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 [🏃♂️운동부하검사] -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건운사 운동부하, 운동처방 정리본은 해당 글 아래에 있습니다.혹시 매번..절대 금지와 상대 금지...절대종료와 상대종료,,, 를 외우다가 '오~ 이제 이해했어!' 하고 기출을 풀었지만 문제를 볼
corebox21.tistory.com
이전 글에서 절대적/상대적 금기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어요!
금기 사항이니까 말 그대로 운동검사전에 8가지의 항목에 해당되는 경우의 수가 있다면, 운동검사를 아예 하지 말아야하는게 절대적 금기사항이고, 환자의 상태를 좀 더 디테일하게 체크해보거나 상황을 봐가면서 검사를 할지 안할지를 결정해야하는 요소가 상대적 금기사항이에요.
그렇다면! 운동검사전에 아 ! 그래도 이 사람은 검사를 해도 되겠구나! 라고 생각되는 사람이, 운동검사를 실시하던 중! 앗! 이 사람! 운동을 그만 시켜야겠다! 라고 생각하는 종료의 기준을 '종료 적응증'이라고 해요.
이게 한글로 풀이되면서, 또 ..이건 보건계열을 처음 공부하는 분들이라면 뭐?적응했다고? 운동에 적응했다는 소리야? 뭐야?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운동을 멈추는데 적응한 상태?> 멈추는게 잘 맞는 조건인가? 아무튼 이상한 형식으로 상상의 나래를 펼치기 쉽다는 말이죵
● 적응증(Indication)이란?
의학에서는 "적응증(indication)"이란,
**"어떤 처치를 해야 하는 이유나 조건"**을 뜻해. 영어로 indication은 지표라는 뜻으로 표시, 지시라는 말로 보편히 알려져있음.
예를 들면:
- 수술 적응증 → 수술이 필요한 조건
- 약물 적응증 → 약을 써야 할 조건
- 종료 적응증 → 운동검사를 멈춰야 할 조건
● 딱 떨어지는 비유 하나 줄게요
👉 운동부하검사는 **"러닝머신 위에서 몸을 테스트하는 실험"**이야.
그런데 실험 중에 갑자기
- 엔진에서 연기가 나거나
- 기계가 덜컹거리거나
- 탑승자가 “내리겠음”이라고 하면?
이건 계속 실험 돌리면 망가진다는 신호야.
● 여기서
“이 실험은 지금 멈춰야 합니다.”
라고 알려주는 상황이 바로
📍 **‘종료 적응증(Indication for test termination)’**이야.
● 요약 정리 문장
"종료 적응증은,
운동검사를 멈춰야 하는 '명백한 이유'를 말하는 전문 용어예요.
적응한다는 뜻이 아니라, '멈출 근거가 생겼다'는 뜻이에요."
그렇다면 이제 절대적 종료 적응증에 대해 알아봅시다!
▼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 종료 적응증』
① 이전 심근경색 부위 외에서 ST분절 1.0mm 초과 상승
✔ 설명
ST분절이 1mm 이상 위로 들리는 건 급성 심근손상 의심 소견.
특히 Q파 없는 유도에서 보이면 더 위험.
→ 심장근육이 지금 망가질 수도 있음.
📌 이미지/예시
→ 지진 감지기 그래프가 갑자기 튀어 오르는 느낌.
→ “지금 심근 괴사 일어나는 중?”
→ 검사 중단하고 바로 병원 모드 전환.
② 허혈 증상 동반 + SBP 10 이상 하강
✔ 설명
운동 중 혈압이 떨어지는데, 허혈 증상도 같이 있음.
정상적이면 운동하면 혈압 오르는데,
→ 떨어진다는 건 펌프 기능 무너지는 신호.
📌 이미지/예시
→ 펌프 돌리는데 물 안 나옴 + 기계 뜨거움
→ 이 조합 나오면 바로 멈춰야 해.
③ 중등도~중증 협심증
✔ 설명
운동 중 통증 등으로 협심증이 명확해짐.
경증이면 참고 보지만, 중등도 넘으면 위험.
→ 산소 부족한 상태에서 심장 혹사하는 꼴.
📌 이미지/예시
→ 경고등 들어온 차로 고속도로 올라탄 느낌.
