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80

하이폭시 트레이닝 (Hypoxic Training: 저산소 훈련) 하이폭시 트레이닝은 정상적인 산소 농도(해수면 기준 약 20.9% 산소)보다 낮은 저산소 환경에서 운동을 수행하여 인체의 생리적 적응을 유도하고 운동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 방법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고지대 훈련(Altitude Training) 또는 **모의 고지대 훈련(Simulated Altitude Training)**으로 불리기도 합니다.1. 정의 및 원리정의: 산소 분압이 낮은 환경(저산소 환경)에서 훈련하여 신체가 산소 부족 상황에 적응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원리:산소 부족 스트레스: 저산소 환경은 우리 몸에 산소 부족이라는 스트레스(Hypoxic Stress)를 가합니다.생리적 적응: 이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우리 몸은 산소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운반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도록 생리.. 2025. 6. 27.
슬링 운동 (Sling Exercise / Redcord Exercise)의 원리와 효과 3가지 슬링 운동 (Sling Exercise / Redcord Exercise)**슬링 운동(Sling Exercise)**은 줄(Sling)을 이용해 신체의 일부를 매달거나 지지한 채로 수행하는 운동 방식입니다. 흔히 **레드코드(Redcord)**라는 특정 장비의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 장비는 천장에 매달린 2개의 붉은색 줄과 여러 고리, 도르래 등으로 구성됩니다. 슬링 운동은 불안정한 환경을 제공하여 신경근 조절 능력과 코어 안정성 강화를 목적으로 합니다.슬링 운동의 원리슬링 운동의 핵심 원리는 바로 **'불안정성(Instability)'**입니다.중력과 불안정성 활용: 인체의 일부(예: 팔다리, 몸통)를 슬링에 매달면, 중력과 슬링의 흔들림으로 인해 불안정한 환경이 조성됩니다.신경근 조절 활.. 2025. 6. 26.
고유수용성 감각(Proprioception)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 3가 고유수용성 감각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요약)고유수용성 감각은 몸의 위치와 움직임을 인지하는 능력으로, 균형, 협응력, 부상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이를 향상시키는 세 가지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불안정성 표면 훈련: 보수볼이나 짐볼처럼 불안정한 표면에서 운동하여 균형 유지에 필요한 미세 근육과 고유수용기 활성화를 촉진합니다. 뇌와 근육 간의 피드백을 강화하여 정교한 움직임 제어 능력을 키웁니다.편측성 훈련: 한쪽 팔이나 다리만 사용하는 운동(예: 한 발 스쿼트)으로, 개별 사지의 독립적인 균형 및 움직임 제어 능력을 발달시키고 좌우 불균형을 개선합니다.눈을 감고 하는 훈련: 시각 정보를 제한하여 고유수용성 감각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시각 정보 없이도 몸의 균형과 움직임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능력을.. 2025. 6. 26.
패턴 과부하(Pattern Overload) 패턴 과부하(Pattern Overload) 요약패턴 과부하는 특정 움직임이나 자세를 반복적이고 만성적으로 수행할 때 발생하는 누적된 스트레스와 손상입니다. 이는 우리 몸이 부하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고, 특정 근육이나 관절에만 과도한 부담이 집중될 때 발생합니다.원인은 제한된 운동 패턴, 직업적 반복 동작,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한 근육 불균형입니다. 즉, 일부 근육은 과활성되고 다른 근육은 약화되는 변형된 동원 패턴이 나타납니다.결과적으로 만성 통증, 관절 기능 장애, 부상 위험 증가, 운동 수행 능력 저하를 초래합니다. 예를 들어, 반복적인 투구로 인한 어깨 통증이나 장시간 좌식 생활로 인한 허리 통증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해결 및 예방을 위해서는 운동 다양성 확보, 근육 불균형 교정, 올바른.. 2025. 6. 26.
신경근 효율(Neuromuscular Efficiency)을 늘리는 운동 방법 3가지 신경근 효율(Neuromuscular Efficiency)은 신경계가 근육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동원하고 조절하여 움직임을 만들거나 힘을 발휘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근육의 크기가 크다고 해서 힘이 세지는 것이 아니라, 뇌와 신경계가 근육에 얼마나 정확하고 효율적인 신호를 보내는지가 중요합니다.신경근 효율을 늘리기 위한 방법은 주로 신경계의 적응을 유도하고, 근육 동원 패턴을 최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3가지 방법입니다.1. 고중량 저반복 훈련 (High-Load, Low-Repetition Training)설명: 이 방법은 최대 근력(Maximum Strength) 향상을 목표로 하며, 1RM(1회 반복 최대 중량)의 85% 이상에 해당하는 고중량으로 1~5회 정도의 적은 반.. 2025. 6. 26.
