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 운동부하검사를 공부하다 보면 가끔 헷갈리는 부분이 있다.
바로 이 문장이다:
“박출률이 감소한 심부전 환자는 운동 시 최대 심박출량이 낮고, 최대 심박수도 낮다.”
…근데 이거, 이상하지 않아?
보통 심장이 펌프질이 약해졌다면, 심박수라도 더 올려서 보상하지 않을까?
그런데 실제로는 반대다.
박출률이 낮은 사람일수록, 운동할 때 심박수도 잘 못 올린다.
왜 그럴까?
◼️ 먼저: 심박출량 공식 다시 보기
Q = HR × SV
(Q: 심박출량, HR: 심박수, SV: 1회 박출량)
박출률(EF)이 떨어졌다는 건,
● 심장이 한 번에 뿜어내는 혈액 양(SV)이 적다는 뜻이야.
그럼 보통은 HR을 높여서 보상할 거라고 생각하겠지.
그건 정상 심장 이야기고,
박출률이 낮은 심부전 환자는 그렇게 쉽지 않아.
◼️ 심박수를 못 올리는 이유 3가지
① 🔻 자율신경계 반응 둔화
심장 박동을 조절하는 교감신경이 무뎌짐.
즉, “더 뛰어!”라는 신호가 심장에 잘 안 먹혀.
→ 운동 강도가 올라가도 HR 반응이 느려.
→ 이걸 **심박수 반응 부전(chronotropic incompetence)**이라고 불러.
② 💊 β-차단제 복용
대부분의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는
**β-blocker(베타 차단제)**를 복용하고 있어.
이 약은 심장의 수축력과 심박수를 일부러 낮춰서
과도한 산소 소비를 막고, 심장을 보호하는 약이야.
→ 그러니까 약 때문에도 HR이 못 올라가는 거지.
③ 💥 심실 리모델링 → 전기 자극 전도 이상
박출률 감소는 보통
● 좌심실 확장,
● 섬유화,
● 수축력 저하로 이어짐.
이런 구조적 변화는 심장의 전기 신호 전도에도 영향을 줘.
→ 결과적으로 HR 조절 기능 자체가 떨어지는 경우도 생겨.
◼️ 비교 정리
구분 | 건강한 사람 |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 |
최대 심박수 | 180~200 bpm | 110~130 bpm 수준 |
심박수 반응 | 빠르게 상승 | 느리게 또는 제한됨 |
심박출량 | 많이 증가함 | 제한적으로만 증가 |
HR 조절 능력 | 정상 | 심한 제한 있음 (β-blocker, 전도 장애 등) |
◼️ 용어 정리: 심박수 반응 부전 (Chronotropic Incompetence)
운동 중, 예상만큼 심박수가 오르지 않는 상태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에게 흔하게 나타남
ACSM에서는 **“심박수 반응 부전은 운동 능력 제한의 주요 요인”**이라고 명시함.
🧩 예상문제
문제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환자가 운동 시 심박수가 잘 올라가지 않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심장 근육이 비대해져서
② 베타차단제 복용 등으로 교감신경 반응이 제한되기 때문에
③ 1회 박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④ 폐포-모세혈관 산소 교환이 원활하기 때문에
정답: ②
🔽 마무리하며
운동할 때 심장이 약하면 보통 “심박수라도 더 빨리 뛰겠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는 그럴 여력이 없다.
- 교감신경 반응 둔화
- β-차단제 영향
- 심실의 전기 전도 문제
이 세 가지가 겹쳐서
**“심박수를 올리고 싶어도 못 올리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걸 심박수 반응 부전이라고 하고,
환자의 운동 능력을 제한하는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심장재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는
이러한 생리적 반응을 고려해서
무조건 심박수 기준만으로 운동 강도를 설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실제로 최대하 검사는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합니다.
집에서도 비슷한 유산소 자극을 경험해보고 싶다면
👉 실내용 자전거, 인기 제품 보러 가기 https://link.coupang.com/a/crM9iX
엑사이더 접이식 리얼게임 실내자전거 - 다리 | 쿠팡
현재 별점 4.7점, 리뷰 214개를 가진 엑사이더 접이식 리얼게임 실내자전거!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다리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
www.coupang.com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 🏃♂️운동부하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킨슨] 임상 균형검사 6가지의 종류와 설명 (1) | 2025.05.10 |
---|---|
[뇌성마비] 최대심박수를 분당 180회 이상으로 표시하는 이유 (0) | 2025.05.09 |
[뇌성마비환자] 등척성 근력평가 중 엉덩관절 폄, 무릎 폄, 발목 움직임 신뢰성이 떨어지는 이유 (0) | 2025.05.08 |
자전거를 활용한 3가지 운동부하검사 비교: 에르고미터, 윙게이트, 프란츠 검사 (0) | 2025.05.08 |
운동부하검사 전제조건 : '모든 검사자들은 기계적 효율이 같다'의 의미 (0) | 2025.05.03 |
[암기팁] 절대금지vs상대금지vs절대종료vs상대종료 (헷갈리는 이유) (0) | 2025.05.03 |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종료 적응증 8개 암기방법 (0) | 2025.05.03 |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1) | 2025.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