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 개념🟪/🏃‍♂️운동부하검사

정상인 vs 폐질환자 '동맥혈산소포화도' 차이 수준 ㄷㄷ

by 둔근해 2025. 4. 27.
반응형

 

둔근해 : 폐질환자의 동맥혈산소포화도가 5퍼센트 이상 감소하는 것은 운동 유발성 저산소혈증으로 비정상적인 반응이다라는 문장이 있어. 정상인들은 보통 운동시 동맥혈산소포화도가 전혀 감소하지 않아? 폐질환자만 많이 감소하는 편인가?

아르키 : ㅇㅇ 왠줄앎?>?

📌 본론

🔴 1. 정상인(Healthy individuals)의 경우

운동할 때 정상인들은 동맥혈산소포화도(SpO₂)
거의 감소하지 않아.

  • 운동을 하면 산소 소비량은 증가하지만,
  • 건강한 폐는 환기(Ventilation)산소 확산(diffusion) 능력이 충분해서,
  • 산소포화도를 95~100% 범위로 잘 유지함.

✔️ 즉, 운동 중에도 SpO₂는 거의 변동이 없다가 기본임.

단, 예외적으로:

  • 극한 고강도(maximal intensity) 운동 (예: 엘리트 마라토너)
  • 고지대(high altitude) 환경

같은 조건에서는 정상인도 살짝 SpO₂가 떨어질 수는 있어.
(그치만 일반적인 환경과 운동강도에서는 거의 변함 없음.)


🔵 2. 폐질환자(Pulmonary disease patients)의 경우

반대로, 폐질환자(COPD, ILD 등)는 얘기가 달라.

  • 폐포에서 산소가 혈관으로 확산(diffusion)되는 능력이 저하돼 있음.
  • 운동 시 분당 환기량은 올라가는데,
    산소를 빨리 혈액으로 넘기는 능력이 떨어져 있음.
  • 따라서 운동 중 SpO₂가 급격히 감소할 수 있음.

ACSM 11판에서도 이렇게 나와:

"A fall in SpO₂ of ≥5% during exercise is considered abnormal and indicative of exercise-induced hypoxemia in patients with pulmonary disease."

✔️ 폐질환자가 운동 중 SpO₂가 5% 이상 감소하면 →
운동유발성 저산소혈증(Exercise-Induced Hypoxemia, EIH) 로 판단함.


🟣 정리 흐름

구분정상인폐질환자
구분 정상인 폐질환자
운동 중 SpO₂ 변화 거의 없음 (95~100% 유지) 5% 이상 감소 가능
원인 폐환기와 확산능력 정상 폐환기 또는 확산능력 저하
주의사항 극한 운동이나 고산지대 제외 운동 중 SpO₂ 주기적 모니터링 필요

🧠 요약 포인트 (3줄 정리)

  • 정상인은 운동 중에도 SpO₂가 거의 감소하지 않고 95~100%를 유지한다.
  • 폐질환자는 운동 시 산소 확산장애로 인해 SpO₂가 5% 이상 감소할 수 있다.
  • 운동 유발성 저산소혈증은 비정상적 반응이며 운동 중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TMI 산소보충요법에 대해서 알아보쟛1111

🔴 1. 산소보충요법(Oxygen Supplementation)이란?

  • 운동 중 또는 운동 후
    혈중 산소포화도(SpO₂) 가 비정상적으로 떨어질 때,
  • 인위적으로 산소(O₂)를 추가 공급해서 저산소증(hypoxemia)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임.

쉽게 말하면:
숨만 쉬어서는 부족한 산소를 인공적으로 끼얹어주는 것.


🔵 2. 운동부하검사 중 산소보충요법이 필요한 경우

ACSM 11판에서도 이렇게 기준을 제시함:

"Supplemental oxygen is recommended if SpO₂ falls below 88% during exercise testing."

✔️ SpO₂가 88% 이하로 떨어지면산소보충요법 적용 권장.

왜 88%냐?

  • SpO₂ 88% 미만이면 혈액의 산소분압(PaO₂)이 약 55 mmHg 이하로 떨어짐.
  • 이 수치는 조직 저산소증(tissue hypoxia)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계선임.

