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어진 정보
- 총 대상자 수: 10,000명
- 유병률(심장질환자): 20% → 2,000명
- 무질환자: 80% → 8,000명
- 민감도(70%) → 질환자 중 검사에 양성으로 나오는 비율
- 특이도(80%) → 무질환자 중 검사에 음성으로 나오는 비율
🧮 계산
1. 심장질환자 (총 2,000명) 중
- 진짜 양성 (TP) = 70% × 2,000 = 1,400명
- 가짜 음성 (FN) = 30% × 2,000 = 600명 ← ✅ 정답
2. 비질환자 (총 8,000명) 중
- 진짜 음성 (TN) = 80% × 8,000 = 6,400명
- 가짜 양성 (FP) = 20% × 8,000 = 1,600명
✅ 최종 정답
① 600명 (가음성 false negative 수)
✅ [문제 12번 해설]
주제: 말초동맥질환(PAD) 운동부하검사에서의 ABI (Ankle Brachial Index) 평가 기준
📌 ABI 계산 공식
ABI = 발목 수축기 혈압 / 위팔 수축기 혈압
여기서 발목은 오른쪽·왼쪽 중 높은 값, 위팔도 오른쪽·왼쪽 중 높은 값 사용
📋 보기별 해설
① O
- 안정 시 ABI가 0.9~1.3이면 정상으로 분류함
② ❌
- **"평균 동맥압 비율"**이 아님
- 👉 수축기 혈압의 비율을 의미함!
- 즉, MAP(Mean Arterial Pressure) 사용하지 않음
③ O
- 위팔 혈압은 양팔 중 높은 쪽을 기준으로 한다
- 왜냐면 일부 환자에서 한쪽 팔의 협착성 질환이 있을 수 있기 때문
④ O
- 운동 직후 ABI가 20% 이상 감소하면 PAD를 의심할 수 있음
🔎 핵심 정리
항목 | 기준 |
정상 ABI | 1.0~1.3 |
경계선 ABI | 0.91~0.99 |
경증 장애 | 0.71~0.90 |
중등도 장애 | 0.41~0.70 |
중증 장애 | ≤0.40 |
운동 후 ABI 감소 ≥20% | PAD 의심 |
🔎 ABI = 발목 수축기 혈압 / 위팔 수축기 혈압
→ 즉, 발목 혈압이 기준보다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비교하기 위한 비율이야.
✅ 왜 이렇게 계산할까?
1. 위팔 혈압은 중심 혈압, 발목 혈압은 말초 혈압
- 위팔(상완동맥)은 심장에서 가까운 큰 혈관이기 때문에 기준 혈압으로 삼을 수 있어.
- 발목(뒤정강동맥 or 발등동맥)은 말초 동맥이라서, **말초동맥질환(PAD)**이 있으면 압력이 떨어져.
🔁 그러니까,
정상이라면 발목 혈압 ≒ 위팔 혈압
⇒ 비율 = 1.0~1.3 정도
PAD가 있다면 발목 혈압이 낮아짐
⇒ 비율 ↓
2. 위팔 혈압을 분모로 삼는 이유
- 위팔 혈압은 상대적으로 변화가 적고 신뢰도 있는 기준점이기 때문임.
- 반대로 발목 혈압은 PAD 여부에 따라 감소하므로 검사 지표로 적절.
❌ 만약 "위팔 ÷ 발목"으로 계산하면?
- PAD가 심할수록 값이 커지게 됨 → 직관적으로 해석이 어려워짐
- 예:
- 정상: 120/120 = 1.0
- PAD: 120/60 = 2.0 ❌ (이건 오히려 헷갈림)
🔑 결론
👉 PAD는 말초로 갈수록 혈류가 줄어드는 병이기 때문에,
말초인 발목 혈압이 중심인 위팔 혈압보다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보기 위해
▶ "발목 ÷ 위팔" 비율을 계산하는 거임!
계산방식
해당 자료는 아래의 링크에서 구경하세요!
2025.04.12 - [📝제작 자료 판매 안내문] -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 0^)=@ 블로그 주인장 이하나짱짱맨입니다.건강운동관리사와 KACEP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중 특히 건운사 1교시 3과목을 커버하기 위해 반드시 꼭
corebox21.tistory.com
답4번
✅ RPP란?
