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근골격127

<운동치료총론> 고관절 굴곡 가동범위 증가시키기 안녕 ^ 0^)=@ 오늘은 비가 와서 둥근해짱이 보이질 않아요 흑흑 하지만 우리 모두 엉덩이 건강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스트레칭을 합시다 ! 고관절 굴곡 범위가 줄어든다면 허리의 굴곡이 살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면 점점 허리 디스크쪽의 수핵이 뒤로 삐져나와서 허리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고관절 굴곡의 올바른 범위 증가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요!! 고관절 굴곡의 범위를 증가시키려면 계속 굴근(굽힘근)을 강화할 것이 아니라 반대작용인 신근(폄근)의 스트레칭이 꼭 필요합니다 ! 아래의 스트레칭을 실시해보세요! 1. 양쪽의 무릎을 가슴으로 가져가는 자세 (바람빼기 자세와 유사) 본 동작은 누워서 실시합니다. 요가에서 바람빼기 자세와 비슷합니다. 하지면 여기서 주의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엉.. 2022. 10. 9.
<운동치료총론> 고관절 신전 가동범위 증가시키기 1. 엎드려 Swan(스완) 동작 해보기 (Prone Press Up) 필라테스 매트 동작에 나오는 Swan 동작이다. 주로 척추 신전 근육(척추기립근)의 강화를 위한 운동으로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스완과 다른 중요한 점은 팔의 위치를 어깨 바로 아래에 수직으로 손바닥을 놓아 조금 더 높게 상체를 바닥에서 들어준다. 골반의 전방경사(앞기울임)로 인한 허리의 스트레스를 줄이고자 골반을 후방경사(뒤기울임) 해준다 다리 쪽으로 방사통이 온다면 이 동작을 피한다.(예:척추관협착증) 고관절 앞쪽 (서혜부 주변의 인대)이나, 허벅지 앞(대퇴직근, 요근), 허리쪽(장요근)에 자극이 온다. 둔근과 햄스트링을 수축하여 골반을 후방경사 만들고, 동작의 안정성(허리 지키미)을 증가시킨다. 2. 토마스 검사 자세 (Thom.. 2022. 10. 5.
[해부학 메모] 간단한 해부학 팁 23가지 (기초 내용) 손가락의 경우 3번째 손가락이 손 움직임의 축이 된다. 발가락의 경우 3번째 발가락이 아닌, 2번째 발가락이 움직임 축이 된다. 무릎 중앙과 2번 발가락은 같은 방향을 바라본다. 아빠다리(양반다리/가부좌) 모양은 고관절의 굽힘,벌림, 가쪽돌림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잡한 움직임이다. 어깨의 절구관절은 얕고 느슨하여 가동성은 뛰어나지만 그만큼 안정성이 떨어지는 관절이다. 부상이 쉽다. 반면 엉덩관절도 절구관절이지만 깊고 잘 맞아 일치성이 좋다. 연골은 x-ray 촬영으로 보이지 않는다. 관절연골(cartilage)는 흔히 치킨 부위중 다리를 먹을 때 뼈의 끝 부분에서 씹히는 헬멧 모양의 오돌뼈와 같다.이 연골은 스트레스에 강하고 탄성적이며 부드러운 조직이다. 한쪽 뼈를 다른 뼈 위에서 미끌어지게 만들어준다. .. 2022. 7. 14.
<뉴만> 어깨복합체 근육군들 (올림과 내림/내밈과 뒤당김/위쪽돌림+팔올림과 아래쪽돌림+모음과 폄/안쪽돌림과 가쪽돌림) 어깨올림근 위등세모근 Upper Trapezius 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 마름근 Rhomboids (Major/Minor) 특징 팔이음뼈Shoulder girdle 이상적인 자세 = 어꺠뼈의 약간 올림, 비교적 뒤당김, 관절오목의 약간의 위쪽 향함. 위등세모근만 마비 - 척수더부신경(제11뇌신경)에 대한 손상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뇌졸증 이후나 근육퇴행위축 , 길랭-바레증후군과 같은 질환에 의해 약화 or 마비됨. 팔이음뼈 주변 근육이 약해지면 중력 때문에 어깨가 축 처질 수 있다. 이는 어깨뼈 내림+내밈+과도한 아래쪽돌림으로 인해 발생된다. 위등세모근의 마비가 있다면 내림된 빗장뼈는 SC관절의 위쪽탈구를 초래. 내림된 빗장뼈몸통은 빗장밑 혈관들과 팔신경얼기의 일부를 압박.. 2021. 6. 15.