바벨과 덤벨 운동의 차이점 3가지 정리 요약 바벨 운동과 덤벨 운동은 웨이트 트레이닝의 가장 기본적인 도구이지만, 각각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점을 이해하면 자신의 운동 목표와 신체 상태에 맞춰 더 효과적인 훈련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1. 안정성 (Stability) 및 다룰 수 있는 중량바벨 운동:특징: 바벨은 하나의 긴 봉을 양손으로 함께 잡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높습니다. 바벨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좌우 균형을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장점: 안정성이 높으므로 더 많은 중량을 다룰 수 있습니다. 이는 근력 증가 및 근비대에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파워리프팅이나 올림픽 리프팅처럼 고중량 훈련이 목표인 경우 바벨이 필수적입니다.단점: 안정성이 높은 만큼 협응근(Synergist)과 안정화 근.. 2025. 6. 26.
근력 수준을 결정하는 생체역학적인 요인 5가지(운동생리학과 트레이닝방법론 관점) 근력 수준을 결정하는 생체역학적 요인은 운동생리학적 요인(예: 근육 단면적, 근섬유 유형 구성)과 더불어 근육이 실제로 힘을 발휘하는 효율성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트레이닝 방법론 관점에서 이러한 생체역학적 요인들을 이해하는 것은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훈련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조금더 쉽게 설명하자면, 더보기우리가 흔히 말하는 '근력(Strength)'은 단순히 근육이 낼 수 있는 '힘의 크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생체역학적 관점에서 근력의 수준을 결정한다는 것은, **"근육이 생성하는 내부적인 힘이 외부적인 움직임이나 저항에 대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발현되고 전달되는가?"**를 의미합니다.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근육 자체는 수축을 통해 힘(장력)을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이 .. 2025. 6. 26.
스티킹 포인트 (Sticking Point) 스티킹 포인트 (Sticking Point)**스티킹 포인트(Sticking Point)**는 근력 운동, 특히 바벨이나 덤벨을 사용하는 복합 다관절 운동(Compound Multi-joint Exercise)에서 중량을 들어 올리거나 밀어 올릴 때, 가장 힘들고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거나 일시적으로 멈추는 특정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 지점은 운동 수행에 있어 가장 큰 난관으로 작용하며, 종종 실패가 발생하는 지점이기도 합니다.스티킹 포인트가 발생하는 이유스티킹 포인트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지레의 원리 (Leverage):인간의 신체는 다양한 관절과 지렛대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운동 동작의 각도에 따라 근육이 중량에 대해 가장 효율적인 지레를 형성하는 지점과 가장 비효율적인 지점.. 2025. 6. 26.
스트레스-스트레인 곡선(Stress-Strain Curve)과 트레이닝 방법론 스트레스-스트레인 곡선(Stress-Strain Curve)은 재료 공학에서 물질이 외부 힘(응력, Stress)에 의해 얼마나 변형되는지(변형률, Strain)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 개념은 인체 조직, 특히 근육, 건(tendon), 인대(ligament)와 같은 연부 조직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트레이닝 방법론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스트레스-스트레인 곡선의 기본 개념응력(Stress):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힘을 의미합니다. (단위: N/m2, Pa 등) 훈련 상황에서는 들어 올리는 중량이나 저항에 해당합니다.변형률(Strain): 재료의 원래 길이에 대한 변형된 길이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단위: 무차원, % 등) 훈련 상황에서는 근육이나 건이 늘어나거나 .. 2025. 6. 26.
항상성(Homeostasis)과 신항상성(Allostasis) 비교 설명 신항상성 (Allostasis)**신항상성(Allostasis)**은 항상성(Homeostasis) 개념을 확장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하며 내부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신체의 동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단순히 내부 환경을 특정 '고정된' 기준점에 유지하는 것을 넘어, 예측과 적응을 통해 새로운 안정성을 찾아가는 더 능동적인 조절 메커니즘을 강조합니다.항상성(Homeostasis)과의 차이점신항상성을 이해하려면 먼저 항상성과 비교하는 것이 좋습니다.항상성 (Homeostasis): 우리 몸이 **정해진 내부 기준치(Set Point)**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체온(약 37°C), 혈당(약 70-110mg/dL), 혈액 pH 등은 외부 환경이 변해도 신.. 2025. 6. 26.
