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SM/23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3. 30.
반응형

🔍 보기 분석


① “질환에 대한 진단과 예후 및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맞음

  • 운동부하검사는 관상동맥질환 진단, 치료 반응, 예후 평가, 심폐체력 측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돼.

“Exercise testing is used for diagnostic, prognostic, and functional capacity evaluation.”

🟢 완벽한 정의, 맞는 보기


② “진행 중인 불안정 협심증 진단을 위해 검사하는 것을 추천한다.”

틀림정답!

  • ⚠️ **불안정 협심증(Unstable angina)**은 절대적 금기사항 중 하나야!

“Unstable angina is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symptom-limited exercise testing.”

  • 진단을 위해서라도 GXT를 해서는 안 되는 상태

🔴 명백한 틀린 보기 → 정답!


③ “혈압이나 최고 운동능력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이다.”

맞음

  • GXT는 심혈관 반응(HR, BP, ECG)산소섭취량, 최대 운동능력(V̇O₂max) 측정에 매우 적합

🟢 맞는 보기


④ “ST 분절 하강과 같은 증상-제한 최대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실시한다.”

맞음 (조건부)

  • ‘ST 분절 하강’ 같은 심전도 변화는 운동부하검사 중 중요한 중단 기준 중 하나
  • 다만 증상이 없다면 ‘증상-제한 최대수준(symptom-limited max)’까지 진행 가능함

✔ 이 문장은 운동부하검사의 종료 기준 중 하나로 설명된 상황이므로 맞음


✅ 최종 정답:


🧠 핵심 요약: 운동부하검사 금기사항 (ACSM 기준)

구분금기사항 예시
구분 금기사항 예시
절대적 금기 불안정 협심증, 조절되지 않는 심부전, 최근 심근경색, 심한 대동맥 협착
상대적 금기 중등도 판막질환, 고도 고혈압, 전해질 이상 등

🔍 보기 분석


① “가슴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들의 평가를 위해”

필요함

  • 가슴 통증은 관상동맥질환(CAD) 의심 증상이므로
  • 운동부하검사를 통해 협심증, 심근허혈 가능성 진단 가능

“Exercise testing is useful for the diagnosis of CAD in patients with chest pain.”

🟢 맞는 경우


② “2일 이내 발생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해”

필요하지 않음정답

  • 급성 심근경색 발생 수일 이내는 절대적 금기 사항임!

“Recent myocardial infarction (within 2–5 days) is an absolute contraindication to exercise testing.”

  • 상태가 안정되고 나서(보통 4~7일 후) 시행 고려 가능

🔴 이 시점에서는 GXT 절대 금지 → 운동부하검사 필요하지 않음!


③ “심장발작 이후 직장의 복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함

  • 심장재활 후 회복 정도, 기능적 작업 수행능력 판단에 GXT는 매우 유용함

“Exercise testing is helpful in determining readiness for return to work in cardiac patients.”

🟢 맞는 경우


④ “심장질환자의 운동처방을 권고하기 위해”

필요함

  • 운동강도, 목표심박수, 위험 모니터링 등 개인 맞춤 처방을 위해 필수

“Exercise testing provides data for individualized exercise prescription in cardiac populations.”

🟢 맞는 경우


✅ 최종 정답:


🧠 핵심 정리: 운동부하검사 금기 시점


상황 금기여부
2일 이내 급성 심근경색 ❌ 절대 금기
불안정 협심증 ❌ 절대 금기
가슴통증 평가 ⭕ 가능
직장 복귀 평가 ⭕ 가능
운동처방 목적 ⭕ 가능

🔍 보기 분석


① “혈압과 심전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맞음

  • 자전거 에르고미터는 상체 움직임이 적고 고정된 자세로 진행되기 때문에
    👉 혈압(BP)과 심전도(ECG) 측정이 더 정확하고 쉬움

🟢 맞는 설명


② “이동이 간편하고 공간이 적게 필요하다.”