<뉴만> 어깨복합체의 근육과 관절의 신경지배 C5~T1까지의 신경뿌리의 앞가지들로 형성된 팔신경얼기를 통해 신경지배를 받는다. 팔신경얼기는 크게 2 영역 (뒤신경다발과 팔신경열기의 몸쪽분절)으로 나눌 수 있다. 뒤신경다발 : 겨드랑신경/어깨밑신경/가슴등신경 팔신경얼기의 몸쪽분절 : 등쪽어깨신경/긴가슴신경/가슴근신경/어깨위신경 XI (11 뇌신경) : 등세모근만 일차적으로 뇌신경 지배를 받고 위쪽 목신경들의 신경 뿌리로도 운동과 감각 신경지배도 약간 받음. 제 11 신경은 부신경, 체성운동, 목구멍과 목근육 운동을 담당. 몸쪽 안정자 : 척추, 갈비뼈, 머리뼈에서 시작 ~ 어꺠뼈와 빗장뼈에 부착 근육들. (등세모근/앞톱니근) 먼쪽 가동자 : 어깨뼈와 빗장뼈에서 시작 ~ 위팔뼈나 아래팔에 부착 근육들. (어깨세모근/위팔두갈래근) 안정자와 가동자 사이의.. 2021. 6. 14.
<뉴만> 어깨위팔리듬 운동형상학적 6대 원리 (자연스러운 어깨의 움직임) 180도 어깨벌림 = 120도 GH관절 벌림 + 60도 ST관절 위쪽돌림 위에서 60도 ST관절 위쪽돌림 = AC관절 위쪽돌림 + SC관절 올림 (각관절의 정확한 각운동은 증명하기 어려움.) 어깨벌림동안 빗장뼈는 SC관절 뒤당김 어깨벌림동안 빗장뼈는 뒤쪽으로 돌림 어깨벌림동안 어깨뼈는 뒤쪽 기울임, 약간 가쪽돌림 어깨벌림동안 GH관절 가쪽돌림 그림 A 해부학적 자세시 느슨한 부리빗장인대 그림 B 앞톱니근이 어깨뼈를 위쪽돌림시킴에 부리빗장인대는 팽팽해짐. => 빗장뼈 뒤쪽돌림+Ac관절 위쪽돌림 2021. 6. 14.
<뉴만> GH관절 운동형상학(모음,벌림/굽힘,폄/안쪽돌림,가쪽돌림) 자유도 3도 (굽힘/폄, 벌림/모음, 안쪽돌림/가쪽돌림) GH관절에서 120도 벌림. 어깨복합체에서 완전한 벌림은 어깨뼈의 위쪽돌림 60도 동시작용. 모음 : 아래쪽으로 구르기와 위쪽으로 미끄러짐 벌림 : 위쪽으로 구르기와 아래쪽으로 미끄러짐 그림 A : 위팔뼈머리 22도 벌림에 의한 위쪽 구르기 1cm 그림 B : 벌림시 아래쪽 미끄러짐이 없다면 부리봉우리활에 대한 위팔뼈머리의 부딪힘을 유발. 벌림이 원활x 70도보다 더 큰 어깨각도에서 벌림시 어깨의 앞쪽 통증은 반드시 가시위근의 힘줄 씹힘 때문만은 아닌, 봉우리밑공간의 다른 구조물의 압박에 의해 발생되거나, 돌림근띠 근육의 전반적인 건병증과 같은 다른 원인도 있음. 노란색 : 위팔뼈머리가 봉우리의 밑면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벌림 각도 빨간색 : 가.. 2021. 6. 14.