→ 그냥 끄고 정비소 가야 함.
(경증 mild->중등증 moderate ->중증severe 순서로 악화입니다.)
④ 중추신경계 증상 (운동실조, 어지럼증, 실신)
✔ 설명
뇌에 피가 안 가거나, 자율신경이 무너지고 있다는 증거.
걷다가 비틀, 시야흐림, 쓰러짐 → 전조 증상임.
→ 검사 지속은 사고 직결됨.
📌 이미지/예시
→ 컴퓨터 화면 깜빡이는 중인데 저장 없이 편집 계속하는 느낌.
→ 멈춰야 데이터 날라가지 않음.
⑤ 관류 부족 징후 (청색증, 창백)
✔ 설명
산소 공급 부족으로 피부색 변함.
말초혈관 수축 or 혈류 부전 가능성 있음.
→ 조직 산소포화도 급락할 수 있음.
📌 이미지/예시
→ 입술이 파래지고 얼굴이 창백?
→ ‘심장말고도 뇌랑 폐가 위험하다는 신호’
⑥ 지속되는 심실성 빈맥 또는 2~3도 방실차단 부정맥
✔ 설명
고위험 부정맥이 운동 중에도 멈추지 않고 지속됨.
→ 심장 전기회로 완전 꼬임 상태.
→ 실신, 심정지로 바로 이어질 수 있음.
📌 이미지/예시
→ 자동차 와이퍼가 미친 듯이 움직이는데 핸들 안 들음.
→ 제어 안 되는 상황. 바로 브레이크 밟아야 함.
⑦ 심전도 기술적 문제
✔ 설명
신호가 제대로 안 들어와서 판독 자체가 불가능.
→ 잘못된 정보로 판단하면 오진 위험.
→ 검사 지속해도 무의미함.
📌 이미지/예시
→ 초점 안 맞은 안경 쓰고 시력검사하는 거랑 같음.
→ 아무리 해도 결과 믿을 수 없음.
⑧ 검사 대상자의 중단 요청
✔ 설명
검사 중 피검자가 "멈추고 싶다"고 하면 무조건 중단.
→ 주관적 자각이 제일 중요함.
→ 억지로 지속하면 돌발 위험 올라감.
📌 이미지/예시
→ 운전자가 브레이크 밟고 있는데 옆에서 계속 가라고 하는 상황.
→ 본인 몸이 보내는 ‘직접적 경고’는 최우선임.
🎯 암기 요약 한 줄 공식
"심장이 위험하다 싶으면 무조건 멈추고,
피검자가 힘들다 하면 말 안 해도 멈춰야 한다."
2025.04.12 - [📝제작 자료 판매 안내문] -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유료] 건강운동관리사/KACEP 대비 운동처방 요약 정리
안녕하세요!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 0^)=@ 블로그 주인장 이하나짱짱맨입니다.건강운동관리사와 KACEP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 중 특히 건운사 1교시 3과목을 커버하기 위해 반드시 꼭
corebox21.tistory.com
40쪽 이하 정리본입니다. 패드에 옮겨서 ctrl+F키를 이용해 텍스트를 찾을 수 있고, 스스로 정리본에 필기, 또 정리하셔서 사용 가능해요!
운동검사 중에 바로 멈추진 않아도 되지만 상황을 봐가면서 멈출 수 있는 조건들을 상대적 종료 적응증이라고 합니다!
▼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상대적 종료 적응증』
① 과도한 ST변위 (J포인트 60~80ms에서 2mm 초과 하강 또는 수평)
✔ 설명
ST분절이 심하게 변하는데 아직은 위험 수준 ‘직전’.
1mm는 상승은 절대적 종료지만, 2mm는 수평 또는 하강은 "상태 따라 고려".
동반 증상이 없다면 조금 더 볼 수 있음.
📌 이미지/예시
→ 계기판에 경고등은 떴지만 연기는 안 나오는 상황.
→ 계속 지켜보되, 더 진행되면 바로 멈춰야 함.
② 운동강도 증가에도 다른 허혈 소견 없이 SBP 10mmHg 초과 하강
✔ 설명
운동하면 혈압은 올라야 정상인데,
오히려 내려가는데 증상이 없음.
