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Top 10 헷갈리는 조건 + 암기법
① ST분절 변화
- ● 헷갈림 포인트: ST 상승은 절대 종료 / ST 하강/수평은 상대 종료
- ● 왜 헷갈려? ST "변위"라는 말이 애매해서 그냥 다 같은 걸로 침.
- ✅ 암기법:
- ST 올라가면 검사도 올스탑(절대 종료)
ST 내려가면 일단 주시(상대 종료)
→ 상승 = 무조건 STOP / 하강 = 서서히 STOP
② 운동 중 수축기 혈압 감소 (SBP 하강)
- ● 절대 종료와 상대 종료 둘 다 있음
- ● 왜 헷갈려? 둘 다 SBP 떨어진다는데 어떤 건 절대고 어떤 건 상대임
- ✅ 암기법:
- "허혈 동반 + SBP 하강" → 심장 위기니까 절대 종료
"증상 없이 SBP 하강" → 아직 지켜볼 만하니까 상대 종료
→ 키워드는 "허혈 동반 여부"
③ SBP ≥ 200, ≥ 250 구분
- ● 안정시 고혈압은 상대 금기, 운동 중 고혈압 반응은 상대 종료
- ● 왜 헷갈려? 둘 다 숫자로만 외워서 섞임
- ✅ 암기법:
- 안정시 200 넘으면 “하기 전 금기”,
검사 중 250 넘으면 “하다가 멈춤”
→ “200 전, 250 중”
④ 심실성 부정맥 vs 조절 안 되는 부정맥
- ● 조절 안 되는 부정맥은 절대 금기,
- ● 다초점 빈맥 등은 상대 종료
- ✅ 암기법:
- “조절이 안 되면 검사 시작도 안 해” → 절대 금기
“조절은 되는데 이상하다?” → 하다가 멈출 수 있음
→ 조절 유무로 구분
⑤ 협심증
- ● 불안정성 협심증은 절대 금기 /
- ● 중등도 협심증은 절대 종료 /
- ● 경증 협심증은 통과
- ✅ 암기법:
- “시한폭탄(불안정형)은 검사 자체가 안 됨”
“검사 중 통증 터지면 즉시 멈춤”
→ "검사 전이면 금기, 검사 중이면 종료"
⑥ 대동맥 관련: 박리 vs 협착
- ● 대동맥박리: 절대 금기 / 협착: 증상 따라 상대 금기
- ✅ 암기법:
- “터지는 거(박리)는 무조건 검사 금지”
“막힌 거(협착)는 증상 봐가며”
→ “터질 듯 = 절대 금기 / 막힌 듯 = 상대 금기”
⑦ 심부전
- ● 비보상성 심부전: 절대 금기 /
- ● 빠른 심실부정맥: 상대 금기 or 종료
- ✅ 암기법:
- “보상 못 하면 검사 자체 금지”
“보상은 되는데 빨리 뛴다?” → 하다가 판단
→ “심장이 준비 안 됐으면 시작도 안 함”
⑧ AV블록 (방실차단)
- ● 2~3도 방실차단: 절대 종료
- ● 심한 방실차단: 상대 금기
- ✅ 암기법:
- “방실차단 중인데 심전도에서 실제로 보이면 멈춤”
“방실차단 진단받았는데 안정적이면 조건부 검사”
→ “보이면 종료, 기록만 있으면 금기”
📌 1. 방실차단(AV Block) vs 각차단(Bundle Branch Block, BBB)
구분 | 의미 | 대표 형태 |
방실차단 (AV block) | 심방(atria)에서 심실(ventricle)로 가는 전도 신호가 지연되거나 차단됨 | 1도, 2도 (Mobitz I, II), 3도 완전차단 |
각차단 (BBB, bundle branch block) | 심실 안에서 전기 신호가 양쪽 가지(bundle branch) 중 하나를 제대로 타지 못함 | 우각차단(RBBB), 좌각차단(LBBB), 좌전/좌후 방행차단 |
운동검사 전에 상대금기에 방실차단이 있음.
운동 중에 각차단보다 방실차단이 더 위험해, 절대종료에 2,3도 방실차단이 있고, 상대종료에 각차단이 있음.
⑨ 산소포화도 SpO₂ 80% 이하
- ● 상대 종료 조건인데, 수치가 낮아 보여서 절대 같음
- ✅ 암기법:
- “산소 80 밑이면 위험하긴 한데, 증상 보고 결정”
"산소 부족 = 아직 경고등, 아닐 수도 있음"
⑩ 환자의 중단 요청
- ● 절대 종료 조건인데 너무 '주관적'이라 잊기 쉬움
- ✅ 암기법:
- "피검자가 그만하자면 무조건 멈춤. 절대야."
“사람이 스스로 멈춘다는데, 그걸 무시하면 돌발사고 각”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 🏃♂️운동부하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성마비환자] 등척성 근력평가 중 엉덩관절 폄, 무릎 폄, 발목 움직임 신뢰성이 떨어지는 이유 (0) | 2025.05.08 |
---|---|
자전거를 활용한 3가지 운동부하검사 비교: 에르고미터, 윙게이트, 프란츠 검사 (0) | 2025.05.08 |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 왜 운동 시 심박수가 잘 안 올라갈까? (0) | 2025.05.03 |
운동부하검사 전제조건 : '모든 검사자들은 기계적 효율이 같다'의 의미 (0) | 2025.05.03 |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종료 적응증 8개 암기방법 (0) | 2025.05.03 |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1) | 2025.05.03 |
노인의 운동부하검사 특징 : 왜 민감도는 높고, 특이도는 낮은가? (0) | 2025.05.03 |
정상인 vs 폐질환자 '동맥혈산소포화도' 차이 수준 ㄷㄷ (1)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