<뉴만> 정적인 안정성에 대한 어깨가슴의 자세와 그 영향 뉴만 정적인 안정성에 대한 어깨가슴의 자세와 그 영향 줄은 근육의 힘을 방향을 나타냄. SCS(관절주먼의 위쪽 구조물들로 위관절주머니인대, 부리위팔인대, 가시위근의 힘줄의 수동장력을 표현.)에서의 수동장력은 중력에 의해 생산된 힘과 합성되면서 압박력CF를 만들어냄. 경사면을 누르고 있는 공(위팔뼈머리)에 비유. 중력은 위팔뼈를 밑으로 당길 수 있다. 이것이 지지되지 않아 아래쪽으로 당김이 지속된다면 위쪽 구조물들에서의 가소성 변형을 초래. 아래쪽 아탈구로 이어짐. 움직이지 않을 때 관절주머니의 위쪽구조들SCS가 위팔뼈머리를 위한 1차적인 인대성 지지 제공. 정적인 지지를 위한 근육의 이차적 지원은 주로 돌림근띠 근육에 의해 제공. 만성적인 견갑 아래쪽돌림은 위등세모근과 같은 어떤 근육의 약화나 마비에 의.. 2021. 6. 12.
<뉴만> 돌림근띠 근육과 위팔두갈래근의 긴갈래, GH관절 안정화 조직 돌림근띠(회전근개 4가지 근육 : 가시위근/가시아래근/작은원근/어깨밑근) 중에 가장 두꺼운 근육은 어깨밑근(subscapularis)이다. 관절주머니 앞쪽에 위치. 가시위근/가시아래근/작은원근은 관절주머니의 위쪽과 뒤쪽에 위치. 이 근육들의 힘줄은 관절주머니와 섞이게 됨. 위쪽관절주머니Superior ~ Rotator interval (돌림근띠간격)~ 중간관절주머니 Middle ~ 아래관절주머니 Inferior 돌림근띠간격이란, 가시위근과 어깨밑근 사이 영역을 말하는데 그 부분을 감싸는 관절주머니는 없다. 관절주머니의 앞/위쪽 영역을 말하며 이 영역의 돌림근간격에서 얇고 다양한 구멍이나 결손을 야기시킨다. 돌림근간격은 위팔두갈래근 장두 힘줄, 부리위팔인대, 위오목위팔인대와 중간오목위팔인대에 의해 강화됨... 2021. 6. 11.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오목위팔관절 지지구조들 오목위팔(GH)관절의 결합조직과 지지구조들 위팔두갈래힘줄 긴갈래를 보면 힘줄이 윤활집(Synovial sheath)로 감싸져있고 오목관절 테두리에서 시작됨을 알 수 있다. 섬유성 관절 주머니(fibrous capsule)에 둘러싸인 GH 관절의 주변 조직들. GH 관절의 관절 주머니는 비교적 얆고 두꺼운 외부 인대들에 의해 강화됨. GH관절의 동적인 안정자 = 돌림근띠(rotator cuff) 오목위팔관절의 불안정성과 안정성 가동성이 크면 클 수록 안정성은 떨어진다. 오목위팔관절은 가동성에 더 적합한 특징을 갖는다. 관절오목의관절면이 위팔뼈머리 관절면의 약 1/3만 덮고 있다. 받쳐주는 면이 적다는 뜻이다. 떨어지는 안정성 때문에 주변에 인대들과 근육 등 결합조직들이 튼튼하지 않으면 어깨를 오래 사용 할.. 2021. 6. 10.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관절학 (복장빗장과 봉우리빗장) 어깨복합체의 관절학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어깨복합체의 관절 복장빗장관절 SC 봉우리빗장관절 AC 오목위팔관절 GH 어깨가슴관절 ST 이중에 어깨가슴관절만 참관절이 아니다. 어깨뼈는 등에 붙어있음과 동시에 둥둥 떠다니고 미끌려 다닌다는 것을 잊지말쟈! 어깨복합체 중 어깨가슴관절(ST)의 동작 올림 Elevation : 가슴에 대해 어깨뼈가 위로 미끄러짐 내림 Depression : 가슴에 대해 어깨뼈가 아래로 미끄러짐 내밈 Protract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가 가슴에 대해 앞&가쪽으로 미끄러짐 뒤당김 Retract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가 가슴에 대해 뒤&안쪽으로 미끄러짐 위쪽돌림 Upward Rotation : 어깨뼈의 아래각이 위&가쪽으로 돌림 아래쪽돌림 Downward Rotation .. 2021. 6. 10.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골학 태블릿 4시간동안 바라보니까 토 나올 것 같아서 PC를 사용ㅎㅏ기로 맹세했다 쓰바압! .. 