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답: ① 테살리(Thessaly) 검사
🧠 개념 풀이
📌 Thessaly Test란?
반달연골(meniscus)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 대표적인 체중부하 특수검사
✔️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에서 내회전/외회전 시 통증이 유발되면 양성
📌 문제 설명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설명 요소 | 해석 |
“반달연골 파열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 | ✔️ meniscus 검사 맞음 |
“무릎 5도, 20도로 굽힘” | ✔️ Thessaly 검사 자세 |
“정강뼈 위의 넙다리뼈를 안쪽과 가쪽으로 회전” | ✔️ 내회전/외회전 → meniscus 마찰 |
“검사자가 잡아줌” | ✔️ 균형 위한 보호 → Thessaly 시 필수 동작 |
📌 나머지 보기는 왜 틀렸을까?
번호 | 검사 | 목적 | 틀린 이유 |
② | 크로스오버 검사 | 고관절 충돌 증후군, 고관절 병변 | ❌ 무릎과 무관 |
③ | 어플리 압박 검사 | meniscus 검사지만, 엎드린 자세에서 시행 | ❌ 자세 다름 |
④ | 내외반 스트레스 검사 | MCL/LCL 검사 (인대 검사) | ❌ 반월상연골과 무관 |
✅ 한 장 암기 그림 요약 (🧠 시각화 기억)
✨ 암기 팁
“테살리 = 테스트 while standing”
✔️ 유일하게 체중부하 서서 하는 meniscus 검사야!
✔️ 그래서 “서서 돌려보면, 반달이 아야한다”
✅ 정리
| 검사 | 테살리 검사 (Thessaly test)
| 목적 | 반월상연골 손상 평가
| 방법 | 서서, 무릎 5~20도 굽히고 내회전/외회전
| 양성반응 | 통증, 잡음, 불안정감
| 키워드 | 서서 돌리기 = 테살리! ✅
✅ 정답: 2번 (㉢ 르네, ㉣ 오버)
🧠 보기별 분석
번호 | 검사명 | 평가 구조물 | 설명 |
① 엘리 검사 (Ely's test) | ❌ 대퇴직근(quadriceps femoris) | 엎드린 자세에서 무릎을 굽혔을 때 골반이 뜨면 대퇴직근 단축 | ❌ |
② 노블 검사 (Nobel's test) | ✔️ 장경인대(IT band) | 무릎 30도 굽힌 채 압박 → 통증 유발 시 양성 | ⭕ |
③ 르네 검사 (Renne's test) | ✔️ 장경인대(IT band) | 체중부하 상태에서 무릎 굽힘 시 통증 → ITB 마찰 증후군 평가 | ⭕ |
④ 오버 검사 (Ober's test) | ❌ 중둔근(보조적)·장경대, TFL 평가 |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다리 떨어뜨렸을 때 장경대 짧으면 떨어지지 않음 | ❌ 햄스트링과 무관 |
✅ 맞는 것만 골라보면?
선택 | 정답 여부 | 이유 |
㉢ 르네 검사 | ⭕ | 체중부하 하에서 IT band 마찰 여부 확인 |
㉣ 오버 검사 | ⭕ | IT band 길이 평가 (햄스트링 아님!) |
📌 따라서 정답은 → 2번
🧠 한 장 암기법 요약
✨ 암기 문장
“오르노는 장경대다!”
(오버, 르네, 노블 = 장경대 평가 3형제)
❌ 엘리 = 햄스트링 아님! → 대퇴직근 검사!
✅ 요약
검사 | 평가 구조물 |
엘리(Ely) | ❌ 대퇴직근 (quadriceps) |
노블(Nobel) | ✅ IT band |
르네(Renne) | ✅ IT band |
오버(Ober) | ✅ IT band (햄스트링 ❌) |
✅ 정답: ②번 (① 심혈관계 정보, ④ 인지능력 정보)
🧠 개념 정리: SOAP Note란?
항목 | 의미 | 예시 |
S (Subjective) | 환자가 직접 말하는 증상, 느낌, 경험 | "요즘 허리가 너무 아파요", "어지러워요" |
O (Objective) | 검사자 또는 기계가 직접 측정하거나 관찰한 수치/사실 | 심박수, 혈압, 관절가동범위, 보행 양상 |
A (Assessment) | 검사자가 판단한 종합 평가/진단 | LBP 의심, 어깨 충돌증후군 가능성 |
P (Plan) | 치료계획 및 앞으로의 처방방향 | 도수치료 2회/주, 유산소운동 30분 |
🔍 각 보기 분석
보기 , 설명, 어떤 항목? |
① 심박수, 혈압 = 객관적 수치 → ✅ Objective |
② 활동 수준, 일상 상태 = 환자 자기보고 → ❌ Subjective |
③ 불편감, chief complaint = 환자 느낌 서술 → ❌ Subjective |
④ 인지기능 (시간, 장소, 사람 인식 여부) = 검사자가 직접 평가한 상태 → ✅ Objective |
✅ 그래서 정답은 ①, ④ → ②번
🧠 한 장 암기 요약: SOAP 구분법
📌 S: 아파요, 어지러워요
📌 O: 혈압 130/80, Goniometer 측정값
📌 A: Impingement 의심
📌 P: 3주 재활 후 재평가 예정
✨ 암기 팁 문장
“O는 기계랑 검사자가 직접 본 것만 써라!”