그 자체로 위험은 아니지만 이상 반응.
📌 이미지/예시
→ 페달 밟는데 속도가 줄어듦.
→ 연료 공급 문제일 수도 있으니 정차 고려.
③ 호흡곤란 또는 과호흡 등 호흡증가
✔ 설명
과도한 호흡은 환기-대사 불균형 신호일 수 있음.
불편감은 크지만 생명 위협은 낮음.
→ 환자 반응 보며 조절 가능.
📌 이미지/예시
→ 숨 가쁘다고 해서 무조건 멈추는 건 아님.
→ 진짜 숨 못 쉬는 지, 아니면 과호흡인지 구분 필요.
④ 피로, 호흡곤란, 색창백, 다리경련, 파행
✔ 설명
말초혈류 문제, 근피로, 순환 부족 등이 원인일 수 있음.
객관적 지표는 약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멈춰야 함.
→ 자각 증상 위주로 판단.
📌 이미지/예시
→ 러닝머신 뛰다가 허벅지 뻐근 + 얼굴 하얘짐.
→ 당장은 위급 아니지만, 관찰하면서 조절해야 함.
⑤ 지속적인 심실성 빈맥 이외의 부정맥
(다초점 심실이소성, 상심조기수축 등)
✔ 설명
아직은 심실성 빈맥처럼 위급하진 않음.
하지만 패턴이 다초점이면 불안정해질 수 있음.
→ 빈도·형태·환자 상태 보고 결정.
📌 이미지/예시
→ 불규칙한 드럼 리듬이 자꾸 어긋남.
→ 박자 더 틀어지면 공연 망함. 이쯤에서 조율 필요함.
⑥ 과도한 고혈압 반응 (SBP ≥ 250 또는 DBP ≥ 115)
✔ 설명
압력 자체는 높은데 증상이 없는 경우.
고혈압성 위기까진 아니어도 위험 경계선.
→ 추후 측정 지속하며 판단.
📌 이미지/예시
→ 압력솥에서 증기 뿜긴 하는데 아직 터지진 않음.
→ 더 올리면 뚜껑 날아간다.
⑦ 심실빈맥과 구분이 어려운 각차단
✔ 설명
심전도 리듬이 이상한데, 정확한 판독이 어려움.
→ 차단이냐 빈맥이냐 구분 불가하면 리스크 존재.
→ 안전하게 멈추는 게 나을 수도 있음.
📌 이미지/예시
→ CCTV 화면 깨져서 사고인지 아닌지 모르겠음.
→ 일단 정지하고 확인해야 함.
⑧ 동맥혈산소포화도 SpO₂ ≤ 80%
✔ 설명
산소포화도 80% 이하면 조직 저산소증 위험 있음.
일반적인 운동 중에는 드문 현상.
→ 더 떨어지면 절대적 종료로 전환 가능.
📌 이미지/예시
→ 우주복에 산소 부족 경고 떴는데도 계속 우주 유영 중.
→ 되돌아오지 못할 수 있으니 조치 고려해야 함.
🎯 암기 요약 공식
“몸이 이상하긴 한데, 확실히 위험하진 않다?
그럼 상태 보면서 멈출지 말지 결정하는 게 ‘상대적 종료’다.”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 🏃♂️운동부하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전거를 활용한 3가지 운동부하검사 비교: 에르고미터, 윙게이트, 프란츠 검사 (0) | 2025.05.08 |
---|---|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 왜 운동 시 심박수가 잘 안 올라갈까? (0) | 2025.05.03 |
운동부하검사 전제조건 : '모든 검사자들은 기계적 효율이 같다'의 의미 (0) | 2025.05.03 |
[암기팁] 절대금지vs상대금지vs절대종료vs상대종료 (헷갈리는 이유) (0) | 2025.05.03 |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1) | 2025.05.03 |
노인의 운동부하검사 특징 : 왜 민감도는 높고, 특이도는 낮은가? (0) | 2025.05.03 |
정상인 vs 폐질환자 '동맥혈산소포화도' 차이 수준 ㄷㄷ (1) | 2025.04.27 |
운동시 맥박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한 손가락 -> 귓볼, 이마 변경 이유 (0)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