사스가 나는 컴터맨.... 펜으로 색칠 깨잘깨잘하는거 재밌긴한데 글 쓰는게 너무 힘들다. 근데 확실히 머리속에 잔상은 글로 쓰거나 공책에 직접 쓰는게 짱인 것 같다. 아무튼 어깨복합체 1회독을 끝내고 사진 위주로 정리를 해보자. 골학 파트는 엄청 세세하게 외운다긴보다는 랜드마크가 무엇이고 그것이 어디에 있는 것인지 빨리 익숙해지면 나중에 다른 공부할 때 매우 수월해진다. 솔직히 처음부터 외우는건 나는 불가능했다. 계속 봤음 그냥. 복장뼈 Sternum 의 골학적 특징 복장뼈자루 빗장관절면 갈비관절면 목아래패임 빗장뼈의 골학적 특징 빗장뼈몸통 복장끝 갈비관절면 갈비거친면 봉우리끝 봉우리관절면 원뽈인대결절 마름인대선 .. 2021. 6. 6.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12] 우선 중요 큰 근육들은 끝났다. 얼굴은 생락할께 뒤지겟따. 111 Internal Obilique in-ˈtər-nᵊl ō-ˈblēk 인터널 오블리크 내복사근 배속빗근 112 Transverse abdominis tran(t)s-ˈvərs ab-ˈdäm-ə-nəs 트란스벌스 압다머너스 복횡근 배가로근 113 External Intercostals ek-ˈstər-nᵊl in-tər-ˈkä-stᵊl 엑스터널 인털카스털 외늑간근 바깥갈비사이근 114 Internal Intercostals in-ˈtər-nᵊl in-tər-ˈkä-stᵊl 인터널 인털카스털 내늑간근 속갈비사이근 115 Innermost Intercostals i-nər-ˌmōst in-tər-ˈkä-stᵊl 이너모스트 인털카스털 최내늑간근 가..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11] 101 iliocostalis i-ˈlī-ə käs-ˈtā-ləs 일라이어카스테이러스 장늑근 엉덩갈비근 102 Longissimus län-ˈjis-i-məs 랑지시머스 최장근 가장긴근 103 Spinalis spī-ˈnā-ləs 스파이네이러스 극근 가시근 104 Semispinalis sem-ē-ˌspī-ˈnā-ləs 세미스파이네이러스 반극근 반가시근 105 Multifidus məl-ˈtif-ə-dəs 멀티퍼더스 다열근 뭇갈래근 106 Rotatores rō-ˌtā-tərs 로테이터스 회전근 돌림근 107 Interspinales int-ər-ˌspī-ˈnal-əs 인터스파이날러스 극간근 가시사이근 108 Intertransversarii int-ər-tran(t)s-vər-ˈser-ē-ˌī 인터트란..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10] 91 Flexor Digiti Minimi Brevis fleksə(r) dij-ə-ˌtī-ˈmin-ə-ˌmī brev-əs 플렉서 디저타이 미너마이 브레버스 단소지굴근 짧은새끼발가락굽힘근 92 Plantar Interossei plan-tər in-tər-ˈäs-ē-əs 플란털 인터라시어스 저측골간근 발바닥쪽뼈사이근 93 Sternocleidomastoid stər-nə-ˌklī-də-ˈma-ˌstȯid 스털너클라이더마스토이드 흉쇄유돌근 목빗근 94 Scalene skā-ˌlēn 스카린 사각근 목갈비근 95 Serratus Posterior Superior se-ˈrāt-əs pō-ˈstir-ē-ər su̇-ˈpir-ē-ər 세라터스 포스티리얼 수피리얼 상후거근 위뒤톱니근 96 Serratus Post..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9] 81 Extensor Digitorum Brevis ik-ˈsten(t)-sər dij-ə-ˈtōr-əm brev-əs 익스텐서 디저토럼 브레버스 단지신근 짧은발가락폄근 82 Extensor Digitorum Longus ik-ˈsten(t)-sər dij-ə-ˈtōr-əm lȯŋ-gəs 익스텐서 디저토럼 롱거스 장지신근 긴발가락폄근 83 Peroneus Tertius per-ə-ˈnē-əs ˈtər-shē-əs 페러니어스 털쉬어스 제3비골근 셋째종아리근 84 Peroneus Brevis per-ə-ˈnē-əs brev-əs 페러니어스 브레버스 단비골근 짧은종아리근 85 Peroneus Longus per-ə-ˈnē-əs lȯŋ-gəs 페러니어스 롱거스 장비골근 긴종아리근 86 Abductor Hallu..