✔ S는 환자 말,
✔ O는 측정값과 관찰 결과!
✅ 질문: "머리손상 평가에 대한 검사로 옳은 것"은?
🧠 각각의 항목 검토
보기 | 설명 | 머리손상 관련 |
㉠ 인지력 검사 | 시간/장소 인지, 기억력, 집중력 | ✅ 매우 중요 (의식 수준, 혼돈 여부 확인) |
㉡ 신경학적 검사 | 지각, 반사, 운동 기능 등 검사 | ✅ 필수적 (신경손상 여부) |
㉢ 균형성 검사 | Romberg, BESS 등 | ✅ 전정계 손상/소뇌 기능 평가 |
㉣ 협응성 검사 | 손-눈 협응, 상하지 협응 (finger-to-nose 등) | ✅ 소뇌 기능 손상 평가에 활용 |
🧠 그럼 ㉠~㉣ 전부 다…
✔ 두부손상 후 환자의 인지, 신경기능, 운동조정, 평형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핵심 검사들임
→ 네 가지 모두 정답으로 옳음! 🧠
✅ 최종 정답: ④번 (㉠, ㉡, ㉢, ㉣)
🎯 한 장 요약:
🧠 두부손상 검사 4종 세트
✨ 암기 팁 문장
“머리 다치면, 생각도 안 되고, 걷지도 못하고, 손도 덜덜해!”
→ 인지력 + 신경학 + 균형 + 협응 = 전부 체크해야 뇌 안 다쳤는지 알 수 있다! ✅
📘 문제: 등속성 운동검사(isokinetic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모두 고르기
보기 재검토
① “고속에서 많은 반복 횟수로 최대 근력 검사를 실시함” ❌
- ✖️ 틀림!
- 고속에서 많은 반복 횟수 → 근지구력(endurance) 평가
- 최대 근력(peak torque) 측정은 저속(예: 60°/s)에서 적은 횟수로 평가함!
- 🔥 이건 근지구력 설명이지 최대 근력 검사 설명은 아님!
② “설정된 각속도에 의한 저항이 전 운동범위에 걸쳐 제공됨” ⭕
- ✔️ 맞음
- 등속성 = 각속도 고정, 저항은 자동 조절됨
- 운동 범위(RoM) 전체에 걸쳐 근육이 최대한 힘을 쓸 수 있도록 저항이 제공됨
- → 등속성 운동의 핵심 원리
③ “최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해 피험자는 최대 힘을 가해야 함” ⭕
- ✔️ 맞음
- 등속성 장비는 저항을 자동으로 조절하므로,
피험자가 최대한 힘을 줘야 peak torque를 측정 가능 - 이게 등속성에서 **“자발적 최대 노력(volitional maximal effort)”**의 핵심!
④ “피험자가 최대 힘을 발휘할 때 장비에 미리 설정된 각속도를 초과할 수 있음” ❌
- ✖️ 틀림!
- 등속성 운동 = 속도는 장비가 고정함!
- 즉, 아무리 피험자가 세게 밀어도 속도는 고정되고 절대 초과 불가
- 이건 등속성이 아니라 등장성 개념에 가깝지!
✅ 최종 정답: ②, ③ → 3번
📌 한 장 정리 요약
보기 내용 | 정오 |
① 고속 + 반복 = 근지구력 | ❌ |
② 일정 각속도 + 전범위 저항 제공 | ⭕ |
③ 최대 근력 측정 시 피험자가 최대 힘 가함 | ⭕ |
④ 각속도 초과 가능 | ❌ (속도 고정이 핵심!) |
✨ 암기 팁
“등속성 = 속도는 고정, 힘은 마음껏!”
- 💡 최대 근력 = 저속, 강하게
- 💡 근지구력 = 고속, 반복
- 💡 속도는 장비가 통제! 초과 ❌
'🩹운동상해 > 23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4.04 |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6-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0) | 2025.04.04 |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 (0)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