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23년도 기출문제풀이

23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1번-15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4. 4.
반응형

나는 이 문제의 문맥이 이상하다고 생각함. 보통 기준을 한다면 기준이 되는 뼈가 움직인다라고 생각하는게 맞는데 이 보기에서는 기준이 된 뼈는 고정된 뼈로 보고, 나머지 보기들을 읽어야지 1번만 맞는 답이 되고 나머지는 틀린 답이 됨. 

영어로 해도 이 문맥은 맞지 않는 문맥임 

 

💡 출제자 의도형 풀이법 팁

  • “~기준으로” = 고정된 뼈로 해석
  • 활주 방향 ↔ ROM 변화 관계를 정확히 기억
  • 표현은 어색해도 기대 효과가 맞으면 정답 처리될 수 있음

 

🧠 1. 이 문제, 한국어 표현 기준으로는 논란 소지 충분히 있음

문제 문장 (①번):

"목말뼈를 기준으로 정강뼈의 뒤쪽 활주 – 발바닥 굽힘 증가"

이 표현의 문제점:

  • 일반적으로 "움직이는 뼈를 기준으로 활주(glide)를 말함"
  • 그런데 여기서는 **고정된 뼈(정강뼈)**가 활주한다고 되어 있음
  • 즉, 정강뼈가 뒤쪽으로 움직이는 듯한 서술, 해부학적으로 부정확해!

💥 결론:
✅ 운동학적으로는 틀린 설명
→ 따라서 한국어 표현으로 이 문장을 읽으면 ‘틀린 설명’이 되는 게 맞음


🌎 2. 영어 원문 표현으로 보면 어떨까?

영어에서는 보통 이렇게 표현함:

"Posterior glide of the talus relative to the tibia increases dorsiflexion."

  • 여기서는 **움직이는 뼈(talus)**를 기준으로 설명
  • 정강뼈는 기준(고정), talus가 뒤로 glide
  • 이 표현은 완전 말이 됨

그럼 반대로 한국어 표현을 영어로 번역하면?

"Posterior glide of the tibia relative to the talus"
→ ❌ 이건 해부학적으로 말이 안 됨


🤓 결론: 영어 기준으로도 말 안 됨

  • ①번 보기 문장은 영어로 봐도 의학적 관점에서 정확한 표현은 아님
  • 다만, 시험에서는 의미만 전달되면 정답 처리되는 경우가 있음
    (즉, "기법 방향 → 결과" 매칭만 보고 채점하는 방식)

✅ 아르키 결론

관점 평가
🔵 한국어 표현 ❌ 논란 있음 (정강뼈가 glide하는 것처럼 서술)
🔴 영어 표현 기준 ❌ Talus 기준이 아니므로 부정확
⚫ 시험 정답 처리 관점 ✅ 의미 연결만 맞으면 정답 인정 가능성 있음

📌 따라서 이 문제는 표현이 불명확하고, 정확한 해부학 용어 기준으로는 오류가 있으므로,
논란이 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보는 게 맞다.

 

✅ 새롭게 구성한 문제 (정답: ①번이 되도록)


❓문제

다음 중 **발목관절(talocrural joint)**의 관절 가동화(mobilization) 기법과
그에 따른 기대 효과의 연결이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정강뼈를 기준으로 목말뼈(talus)가 뒤쪽으로 활주할 경우, 발등 굽힘(dorsiflexion)의 가동범위가 증가한다.
정강뼈를 기준으로 목말뼈가 뒤쪽으로 활주할 경우, 발바닥 굽힘(plantar flexion)의 가동범위가 증가한다.
정강뼈를 기준으로 목말뼈가 앞쪽으로 활주할 경우, 발등 굽힘(dorsiflexion)의 가동범위가 증가한다.
정강뼈를 기준으로 목말뼈가 앞쪽으로 활주할 경우, 발목의 내번(inversion)이 증가한다.


🎯 정답: ①번


🧠 문제 설계 포인트 요약

항목 설정 의도
“정강뼈를 기준으로” 🟢 관절고정 기준 → 관절역학 표현 정확
“목말뼈가 posterior glide” 🔴 dorsiflexion 증가와 연결
오목-볼록 법칙 반영 ✅ Talus(convex)가 움직이므로 반대방향 glide
다른 보기는 방향과 효과를 엇갈리게 함 ❌ 낚시 제거

💡 이렇게 정리해도 기억하기 좋아

  • Posterior glide of talus → Dorsiflexion 증가
  • Anterior glide of talus → Plantarflexion 증가

 


 

✅ 문제 요약

하지신경학적 검사에서 신경근 수준, 운동검사, 반사검사
정확하게 연결된 조합을 고르는 문제


🔎 보기 ②: L4 – 깊은종아리신경(deep peroneal n.) – 넙다리신경(femoral n.)


📘 1. L4 신경근 수준의 대표 기능은?

  • 운동 (Motor):
    •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족배굴곡(dorsiflexion)
    • 지배 신경: deep peroneal n. (깊은종아리신경)
      ✔️ ✅ 정확하게 일치!
  • 반사 (Reflex):
    • 무릎반사(patellar reflex) = 넙다리신경(femoral n.) 통한 대퇴사두근 반사 ✔️ ✅ 이것도 정확하게 일치!