RPP = 심박수(HR) × 수축기 혈압(SBP)
이는 심장의 산소 요구량을 반영하는 지표로, 심장에 걸리는 부담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야.
- 정상적인 최대 운동 중 RPP 범위는
👉 25,000 ~ 40,000 정도로 간주돼.
(일반적으로 30,000을 넘으면 고강도 부담으로 본다)
✅ 보기별 RPP 계산
① 180 × 230 = 41,400 ❌
② 185 × 200 = 37,000 ⭕
③ 200 × 190 = 38,000 ⭕
④ 170 × 160 = 27,200 ⭕
✅ 결론
- ①번은 RPP가 41,400으로 정상 범위를 초과함.
- 심근에 부담이 높은 상태로, 정상범위가 아님
✅ 따라서 정답은 ①번이 맞음!
✅ 파형 분석 포인트
- P파는 규칙적으로 존재함.
- PR 간격은 일정함.
→ 점점 길어지지 않음 - QRS 파형이 갑자기 빠짐.
→ P파가 QRS로 이어지지 않음
이건 명확한 Mobitz II 패턴이야.
🔍 비교 정리
방실차단 유형 | PR간격 변화 | QRS 탈락 여부 | 비고 |
1도 | 항상 길다 (0.2초이상) | 없음 | 전도 지연만 있음 |
2도 Type I (Wenckebach) | 점점 길어짐 → 탈락 | 점진적 연장 → 탈락 | PR 점점 길어짐 |
2도 Type II (Mobitz II) | 일정 | 갑자기 QRS 탈락 | 가장 위험, 완전차단 이행 가능성 높음 |
3도 | PR 무관, AV 전도 없음 | 심방과 심실 완전 분리 | P, QRS 리듬 각각 따로 |
✅ 결론
- 이 심전도는 PR 간격 고정, QRS 간헐적 소실 → Mobitz II
- 따라서 정답은 ③번
✅ 정답: ②번
"J점 이후 80ms 지점에서 ST 분절의 ≥1 mm 수평하강은 정상적 반응이다" → ❌ 틀림
❗ 왜 틀렸을까?
- ST 분절의 수평하강(horizontal depression) ≥ 1mm은 정상 반응이 아님!
- 특히 J점 이후 60~80ms 지점에서 측정되는 ≥1mm 수평 or 하방 경사 하강은
→ 허혈의 징후로 간주됨
👉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상적 반응”**이라고 한 것이 틀림!
✅ 다른 보기 검토
① PR 간격의 등전위선 기준 사용 → 맞음
③ ST 하강 ≥2mm + 협심증 증상 → 심근허혈의 징후 → 맞음
④ 낮은 RPP에서 ST 하강 발생 → 더 위험 → 맞음
🔁 정리: ST 분절 관련 핵심 정리
형태 | 기준선 | 크기 | 의의 |
수평 or 하방경사 하강 | J점 + 60~80ms 지점 | ≥1mm | 심근허혈 의심 |
상방경사 하강 | 해석 애매 | - | 운동 유발에선 정상에 가까움 |
ST 상승 | 대부분 심근경색 or 관상동맥 경련 | - | 위험도 매우 높음 |
🧠 예상문제
Q. 운동부하검사에서 심근허혈 가능성이 가장 높은 ST 변화는?
① 상방경사 ST 하강
② 수평 ST 하강 ≥1mm
③ ST 분절 상승
④ T파 역전
👉 정답: ③ ST 분절 상승 (→ 가장 심각한 허혈 가능성)
1mm? 2mm? 그것이 문제야!! TMI FOR Meeeeeeeeeeeeeeeeee
✅ ST 분절 변화 수치 기준 정리표
구분 | 기준 | 수치 | 의미 | 사용 맥락 |
🔵 ST 하강 (수평 or 하방경사) | J점 이후 60~80ms 지점 | ≥1mm | 심근허혈 의심 | 진단 기준, 민감도 중심 |
🔵 ST 하강 + 협심증 | 하강 ≥2mm + 증상 | 높은 특이도 | 확실한 심근허혈의 징후 | 운동 중단 기준으로 간주 가능 |
🔴 ST 하강 지속 + RPP 낮음 | RPP 낮은 상태에서 ST 하강 | 위험도 높음 | 허혈 예측이 더 정확해짐 | 임상 위험도 평가 |
🟠 ST 상승 | ≥1mm 상승 | 심근경색 또는 관상동맥 경련 의심 | 절대적 중단 기준 | 매우 위험한 상태 |
✅ 한 줄 요약 기준
진단 기준 | ST 하강 ≥1mm → 심근허혈 의심 |
확진 기준 | ST 하강 ≥2mm + 협심증 → 심근허혈 거의 확실 |
심각도 기준 | ST 상승 ≥1mm → 심근경색 or 관상동맥 연축 가능성 매우 높음 |
🔧 이렇게 암기하자 (한 장 그림)