맞음

  • 트레드밀은 크고 무겁고 전기 필요하지만,
    자전거 에르고미터는 이동·설치가 간편하고 공간 효율이 높음

🟢 맞는 설명


③ “국소 근피로로 인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이 낮게 평가될 수 있다.”

맞음

  • 하체 근육이 빨리 피로되면, 심폐기능보다 근피로로 인해 운동 종료됨 →
    → 실제 VO₂max에 도달 못하고 낮게 측정될 수 있음

🟢 맞는 설명


④ “비만 환자와 같이 근골격계와 정형외과적 문제가 있는 경우에 적절하지 않다.”

틀림정답!

  • 오히려 자전거 에르고미터가 더 적절함!!
  • 트레드밀은 체중부하, 관절충격 커서 비만·관절 문제 있는 사람에게 부담
  • 자전거는 비체중부하(non-weight bearing) 운동이라서
    관절 부담 ↓, 체중 영향 ↓
    → 비만, 정형외과 질환자에게 더 안전하고 효과적임

🔴 틀린 설명 → 정답


✅ 최종 정답:


🧠 정리: 자전거 에르고미터의 특징


항목 내용
장점 혈압/ECG 측정 쉬움, 공간 적음, 무릎 부담 낮음
단점 근피로로 인해 VO₂max 과소평가 가능
적절 대상 비만자, 골관절염 환자, 노인 등
부적절 대상 허벅지 근육 약한 사람, 사이클 미숙자 등

나머지 다 정상인데 흡연이 양성 요인이나, HDL이 60 이상이므로 이는 음성요인으로 작용해 위험요인이 상쇄되어 위험요인 갯수는 0개로 ~



✅ 문제 요약

<그림 ①>과 <그림 ②>의 운동 프로토콜을 보고
ACSM의 운동부하검사 프로토콜 중 각각 어떤 것인지 맞추는 문제


🔍 그림 ① 분석

시간 속도(mph) 경사도(%)
0~3분 1.7 10
3~6분 2.5 12
6~9분 3.4 14
9~12분 4.2 16
  • 매 3분마다 속도 + 경사도 함께 증가
  • ✔ 시작 속도 1.7mph, 경사도 10%부터 시작
    전형적인 브루스(Bruce) 프로토콜

브루스 프로토콜은 고강도 최대 운동부하검사용으로 널리 사용됨

🟢 <그림 ①> 정답: 브루스(Bruce)


🔍 그림 ② 분석

시간 속도(mph) 경사도(%)
0~2분 1.0 0.0
2~4분 2.0 0.0
4~6분 2.0 3.5
6~8분 2.0 7.0
8~10분 2.0 10.5
  • ✔ Stage 1: 1.0 mph / 0%
  • ✔ Stage 2: 2.0 mph / 0%
  • ✔ 이후: 속도 고정(2.0 mph), 경사도 3.5%씩 증가
    → 이건 정통 노튼(Naughton) 프로토콜이다!

수정된 노튼은 시작부터 1.0mph 고정 + 더 완만한 경사도 증가
지금 그림은 정확히 노튼 프로토콜 표준 형태

🟢 <그림 ②> 정답: 노튼(Naughton)


✅ 최종 정답: ③번


🧠 보충 요약: 주요 GXT 프로토콜 비교

프로토콜시작 속도경사도 변화대상특징
프로토콜 시작 속도 경사도 변화 대상 특징
Bruce 1.7mph 3분마다 속도+경사도 증가 일반인, 고강도 테스트 가장 널리 사용
Modified Bruce 1.7mph (0%부터 시작) 2단계부터 5% 증가 체력 낮은 성인 브루스보다 부드럽게 시작
Naughton 1단계1.0 →
2단계 2.0mph
3단계부터 2.0 고정
3단계부터 경사도 3.5%씩 증가 심장환자 재활 안정적, 점진적 증가
Modified Naughton 1.0mph 고정 경사도 더 완만 증가 입원환자, 고위험군 저강도에서 시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