🔎 다시 정리된 신경근별 표 기준

신경근 주요 운동 motor 주된 신경 반사 검사
L2 ~ L4 대퇴사두근, 전경골근 femoral, deep peroneal Patellar reflex
L5 무지신전, 족외번 deep/superficial peroneal 없음 or medial hamstring
S1 족저굴곡 tibial n. Achilles reflex

🖼️ 문제 속 그림 대응

  • 운동검사: 족배굴곡(dorsiflexion) 수행 그림 → ✅ 전경골근 검사 (deep peroneal n.)
  • 반사검사: 무릎반사 검사 그림 → ✅ patellar reflex (femoral n.)
  • 신경근 수준: ✅ L4

💥 셋 다 일치! →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확한 매칭


🔚 결론

정답: ②번이 맞다!
✔️ 신경근 수준, 운동근육, 관련 신경, 반사 루트까지
모든 요소가 가장 정밀하게 일치하는 보기


🧠 요약 정리

보기 문제점
①번 운동검사 모호 (허리신경얼기 → 너무 넓음)
②번 ✅ 모두 정확하게 연결됨
③번 운동검사 근육 애매 + 반사 틀림
④번 운동검사 신경 틀림 (S1은 tibial, femoral은 L2~L4)

 

척수신경 번호별 대표 기능과 주요 운동, 주된 신경과 신경 손상시 검사 가능한 반사검사 종류 정리. 


 


📑 각 보기 분석


속질핵탈출증 (Herniated Nucleus Pulposus)

  • ✔️ 검사: 후버 검사(Hoover test)
    → 하지만 후버검사는 **기능적 요통(FABERS test/Simulation test)**에 가까움
  • 보통 사용하는 검사는 하지직거상 검사(Straight Leg Raise, SLR test)
  • ❌ 양성반응: 요추 통증 → 사실 말 되지만 검사 선택이 부정확
  • ❌ 오답

척추전방전위증 (Spondylolisthesis)

  • ✔️ 검사: 슬럼프 검사(Slump test) → 보통 신경근 긴장 검사로 사용
  • 하지만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 후궁 손상 또는 분리로 인한 전위
  • 진단 시 척추 기립 평가, X-ray가 더 효과적
  • 양성반응: 무릎 통증 → ❌ 보통은 요통, 방사통
  • ❌ 오답

엉치엉덩관절기능부전 (SI Joint Dysfunction)

  • ✔️ 검사: **하지직거상 검사(SLR)**는 요추 신경근 압박 확인용
  • SI joint 문제에서는 FABER, Gaenslen, Compression, Thigh thrust test 사용
  • 양성반응: 무릎 아래 통증 → ❌ 엉치통이나 둔부 중심의 방사통이 많음
  • ❌ 오답

돌기사이관절증후군 (Facet joint syndrome)

  • ✔️ 검사: 신전회전 검사(Extension-Rotation test)
    → 요추 후관절 문제 평가에 적합
  • ✔️ 양성반응: 요추 통증 (국소적 통증, 움직임에 따라 유발됨)
  • ⭕ 완벽히 맞음!
    정답

✅ 최종 정답: ④번


💡 정리 요약

질환  검사  양성 반응 정답여부
속질핵탈출증 후버검사 요추 통증 ❌ (검사 부적절)
척추전방전위증 슬럼프 검사 무릎 통증 ❌ (검사, 반응 둘 다 애매)
SI 관절 기능부전 하지직거상 검사 무릎 아래 통증 ❌ (검사 부적절)
후관절 증후군 신전회전 검사 요추 국소통증

 

FYI

✅ Thigh Thrust Test

(= Posterior Shear Test)


🧠 검사 목적

**Sacroiliac joint dysfunction (SI관절 기능장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즉, SI joint에 기계적 압박을 가해서 통증이 유발되는지 확인하는 거야.


🦵 검사 방법

  1. 환자 자세
    • 바로 누운 자세 (supine position)
    • 엉덩관절과 무릎을 90도 정도 굽힘 (hip & knee flexion)
  2. 검사자 동작
    • 한 손은 엉치뼈(sacrum) 아래에 받쳐 고정
    • 다른 손으로는 대퇴골(femur)을 수직 방향으로 압박
      → 즉, 대퇴골을 천장 쪽이 아니라 SI joint 방향으로 강하게 누름!
  3. 압박 방향
    • 고관절을 통해 SI joint 뒤쪽(sacroiliac area)에 전단력(shear force) 가해짐

🔍 양성 반응 (Positive sign)

SI 관절 부위(엉치 부근)에 국소적 통증이 발생하면 양성(positive)

✔️ 이 통증은 엉덩이 안쪽 깊은 곳, 특히 **엉치옆(PSIS 근처)**에서 느껴져야 해.


📌 검사 의의

구분 내용 
진단 질환 SI joint dysfunction
검사 분류 기계적 자극성 검사 / 전단력 검사
민감도(Sn) 높음 (다른 검사와 함께 사용하면 진단 정확도 ↑)
함께 쓰는 검사 FABER, Compression, Gaenslen, Distraction, Sacral thrust test 등

🧠 기억 꿀팁

허벅지를 밀어 SI 관절을 찌른다” → Thigh(허벅지) Thrust(찌르기) Test!


