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당도(validity)란?
검사가 **무엇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도를 말해!
🟢 타당도의 주요 종류
종류 | 정의 | 예시 |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 전문가의 판단을 통해 검사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잘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 | 체육 전문가가 심폐지구력 측정 항목이 적절한지 검토 |
준거타당도(criterion validity) | 검사 결과가 기준(준거)이 되는 다른 측정도구와 얼마나 관련 있는지 보는 것 | 새로운 검사 결과와 VO₂max 결과 간 상관관계 |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 이론적으로 구성한 개념(예: 지능, 우울 등)을 검사 결과가 잘 반영하고 있는지 | 우울척도가 실제로 우울증을 잘 반영하는지 |
예언타당도(predictive validity) | 검사 결과가 미래 행동이나 결과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 수능 점수가 대학 학업성취도 예측하는 정도 |
둔근해 뇌피셜 암기법
새로 짠 필라테스 프로그램의 내용이 괜찮은지 필라테스 전문가 둔근해가 살펴보고 판단함. 프로그램의 내용을 내가 가진 전문지식을 활용해 검토하고 살펴볼 수 있는 능력은 일반인보다 본인이 더 뛰어다기 때문에 자타공인 전문가인 낵아 내용을 살피는 것이 타당함. => 내용타당도
내가 새로 만든 필라테스 기구가 있는데 기존에 있는 필라테스 기구와 얼마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따져보고싶어 기준을 현재 운동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인투 필라테스 기구와 비교함. 내가 만든게 얼마나 허접하게 만든게 아닌지, 제대로 만들었는지 확인하려 유명한 기구 업체와 비교해볼 때 => 준거 타당도
오늘 새로 짠 다이어트 운동 프로그램 구성이 실제 체지방을 터는데 효과가 있는지, 지방을 태울 수 있는 FITT에 맞춰서 구성을 짰는지, 목적에 맞게 운동을 설계한건지 구성을 확인해야할 때 => 구성 타당도
건강운동관리사 최종합격이 미래의 내가 돈을 레알로다가 많이 벌 수 있게 해줄지? 건운사 자격증으로 pt 샵 장사가 잘 될 수 있는지 예측 가능한 자격증인지 확인해볼 때 => 예언(예측)타당도
무엇을 위해 이런 개소릴 씨부리는 것인지? 제대로 공부를 하고 있는것인지? =>? 타당도
⚫ **신뢰도(Reliability)**란?
"같은 검사를 반복했을 때 일관된 결과를 내는 정도"
즉, 측정값의 안정성, 반복 가능성을 의미해!
✔ 아무리 타당한 검사라도, 매번 결과가 들쭉날쭉하면 소용 없겠지?
→ 그래서 신뢰도는 타당도의 전제 조건이야! (신뢰도 없으면 타당도도 없음)
📌 건강체력평가에 실제 적용되는 핵심 신뢰도 3종 세트
신뢰도 종류 | 핵심 개념 | 건강체력평가에서의 예시 |
검사-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
같은 사람에게 시간차를 두고 같은 검사를 했을 때 일관된 결과 나오는지 | 같은 대상자가 3일 간격으로 악력검사를 했을 때 유사한 수치가 나와야 함 (시간차가 있어도 같은 결과가 나와야제!) |
채점자 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
여러 명의 평가자가 동일한 동작/결과를 평가할 때 점수가 유사한지 | 두 명의 트레이너가 플랭크 자세 유지 시간 측정 시 같은 기준으로 채점해야 함 (트레이너가 바뀌어도 똑같이 측정되어야 되제!) |
내적 일관성 신뢰도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
검사의 여러 문항이 동일한 개념을 일관되게 측정하고 있는지 | 체력 인지 설문에서 “나는 빨리 숨이 찬다”, “나는 쉽게 지친다” 같은 문항들이 같은 개념(지구력) 측정 중인지 (설문 항목과 보기가 전부 같은 방향성으로 묻고 있는건지) |
📌 객관도(Objectivity)란?
“누가 검사하든 일관된 결과가 나오는가?”
즉, 검사자(trainer)가 달라도 결과가 바뀌지 않아야 한다는 뜻!
✔ 그래서 **채점자 간 신뢰도(Inter-rater reliability)**와 가장 밀접해!
→ 사실상 객관도 ≈ 채점자 간 신뢰도라고 봐도 무방해 😼
🟢 건강체력평가에서 중요한 객관도의 대표 유형 2가지
유형 | 개념 | 예시 |
채점자 간 객관도 (Inter-rater objectivity) |
여러 검사자가 같은 피검자를 평가했을 때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 A트레이너와 B트레이너가 같은 사람의 윗몸일으키기 횟수를 셌을 때 똑같이 22개로 기록 |
채점자 내 객관도 (Intra-rater objectivity) |
같은 검사자가 반복 측정했을 때 일관되게 기록하는지 | 내가 아침, 오후에 같은 사람의 유연성 검사를 했는데 기록 방식이 같아야 함. |
✅ 측정 도구 평가의 핵심 3요소 비교표
항목 | 의미 | 핵심 질문 | 예시 | 건체평 적용 |
타당도 (Validity) |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 | "정확하게 재고 있는가?" | PACER 검사 결과와 VO₂max의 상관관계 | 심폐지구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 확인 |
신뢰도 (Reliability) |
일관된 결과를 반복해서 내는가? | "매번 같은 결과가 나오는가?" | 악력검사를 이틀 간격으로 했는데 비슷한 수치 | 체력 측정 도구의 반복 측정 시 점수의 안정성 |
객관도 (Objectivity) |
검사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가? | "누가 재도 똑같은가?" | 트레이너 A, B가 같은 윗몸일으키기 개수 기록 | 윗몸일으키기, 유연성 등 사람이 직접 관여하는 검사에서 중요 |
🧠 핵심 비교 키워드 요약
구분 | 키워드 |
타당도 | ✔ 정확성 (정확하게 재냐?) |
신뢰도 | ✔ 일관성 (다시 재도 같냐?) |
객관도 | ✔ 공정성 (누가 재도 같냐?) |
📌 외우는 팁
“정·일·공” 원칙으로 외워!
- 정 → 타당도 = 정확하게 재는가?
- 일 → 신뢰도 = 일관되게 재는가?
- 공 → 객관도 = 공정하게 누구나 재도 같은가?
💡 실무에서 체크 포인트
검사 유형 | 중요 요소 |
설문지, 체력 질문지 | 내적일관성 신뢰도, 타당도 |
장비 기반 측정 (체중, 악력 등) | 신뢰도, 객관도 거의 보장됨 |
관찰 기반 측정 (자세, 유연성 등) | 객관도 확보 필수! 평가자 교육 필요 |
타당도는 과녁 10점짜리에 정확하게 쏘는 것.
신뢰도는 한명이 10점짜리에 여러번 쏴도 똑같이 맞출 수 있는 것.
객관도는 화살을 쏜 (측정을 한 사람) 여러 사람들이 비슷한 점수를 얻을 수 있는 것.
'🧪건강체력평가 > 필수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태/생리/건체평] 인슐린과 포도당 말장난 정리 ㅡㅡ (0) | 2025.04.15 |
---|---|
[건강체력평가] 국민체력100 검사 항목 요약표 (한눈에 정리) (0) | 2025.04.15 |
국민체력100 청소년, 성인, 노인 체력검사 항목 (0) | 2022.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