세컨드 윈드 (Second Wind) 현상과 러너스 하이 (Runner's High) 세컨드 윈드 (Second Wind) 현상세컨드 윈드(Second Wind) 현상은 주로 장거리 달리기나 등산과 같은 유산소 운동 시 경험하는 특이한 생리적 전환점을 의미합니다. 운동 초반에는 숨이 차고 근육이 피로하며 운동을 멈추고 싶은 **고통스러운 시점(사점, Dead Point)**을 경험하다가, 그 고비를 넘기고 나면 갑자기 피로감이 줄어들고 호흡이 편안해지며, 마치 새로운 에너지가 솟아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 현상입니다. '두 번째 호흡' 또는 '두 번째 바람'이라는 이름처럼, 새로운 활력을 얻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줍니다.세컨드 윈드 발생 원리 (추정)세컨드 윈드 현상의 정확한 생리학적 원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주요 이론.. 2025. 6. 26.
트레이닝의 원리 7가지 이야기로 외워보기(암기법) 헬린이 '득근이'의 좌충우돌 성장 일기주인공 '득근이'는 매일 퇴근 후 헬스장에 가는 평범한 헬린이입니다. 득근이의 목표는 오직 하나, '득근(근육 얻기)'이었죠.어느 날 득근이는 인스타그램에서 엄청난 근육을 가진 '김코치'님을 보게 됩니다. 득근이는 김코치님처럼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다가, 문득 **"나만의 운동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 개별성의 원리: 사람마다 운동 능력, 목표, 체력 수준이 다르니, 나에게 맞는 운동법이 필요하죠!)득근이는 김코치님의 조언을 구합니다. 김코치님은 득근이의 운동 일지를 보더니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득근 씨, 매일 똑같은 무게로 똑같은 운동만 하시네요?" 그러면서 "근육은 새로운 자극을 줘야 성장해요. 그리고 오늘 했던 운동과 비슷한 방식으.. 2025. 6. 25.
Triceps Extension VS Kick Back 근수축의 차이점 건강운동관리사 구술 및 실기 시험을 준비하는 여러분들이라면, 근육의 수축 특성과 특정 질환의 진단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삼두근 운동의 대표적인 두 가지 동작인 트라이셉스 익스텐션과 킥백의 근수축 차이를 힘-속도 곡선과 길이-장력 곡선의 관점에서 설명하겠습니다. 1. 삼두근 운동 심화 이해: 익스텐션 vs. 킥백삼두근은 상완의 뒤쪽에 위치하며 팔꿈치를 펴는 역할을 합니다. 이 근육은 장두(Long Head), 외측두(Lateral Head), 내측두(Medial Head)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익스텐션과 킥백은 이 세 가지 머리를 다르게 자극하여 삼두근 발달에 기여합니다.1.1.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볼륨과 근력 강화 (예: 오버헤드 익스텐션)트라이셉스 익스텐션.. 2025. 6. 25.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시 보조적 영상을 필요하는 3가지 분류와 보조적 영상의 종류 3가지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 시, 심전도(ECG)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특정 상황들이 있습니다. 질문에서 언급된 좌각차단(LBBB), 우각차단(RBBB)으로 인한 V1-V3 유도 해석 불가능, WPW(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그리고 디지털리스(Digoxin) 치료 중인 환자들이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이러한 경우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만으로는 허혈 유무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심근 허혈 여부를 더 정확히 평가하기 위한 **'보조적 영상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 보조적 영상 검사들은 심장 근육으로의 혈류량(관류)이나 심장 근육의 움직임(벽운동)을 직접적으로 평가하여 허혈을 찾아냅니다.다음은 허혈성 심장질환 진단 시 사용되는 주요 보조적 영상 검사들입니다.1. 운동 부하.. 2025. 6. 24.
극성 훈련 (Polarized Training) 극성 훈련 (Polarized Training) 이란?극성 훈련(Polarized Training)은 지구력 스포츠 선수들 사이에서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는 훈련 방식이자, 효율적인 훈련 계획을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입니다. 이 훈련 모델은 대부분의 훈련을 저강도로 수행하고, 소수의 훈련만 고강도로 수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이름 그대로 '극성(Polarized)'이라는 것은 훈련 강도가 극과 극으로 나뉜다는 의미입니다. 즉, 중간 강도(예: Zone 3, 흔히 '템포 존'이라고 불리는 강도)의 훈련 비중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주요 구성:극성 훈련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비율로 구성됩니다.약 80% (또는 그 이상)의 저강도 훈련:이 훈련은 주로 Zone 1 또는 Zone 2 (최대 심박수의 60.. 2025. 6. 24.
