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른 인대와 달리 ACL은 비접촉성(non-contact injury)이 많고, 운동 중 발생 빈도가 높은 손상이라서 운동기능해부학 + 운동역학 + 외부환경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해.
🔬 1. ACL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요약
- 위치: 대퇴골(femur)의 외측과 내측에 걸쳐 → 경골(tibia)의 전내측(anterior medial) 부착
- 기능:
① 경골이 대퇴골 앞쪽으로 전방 전위되는 것을 방지
② 과도한 회전(rotational stress) 제어
③ 무릎의 안정성 유지 (특히 굴곡 20~30도일 때 가장 취약) - 🔴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 급정지, 방향전환, 착지 후 안정화
💥 2. ACL 손상 기전 요소들 (운동손상학 관점)
✅ (1) 비접촉 손상 메커니즘
- 주요 원인: 회전력 + 외반력 + 전방전위력의 삼중작용
- 예시: 농구나 축구에서 착지 시 체중이 무릎 앞쪽에 실리고, 무릎이 안으로 붕괴됨(knee valgus collapse)
📌 핵심 구성 요소
① 무릎 외반(knee valgus)
- 대퇴내전 + 경골외회전
- 둔근 약화 시 나타남
② 경골 전방 전위(forward translation) - 햄스트링이 약하거나, 쿼드의 강한 수축이 있는 경우
③ 내측 회전(internal rotation) - 체중이 경골에 얹히고, 회전 토크 발생
④ 무릎 반쯤 굴곡된 상태 - 20~30도 굴곡 상태에서 ACL 가장 취약
✅ (2) 접촉 손상
- 외부 충격 (ex. 상대 선수의 무릎이나 몸통과의 충돌) → 무릎이 안쪽으로 밀리면서 ACL 파열
- 이 경우는 내측측부인대(MCL), **내측반월상연골(Meniscus)**도 함께 손상되는 삼합손상(Unhappy Triad) 유발 가능
✅ (3) 근육 불균형 + 신경근 조절 문제
- 햄스트링(hamstring)의 억제작용 부족 → 경골 전방전위 억제 실패
- 대둔근(gluteus maximus)과 중둔근(gluteus medius)의 약화 → 무릎의 외반(knee valgus) 조절 실패
- 착지 시 무릎이 정렬을 벗어나면 → 전단력(shear force) 증가 → ACL 부담 증가
✅ (4) 착지/가속/감속 시의 움직임 패턴
- 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무릎-고관절의 정렬이 무너지면 위험
- 고관절 굴곡이 부족하면, 무릎에 하중이 집중됨
- 발목 고정성, 코어 안정성 부족도 영향
✅ (5) 외부 요인
- 인조잔디, 구두 마찰력 등 → 발이 고정되면 회전력이 무릎으로 집중
- 여성 운동선수의 해부학적 특성
- Q-angle 증가, 내반슬, 호르몬 영향 등 → ACL 손상율 증가
🔄 전체 흐름 요약
착지 or 급정지 순간
→ 고관절 약화 + 둔근 작용 미흡
→ 무릎 외반 + 경골 전방 이동 + 회전력 발생
→ ACL의 전방고정 역할 초과
→ 인대 섬유가 파열되며 '뚝'
📝 노트에 적을 요약 정리 (한줄 공식 + 시각화 포인트)
ACL 손상 공식:
외반 + 전방전위 + 내회전 + 굴곡 20~30도 + 둔근 약화 + 신경근 조절 실패
기억 이미지:
농구선수가 점프 후 한쪽 발로 착지 → 무릎이 안으로 휘면서 뚝 → 순간 대퇴는 뒤로, 경골은 앞으로 밀림
뇌는 명령을 못 내리고, 둔근은 멍때리는 중 ㅋㅋ
노트용 요약 키워드:
- 🔴 ACL 기능: 전방 전위 & 회전 방지
- 🔵 손상 메커니즘: 비접촉 > 접촉, 특히 착지-감속 시
- 🟢 근육요소: 햄스트링 억제력↓, 둔근 조절력↓
- 🟣 정렬요소: 무릎 외반, 경골 회전, 굴곡 20~30도
- 🟡 외부요인: 마찰↑, 구장 표면, 장비, 성별 차이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개념🟪 > 🩹운동상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테이핑 (Taping) 부위별 테이핑 가이드 (상지,하지,척추) (0) | 2025.05.04 |
---|---|
5. 테이핑 (Taping) 손상 유형별 테이핑 적용 전략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0) | 2025.05.04 |
4. 테이핑 (Taping) 적용원칙과 방법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 | 2025.05.04 |
3. 테이핑 (Taping) 종류와 특성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 | 2025.05.04 |
2. 테이핑 (Taping) 생리학적/기능해부학적 기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0) | 2025.05.04 |
1. 테이핑 (Taping) 정의와 목적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0) | 2025.05.04 |
[운동상해] 야구 투구 (0) | 2025.04.23 |
[운동상해] 뇌신경 12쌍 개념정리 및 암기법 (절대 못까먹음) (0) | 2025.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