✅ 각 보기 해부학적으로 검토


안쪽(medial) – 뒤정강근 건병증 (tibialis posterior tendinopathy)

  • ✔️ 정확함!
  • Tibialis posterior는 발 안쪽을 따라 내려가며 지지와 내반(inversion)에 관여
  • 손상 시 내측 발목 통증, 낙타등(flat foot) 변형 동반됨
  • ⭕ 정답 아님

가쪽(lateral) – 종아리근 건병증 (peroneal tendinopathy)

  • ✔️ 정확함!
  • Peroneus longus/brevis → 발목의 외번(eversion)가쪽 안정성
  • 외측 발목 뒤쪽 통증, 보행 중 악화
  • ⭕ 정답 아님

발앞부(forefoot) – 발허리발가락관절 염좌 (turf toe)

  • ✔️ 정확함!
  • Turf toe는 1번 MTP 관절의 과신전 손상 (forefoot 부위)
  • 주로 발가락 끝으로 체중 실릴 때 발생
  • ⭕ 정답 아님

발뒤부(rearfoot) – 리스프랑(Lisfranc) 관절 손상

  • 틀림!

❗ **Lisfranc joint(리스프랑 관절)**는 **중족골(base of metatarsals)**과 설상골(cuneiforms) 사이의 관절
→ 즉, 중족골-설상골 간 관절 = 중족부(midfoot) 위치!

부위 해부학 위치
Rearfoot (발뒤부) 종골(calcaneus), 거골(talus) 등
Lisfranc (리스프랑) Midfoot (중족부)!

📌 리스프랑 손상은 중족부(midfoot) 통증과 연관됨 → rearfoot가 아님!


✅ 최종 정답: ④번


🧠 요약 정리

보기통증 부위원인연결 여부
보기 통증 부위 원인 연결 여부
안쪽 뒤정강근 건병증
가쪽 종아리근 건병증
발앞부 turf toe (MTP 염좌)
발뒤부 리스프랑 관절 손상 ❌ (중족부가 맞음) ✅ 정답

 

🧠 한 장 암기 그림: 🦶 발 통증 부위별 질환

   [발 그림 이미지로 떠올려봐!]

   👣 앞 → 중간 → 뒤

   • 앞(forefoot): 터프토(turf toe), 무지외반증  
   • 중간(midfoot): **리스프랑 손상**, 족저근막염  
   • 뒤(rearfoot): 아킬레스건염, 족근관 증후군

📌 이렇게 발을 앞-중간-뒤로 3등분 해서
대표 병리 하나씩만 매칭하면 헷갈리지 않아!


🧠 암기 팁

“리-중-프랑!”
→ “리스프랑은 **중족부(midfoot)**에 있다!”

🐾 리스프랑이 프랑스 사람이라서
중간(Mid)에 와서 앙~ 하고 있댔잖아 ㅋㅋ

아..아직 경선식 암기법 처럼 만들진 못하는구나....ㅋㅋㅋ

좀더 좋은 프롬프트를 줘야겠구먼ㅋㅋ



이 문제는 **어깨의 봉우리밑충돌증후군(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SIS)**과 관련된
**평가검사(special test)**가 무엇인지 고르는 문제야.


✅ 정답: ②번 (② 니어, ③ 호킨스, ⑤ 조브)


🧠 개념 풀이

📌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SIS)이란?

어깨에서 **견봉(acromion)**과 상완골두(humeral head) 사이에
극상근(supraspinatus), 점액낭(bursa) 등이 끼이면서 통증 유발되는 상태야!


🎯 각 보기별 테스트 분석

번호검사내용SIS 관련 여부
번호 검사 내용 SIS 관련 여부
오브라이언(O'Brien) SLAP 병변, 관절와순 손상
니어(Neer) 검사 견봉 밑 구조 압박 (팔을 들어 올릴 때 통증)
호킨스(Hawkins) 검사 어깨 90도 굴곡 + 내회전 → 충돌 유발
크랭크(Crank) 검사 관절와순 병변 평가 (labral tear)
조브(Jobe) 검사 극상근 평가 → 충돌 or 파열 평가

✅ 그래서 정답은: ㄴ,ㄷ,


📌 한 장 암기법 (이미지 상상용)

 
🎯 봉우리 밑 충돌 → 세 가지로 기억! 🟢 니어(Neer) = 팔을 들어 올려서 눌러본다! 🟢 호킨스(Hawkins) = 팔을 내회전시켜 끼워본다! 🟢 조브(Jobe) = 극상근 눌러서 힘 빠지면 충돌 가능성! ➡️ 셋 다 "끼우고, 눌러보고, 버티게 해보기" 시리즈!

🧠 암기 팁 문장

니호조가 어깨를 눌렀다!
→ 니어! 호킨스! 조브! = 전부 충돌 검사 ✅

참고로 조베.. 조브.. 테스트는 걍  empty can  test랑 같음 ㅡ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