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방조동(Atrial Flutter)과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은 둘 다 심방의 부정맥(Atrial Arrhythmia)이지만, 기전과 특징이 조금씩 다르다. 간단하고 쉽게 비교해서 설명해보자.
1. 기본 개념
구분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정의 | 심방이 매우 빠르고 규칙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 심방이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게 떨리는 상태 |
리듬 | 리듬 규칙적(Rhythmic) | 불규칙적(Irregularly Irregular) |
2. 심장 전기 신호의 차이
구분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전기신호 | 심방 내에서 하나의 순환 경로(Reentrant Circuit)가 반복적으로 활동 | 심방 내에서 여러 군데에서 전기 신호가 무질서하게 발생 |
심박수 | 심방 : 250~350회/분 (굉장히 빠르지만 규칙적) | 심방 : 350~600회/분 (너무 빠르고 혼란스러움) |
심실반응 | 심실 : 150회/분 정도로 규칙적인 경우가 많음 | 심실 : 불규칙한 빠른 박동 |
3. ECG(심전도) 특징
구분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심전도모양 | 톱니바퀴 모양(F-wave)이 반복적으로 나타남 | P파가 사라지고 완전히 무질서한 기저선(Fibrillatory wave) |
리듬 | 규칙적 심실 리듬(2:1, 3:1 등) | 완전히 불규칙한 심실 리듬 |
4. 증상
구분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증상 |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등)이 규칙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 | 가슴이 불규칙하게 뛰고, 피곤하거나 어지러운 증상이 흔함 |
혈전위험 | 위험 있음(특히 좌심방 부속물) | 매우 높음 (뇌졸중, 색전증 위험 증가) |
5. 치료와 관리
구분 | 심방조동(Atrial Flutter)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
항응고제 | 항응고제 혈전 위험이 있으면 사용 | 항상 뇌졸중 예방을 위해 권장됨 |
리듬조절 | 전기적 심율동 전환(Electrical Cardioversion), 약물로 조절 | 약물(베타차단제, 항부정맥제), 전기적 심율동 전환, 카테터 절제술 등 |
심박수조절 | 주로 심박수 조절 필요하지 않음 | 심박수 조절이 매우 중요 (특히 고령자에서) |
핵심 요약
1. 심방조동은 전기 신호가 심방에서 규칙적으로 순환(톱니바퀴 ECG)하고, 심실 리듬도 비교적 일정함.
2. 심방세동은 전기 신호가 심방에서 무질서하게 발생하고, 심실 리듬도 완전히 불규칙함.
3. 둘 다 혈전과 뇌졸중 위험이 있지만, 심방세동의 혈전 위험이 더 높음.
4. 치료는 두 경우 모두 심박수 조절, 리듬 조절, 항응고제 사용을 포함함.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 💭카셉 운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전도 [출처 : 통증닥터백선생] (1) | 2025.01.04 |
---|---|
카셉 Clinical Exercise 연수교재 범위 리뷰 : 꼭 연수책이 있어야하는가? (4) | 2024.12.22 |
건강운동관리사 불합격하고 준비하는 KACEP 운동사 (0) | 2024.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