🎯 예상문제 예시
Q. 다음 중 운동부하검사 중 심근허혈이 가장 강하게 의심되는 상황은?
① ST 하강 1mm (수평)
② ST 하강 2mm + 흉통
③ ST 하강 0.5mm
④ ST 상승 0.5mm
→ 정답: ②번
설명: ST 하강 ≥2mm + 협심증은 심근허혈 강력한 징후야. ①은 의심, ④는 기준 미달임.
📌 해설: 운동부하검사 종료 후 회복기에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변수
항목 | 이유 | 지속 고나찰 필요성 |
혈압 | 회복기 중 수축기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떨어지면 심박출량 감소 또는 심장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음 | ✅ |
심박수 | 회복기 심박수 회복이 느릴 경우 사망률 증가와 연관됨 (HRR: Heart Rate Recovery 지표) | ✅ |
심전도(ECG) | 회복기에도 ST분절 이상이 지속될 경우 허혈 지속 의심 가능 | ✅ |
파행척도 | 말초동맥질환(PAD) 환자의 통증 평가용으로는 의미 있지만, 일반적인 심혈관 운동부하검사 회복 관찰 변수는 아님 | ❌ |
📌 한 줄 정리
회복기에서 모니터링은 "혈압, 심박수, 심전도" 중심이고, 파행척도는 말초혈관질환 특화 지표이므로 관찰 대상이 아님.
📌 풀이 및 해설
보기별 검토
① 수축기혈압은 10 mmHg·MET⁻¹로 증가
→ 운동 중 수축기혈압은 운동강도 증가에 따라 약 10 mmHg/MET 비율로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생리적 반응임. ✅ 맞는 설명
② 이완기혈압이 115 mmHg를 초과하면 중단 고려
→ ACSM 11판 기준, 운동 중 DBP ≥115 mmHg는 상대적 검사 중단 기준임. ✅ 맞는 설명
③ 수축기혈압이 200 mmHg를 초과하면 안정시 고혈압 예측 가능하다
→ ❌ 틀린 설명.
- 운동 중에는 수축기혈압이 200 mmHg를 초과하는 것 자체로 운동 중단의 절대 기준은 아님
- 운동 중 수축기혈압 ≥250 mmHg는 상대적 중단 기준이고,
- 안정 시 수축기혈압 ≥140 mmHg부터 고혈압 2단계로 분류됨
- 따라서 이 설명은 운동 시 반응을 안정 시 혈압 상태로 잘못 연결한 것임
④ 운동 중 이완기혈압이 운동 전보다 10 mmHg 이상 증가 시 운동성 허혈 의심
→ ACSM에서는 이완기 혈압은 운동 중 변화가 거의 없어야 하며,
→ 오히려 상승할 경우는 비정상 반응으로 간주함. ✅ 맞는 설명
📌 핵심 정리표: ACSM 11판 기준
운동 중 SBP ≥250 mmHg | 상대적 중단 기준 |
운동 중 DBP ≥115 mmHg | 상대적 중단 기준 |
운동 중 SBP 감소 | 절대적 중단 기준 |
이완기 혈압 운동 중 >10 mmHg 상승 | 비정상 반응으로 운동성 허혈 의심 가능 |
140은 뭔소린가 자세히 살펴보자. 안정시 갖고 있던 수축기 혈압에서 +140이 되는 경우가 운동중에 생긴다면 원래 안정시 수축기 혈압이 정상이여도 이 사람은 증가폭이 너무나도 컸기 때문에 평상시 안정시에도 혈압이 높은 사람일 가능성이 높고, 120이 나왔던건 우연일 수도 있따. 대충 이런 뜻 같음
운동 중 SBP가 안정시보다 +140 mmHg 이상 증가하면, 잠재적인 안정시 고혈압 상태를 의심할 수 있다. |
✅ 이게 맞는 해석이야. **즉, 운동 중 수축기 혈압의 비정상적 과반응(예: 증가 폭이 너무 큼)**을 보고 ‘아 이 사람, 원래 안정 시에도 혈압 높을 가능성 있겠구나’라고 추론하는 거야. | ✅ 맞음 |
🔁 영어 원문 근거로 재구성 (ACSM 11판 원서 기준)
“Exaggerated SBP responses during exercise (e.g., SBP increase > 140 mmHg above resting) may indicate underlying or latent hypertension.”