회복기(운동 후) 초과산소소비량(EPOC)의 특징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보자. 운동 후 초과산소소비량(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 EPOC)은 운동을 마친 후에도 우리 몸이 안정 시보다 더 많은 양의 산소를 소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흔히 '산소 부채(Oxygen Debt)'라고도 불렸지만, 현재는 EPOC라는 용어가 더 정확하다고 여겨집니다. EPOC는 주로 '빠른 영역(Fast Component)'과 '느린 영역(Slow Component)'으로 나뉩니다.1. EPOC의 빠른 영역 (Fast Component)과 느린 영역 (Slow Component)의 특징1) 빠른 영역 (Fast Component)시간: 운동 직후부터 약 2-3분 이내에 급격하게 감소하는 산소 소비량을 보입니다.원인: 주로 운동 중 고갈된 고에너지 인산염(.. 2025. 6. 24.
젖산 역치(Lactate Threshold, LT)와 무산소성 역치(Anaerobic Threshold, AT)의 운동생리학적 차이점 3가지. 젖산 역치(Lactate Threshold, LT)와 무산소성 역치(Anaerobic Threshold, AT)는 운동 생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차이가 있습니다. 과거에는 종종 혼용되거나 동일한 개념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현대 운동 생리학에서는 각각의 특징과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합니다.다음은 젖산 역치와 무산소성 역치의 세 가지 주요 차이점입니다.1. 정의 및 발생 기전의 초점젖산 역치 (Lactate Threshold, LT): 젖산 역치는 혈중 젖산 농도가 안정 상태 이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운동 강도 또는 산소 섭취량 지점을 의미합니다. 이 시점까지는 생성되는 젖산의 양과 제거되는 젖산의 양이 거의 균형을 이루거나, 제거 속도가 더 빠르지만, 역치를 넘어서면 젖산 생.. 2025. 6. 24.
신뢰도, 객관도, 타당도 정의 및 관계 쉽게 설명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평가 도구가 갖춰야 할 중요한 조건들, 바로 '신뢰도', '객관도', 그리고 '타당도'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좋은 평가 도구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들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1. 신뢰도 (Reliability)신뢰도는 한마디로 **'측정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의미합니다. 어떤 평가 도구로 측정했을 때, 동일한 대상을 여러 번 측정하더라도 일관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몸무게를 재는 저울이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이 저울로 같은 사람의 몸무게를 여러 번 쟀을 때, 매번 2kg, 2.3kg, 2.5kg 등 제각각 다른 값이 나온다면 이 저울은 신뢰도가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 2025. 6. 24.
운동 참여전 사용할 수 있는 설문지 3가지 종류 (과거력,현재상태,미래예측) 신체 활동을 시작하거나 건강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개인의 건강 상태와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는 데 다양한 설문지가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세 가지는 PAR-Q, HRA, HHQ이며, 각각의 목적과 특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1. PAR-Q (Physical Activity Readiness Questionnaire) - 신체활동 준비 설문지목적: 운동이나 신체 활동에 참여하기 전, **즉각적인 건강 위험 요소(특히 심장 질환 및 근골격계 문제)**를 빠르게 선별하여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간단한 예비 선별 도구입니다.특징:대부분 7개 또는 8개의 "예/아니오" 형태의 질문으로 구성되어 매우 간단하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가슴 통증이 있습니까?", "어지러움으로 의식을 잃은 적이.. 2025. 6. 22.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구술 기출 답안 : 운동손상평가및재활 4문제 (a,b,c,d조) 안녕하세요! 둔근해가 떴습니다 이하나입니다정리해봤는데요, 운동손상평가 및 재활은 운동손상학 15판을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오타가 무진장 많은 바부바부 파랭이 책이지만 필기 문제를 풀려면 이 책 없이는 쌉불가능해보입니다. 구석구석에서 문제가 많이 나오더라구요. 이 파란색 손상학 책 말고 똥 색깔인 다른 책도 있는데 앞으로 그게 대세가 되지 않을까싶습니다.. 본인은 아직 구매하지 못했지만 들리는 소문과 다른 선생님의 도움으로 봤는데 그 책에서 나비큘라 드랍 테스트가 나왔다고 합니다 ㅂㄷㅂㄷ.....아래의 답변은 제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구술같은 경우 정답이 딱히 없어서 여러분만의 정답을 만들어주셔야해요. 2024년 건강운동관리사 구술 기출 문제과목 : 운동손상평가 및 재활 1. 테이핑의 목적과 방법 3가지.. 2025.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