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8] 71 Semitendinosus sem-ē-ˌten-də-ˈnō-səs 세미 텐더노서스 반건양근 반힘줄모양근 72 Semimembranosus sem-ē-ˌmem-brə-ˈnō-səs 세미 멤브러노서스 반막양근 반막모양근 73 Gastrocnemius ga-(ˌ)sträk-ˈnē-mē-əs 가스트락니미어스 비복근 장딴지근 74 Soleus sō-lē-əs 솔리어스 넙치근 가자미근 75 Plantaris plan-ˈtar-əs 플란타러스 족척근 장딴지빗근 76 Popliteus päp-ˈlit-ē-əs 파플리티어스 슬와근 오금근 77 Tibialis Posterior tib-ē-ˈā-ləs pō-ˈstir-ē-ər 티비에이러스 포스티리얼 후경근 뒤정강근 78 Tibialis Anterior tib-ē-ˈā..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7] 61 Rectus Femoris rek-təs fem-ə-rəs 렉터스 페머러스 대퇴직근 넙다리곧은근 62 Vastus Medialis vas-təs-ek mē-dē-ˈā-ləs 바스터스 미디에이러스 내측광근 안쪽넓은근 63 Vastus Lateralis vas-təs-ek lat-ər-ˈā-ləs 바스터스 라터레이러스 외측광근 가쪽넓은근 64 Vastus Intermedius vas-təs-ek in-tər-ˈmēd-ē-əs 바스터스 인털미디어스 중간광근 중간넓은근 65 Pectineus pek-ˈtin-ē-əs 펙티니어스 치골근 두덩근 66 Adductor Longus ə-ˈdək-tər lȯŋ-gəs 어덕터 롱거스 장내전근 긴모음근 67 Adductor Brevis ə-ˈdək-tər brev-əs..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6] 51 Tensor Fasciae Latae ten(t)-sər fash-​ē-​ə-​ˈlā-​tə 텐설 파시어 레이터 대퇴근막장근 넙다리근막긴장근 52 Piriformis pir-​ə-​ˈfȯr-​məs 피러폴머스 이상근 궁둥구멍근 53 Gemellus Superior jə-ˈme-ləs su̇-ˈpir-ē-ər 저멜러스 수피리얼 상쌍자근 위쌍둥이근 54 Obturator Internus äb-tyə-ˌrā-tər in-ˈtər-nəs 압터레이러 인털너스 내폐쇄근 속폐쇄근 55 Gemellus Inferior jə-ˈme-ləs in-ˈfir-ē-ər 저멜러스 인피리얼 하쌍자근 아래쌍둥이근 56 Obturator Externus äb-tyə-ˌrā-tər ek-ˈstər-nəs 압터레이러 익스털너스 외폐.. 2021. 1. 23.
🍡기능해부학 근육명 한글발음&영어발음기호&신용어&구용어 정리[5] 41 Flexor Digiti Minimi Brevis fleksə(r) dij-ə-ˌtī-ˈmin-ə-ˌmī 플렉서 디저타이 미너마이 소지굴근 새끼손가락굽힘근 42 Opponens Pollicis ə-ˈpō-ˌnenz päl-ə-səs 어포넨즈 팔러서스 무지대립근 엄지맞섬근 43 Opponens Digiti Minimi ə-ˈpō-ˌnenz dij-ə-ˌtī-ˈmin-ə-ˌmī 어포넨즈 디저타이 미너마이 소지대립근 새끼손가락맞섬근 44 Abductor Digiti Minimi æbˈdʌktə(r) dij-ə-ˌtī-ˈmin-ə-ˌmī 애브덕터 디저타이 미너마이 소지외전근 새끼손가락벌림근 45 Dorsal Interossei dɔːrsl in-tər-ˈäs-ē-əs 돌슬 인터라시어스 배측골간근 손등쪽뼈사.. 2021.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