🟣 3. 산소보충요법 방법

  1. 코삽입형 산소관(Nasal cannula)
    • 가장 흔한 방법. 가볍고 운동 중에도 가능.
    • 1~6 L/min 흐름속도로 산소를 공급함.
  2. 단순 산소마스크(Simple face mask)
    • 좀 더 높은 농도의 산소가 필요할 때 사용.
    • 5~10 L/min 정도로 공급 가능.
  3. 비재호흡 마스크(Non-rebreather mask)
    • 아주 심한 저산소증일 때. 거의 100% 산소를 제공.

🧠 운동 중에는 주로 코삽입형 산소관이 기본이야.
(운동하면서 마스크 쓰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


🔥 4. 운동 중 산소보충요법 적용 흐름

운동 중 SpO₂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
✅ 88% 이하로 떨어지면 →
✅ 산소공급 시작 (보통 Nasal cannula, 1~2L/min로 시작) →
✅ SpO₂가 90~92% 이상 회복되도록 조정.

처음부터 너무 많은 산소를 주면, CO₂ 배출에 문제 생길 수 있어서(특히 COPD 환자), 필요 최소량만 공급하는 게 원칙이야.


🧠 요약 포인트 (3줄 정리)

  • 운동 중 SpO₂가 88% 이하로 떨어지면 산소보충요법을 고려해야 한다.
  • 산소보충은 보통 코삽입형 산소관(Nasal cannula)로 1~2L/min로 시작한다.
  • 목표는 SpO₂를 90~92% 이상으로 회복시키되 과도한 산소 공급은 피해야 한다.

 

앗...근데 산소포화도.... 80% 기준도 있었고.. 88% 기준도 있는데....두 개 헷갈린다...뭐였찌?

 

🔵 1. 운동부하검사 중 산소보충요법 기준은 88% 가 맞다

ACSM 11판 기준으로, 운동 중:

"Supplemental oxygen is indicated when SpO₂ drops below 88%."

즉, 운동부하검사(Exercise Testing) 중 SpO₂가 88% 미만이면 산소보충 시작 권고함.
이건 표준 프로토콜이야.
(운동검사 중 SpO₂ 88%는 의료적介入이 필요한 분기점이라고 봐.)


🔴 2. 80% 수치는 어디서 나왔나?

80% 기준은 주로 다음 두 경우에서 나옴:

  1. 운동검사 '즉각 중단' 기준
    • 운동부하검사 도중 SpO₂가 80% 이하로 급격히 떨어지면,
    • 운동검사 자체를 중단해야 하는 "상대적 종료 기준(relative indication)" 중 하나로 간주함.
  2. 심각한 저산소증 정의
    • SpO₂ 80% 이하는 심각한 조직 저산소증(tissue hypoxia) 상태로 간주돼.
    • 이 경우는 산소 보충을 넘어서, 추가적인 중재나 응급조치까지 고려해야 해.

🧠 한 줄 요약하면:

  • 88% 미만 → 산소 보충 시작
  • 80% 이하 → 운동검사 종료 고려

🟣 3. 왜 88%와 80% 둘 다 외워야 하나?

88% 기준
👉 "산소 보충할까?"를 고민하는 초기 대응선이고,

80% 기준
👉 "운동검사 자체를 멈출까?"를 결정하는 비상 경고선이야.

의학적 심각도를 계단처럼 생각하면 됨:

SpO₂ 수치 의미 행동
95~100% 정상 경과 관찰
88~94% 주의 필요 상황에 따라 모니터링 강화
<88% 저산소증(산소보충 필요) 산소공급 시작
<80% 심각한 저산소증(운동검사 종료 고려) 검사 중단, 응급조치 준비

🧠 요약 포인트 (3줄 정리)

  • SpO₂ 88% 미만이면 산소보충을 시작하는 것이 기본 권고다.
  • SpO₂ 80% 이하이면 운동검사 종료를 고려해야 한다.
  • 88%는 산소보충의 기준선, 80%는 검사 중단의 경고선이다.

📚 참고로, 이 기준은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th Edition
+
American Thoracic Society(ATS)와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ACCP) 가이드라인에서도 일관되게 나온 내용이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