- Key 표현:
- “increase > 140 mmHg above resting” → 즉, 안정 시 대비 +140 mmHg 이상 상승
- latent hypertension (잠재성 고혈압) 의심
💡결론:
- 정답 해석은:
운동 중 수축기혈압이 안정시 혈압보다 140mmHg 이상 증가하면 → 잠재적인 안정시 고혈압을 예측할 수 있음
한글 번역서는 약간 모호함. 읽었을 때 안정시 혈압이 140초과하면 잠재적 안정시 고혈압이라는 줄.. 근데 안정시 140이 나와도...., 고혈압이긴 하지만..운동 중 반응이라 했으니까 안정시 + 140 가 맞는 말인듯.
📌 퀸스대학 스텝검사(Queens College Step Test) 핵심 정리
항목 | 설명 |
스텝 높이 | 41.25 cm (16.25 in) |
운동 시간 | 3분 |
스텝 속도 | 남성: 24스텝/분 (96박자) 여성: 22스텝/분 (88박자) |
회복기 측정 | 운동 종료 5초 후부터 20초까지 맥박수 측정 후, 15초간 맥박 × 4 해서 분당 심박수 추정 |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산출 공식 | 남녀 별도 공식 사용 |
📌 VO₂max 산출 공식 (Queens College Step Test 기준)
- 남성
VO₂max (mL/kg/min) = 111.33 – (0.42 × 심박수) - 여성
VO₂max (mL/kg/min) = 65.81 – (0.1847 × 심박수)
🔺 공식이 다르기 때문에 ③번의 “동일한 회귀공식을 사용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임.
2025.04.12 - [📝제작 자료 판매 안내문] -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 0^)=@ 블로그 주인장 이하나짱짱맨입니다.건강운동관리사와 KACEP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중 특히 건운사 1교시 3과목을 커버하기 위해 반드시 꼭
corebox21.tistory.com
정답은 ④ V₆입니다.
📌 12유도 심전도(V1~V6) 전극 정확한 부착 위치 정리
유도 | 부착 위치 |
V₁ | 제4늑간, 흉골 오른쪽 |
V₂ | 제4늑간, 흉골 왼쪽 |
V₃ | V₂와 V₄ 사이 중간 지점 |
V₄ | 좌측 제5늑간, 쇄골 중앙선(midclavicular line) |
V₅ | V₄와 같은 높이, 앞겨드랑선(anterior axillary line) |
✅ V₆ | V₄와 같은 높이, 중간겨드랑선(midaxillary line) |
📌 보기 분석
- ① RA (오른팔 전극): 어깨 위쪽에 부착되어 적절함
- ② V₁: 흉골 오른쪽 제4늑간에 잘 부착됨
- ③ V₄: 좌측 제5늑간 쇄골 중앙선에 올바르게 부착됨
- ④ V₆: v4와 같은 높이도 아니고 5번째 늑간이 아님 → 오답
'🔴건강운동관리사🔴 > 💯23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0번 기출문제풀이 (개념정리포함) (0) | 2025.04.21 |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스포츠심리학 11-20번 (4) | 2025.04.07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스포츠심리학 1-10번 (0) | 2025.04.07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20번 (2) | 2025.04.07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병태생리학 1-10번 (0) | 2025.04.06 |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기능해부학 11-20번 개념정리 (1) | 2025.04.06 |
23년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기능해부학 1-10번 (3) | 2025.04.05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6-2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