결과는 정상(음성)**인데
- 실제로는 질환이 있는 경우
→ 병이 있는데도 놓치는 상황
💡 즉, 환자가 실제로 허혈성 심질환이 있음에도
운동부하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에 실패한 경우야.
⚙ 보기 분석 (ACSM 11판 기준 포함)
① 관상동맥 연축(coronary spasm)이 발생한 경우
→ 관상동맥이 일시적으로 수축하면서 허혈 발생
- 이건 오히려 운동 중 증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어 ‘양성’ 또는 ‘위양성(false positive)’ 가능성이 큼
❌ False negative 원인이 아님
② 디지탈리스 약물 치료 중인 경우
→ 디지탈리스는 심전도에 ST 분절 변화 유발 가능
- ST-T 파형에 혼동을 줘서 허혈 진단 방해 가능
- 하지만 보통은 ST 변화가 과도하게 나타나 false positive와 연관 ❌ False negative보단 false positive 위험이 더 큼
③ 심근허혈 역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 심근에 허혈이 생기기 전에 검사를 멈춘 것
= 허혈 반응이 나오기 전에 중단됨 → 위음성 유발
✅ False negative 대표 원인
④ 심전도 이상을 발견하기에 불충분한 유도(lead)를 사용한 경우
→ 예를 들어, 리드 II만 사용하거나 전벽/측벽 리드를 생략하면
ST 하강이 있어도 관찰이 안 될 수 있음
✅ False negative 가능성 있음
⑤ 심장 이상이 나타나기 전 근골격계 문제로 중단하게 된 경우
→ 관절 통증, 다리 근육 피로 등으로 검사 조기 종료
= 심장이 충분히 부담되지 않아 허혈 반응이 안 나옴
✅ False negative 가능성 있음
🧠 정답 정리
보기 | 가음성의 원인 여부 | 이유 요약 |
① | ❌ | 연축은 오히려 양성(또는 위양성) 유발 가능 |
② | ❌ | ST 왜곡은 보통 false positive 원인 |
③ | ✅ | 허혈 역치 도달 실패 → 증상 안 나타남 |
④ | ✅ | lead 부족 → ST 변화 놓침 |
⑤ | ✅ | 심장 도달 전 조기 중단 → 이상 소견 놓침 |
✅ 최종 정답: ④번 (ㄷ,ㄹ,)
✅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에서
❶ 위음성(false negative) vs ❷ 위양성(false positive) 비교
구분 | 🟢 False Negative (가음성) | 🔴 False Positive (가양성) |
🔍 정의 | 실제 허혈성 심장질환 있음에도 검사에서 정상으로 나옴 | 실제 질환 없음에도 검사에서 이상 소견 나옴 |
🧠 의미 | 질병을 놓침 (missed diagnosis) | 질병이 없는데 오진함 (과잉 진단) |
📉 민감도(↓) 관련 | 민감도 낮을수록 증가 | X |
📈 특이도(↓) 관련 | X | 특이도 낮을수록 증가 |
📌 주요 원인 | – 허혈 역치에 도달 못함 – 운동 강도 부족 – 조기 중단 (근골격계 문제 등) – 부적절한 리드 사용 – 약물로 심전도 변화 억제 (β-차단제 등) |
– ST-T 변화 유발하는 약물 (디지탈리스) – 전해질 이상 (고칼륨혈증 등) – 여성의 유방 조직 간섭 – 좌심실 비대 (LVH) –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 조율기(pacemaker) 착용 중 – LBBB(좌각지차단) 등 기본 이상 |
🎯 대표 예시 | – 너무 일찍 멈춰서 ST 하강 전에 중단됨 – 리드 II만 사용해서 측벽 허혈 못 봄 |
– 디지탈리스 복용 중 ST-T 변화 – LBBB로 인한 ST 왜곡 – 고혈압성 ST 변화 |
📷 보조 영상 필요성 | 놓치기 때문에 필요할 수 있음 | 과잉 진단 방지 위해 필요할 수 있음 |
📚 대처 방법 | – 부하 도달 충분히 하게 유도 – 적절한 리드 사용 – 최대 HR 도달 여부 확인 |
– 기저 심전도 확인 – 약물 복용력 체크 – 보조적 영상(심초음파, MPI 등) 병행 |
🎯 외우는 포인트
- 🟢 가음성은 "증상은 있는데 검사가 놓침" → 너무 약하거나 중단이 빠름
- 🔴 가양성은 "실제로는 이상 없는데 이상처럼 나옴" → 기저 질환 or 약물 영향
2025.04.12 - [📝제작 자료 판매 안내문] -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 0^)=@ 블로그 주인장 이하나짱짱맨입니다.건강운동관리사와 KACEP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중 특히 건운사 1교시 3과목을 커버하기 위해 반드시 꼭
corebox21.tistory.com
운동처방, 운동부하 정리본 보러가기
'🔴건강운동관리사🔴 > 💯23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20번 기출문제풀이 (개념정리포함) (1) | 2025.04.21 |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스포츠심리학 11-20번 (4) | 2025.04.07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스포츠심리학 1-10번 (0) | 2025.04.07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20번 (2) | 2025.04.07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0번 (0) | 2025.04.06 |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기능해부학 11-20번 개념정리 (1) | 2025.04.06 |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기능해부학 1-10번 (3) | 2025.04.05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