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요약
문항: 체력 검사 도구를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 ③
📌 보기별 검토
① 옳음 ✅
- 동일한 검사도구라도 대상자에 따라 타당도(Validity) 다를 수 있음.
- 예: 고령자에게 동적 균형검사보다는 정적 균형검사가 더 타당할 수 있음.
② 옳음 ✅
- **신뢰도(Reliability)**가 높다고 해서 **타당도(Validity)**도 높다고 단정할 수 없음.
- 두 지표는 독립적이며 둘 다 고려해야 함.
- 예: 매번 정확하게 측정되더라도, 실제 능력을 반영하지 않으면 타당하지 않음.
③ 틀림 ❌ → 정답
- 절대평가기준(예: 건강기준표)이 있다고 해도, 타당도와는 직접적 연관 없음.
- 때로는 상대평가 기준만 있는 검사 도구가 더 타당할 수 있음.
- 중요한 건 대상자 특성과 평가 목적에 맞는 도구를 선택하는 것임.
④ 옳음 ✅
- 신뢰도는 낮지만 타당도가 높은 도구도 있을 수 있음.
- 하지만 실용성과 일관성을 위해 신뢰도 낮은 도구는 제외하는 것이 원칙.
- 예: 복불복처럼 측정값이 흔들리면 아무리 '내용적 타당성'이 있어도 활용하기 어려움.
📘 핵심 요약
- 타당도(Validity): 검사 목적과의 일치성
- 신뢰도(Reliability): 일관된 반복 측정 가능성
- 좋은 체력검사 도구는 → 신뢰도 + 타당도 + 실용성 + 대상자 적합성 모두 고려해야 함.
✅ 문제 요약
문항: 오래달리기/걷기 기록과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의 상관관계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했다면, 이는 어떤 타당도인가?
정답: ④ 타당도가 높다고 알려진 검사 도구 점수와의 비교를 통해 공변수(분산)의 양을 검증한다.
📌 핵심 개념 – 타당도(validity)란?
타당도는 “검사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임.
타당도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 측정 내용이 검사 목적에 잘 부합하는지
→ 예: 체력검사에 달리기, 윗몸일으키기 포함 여부 등 - 기준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 이미 타당하다고 알려진 기준검사와 얼마나 관련 있는지
→ ✅ 여기서 말하는 "VO₂max와의 상관관계"는 바로 이 기준 타당도! -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 개념적 이론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 보기별 해설
① ❌ 신뢰도 설명임
- 같은 속성을 반복 측정 → 오차변산 검토 → 측정의 일관성, 즉 신뢰도 검정 방법임.
② ❌ 내용 타당도 설명임
- 검사 내용이 실제 목적과 잘 맞는지를 평가 → 두 검사의 세부 구성 항목 비교
③ ❌ 구성 타당도나 변별 타당도에 가까움
- 능력이 다른 두 집단을 비교하여 차이 검정하는 건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방식
④ ✅ 기준 타당도 설명
- **이미 타당도가 입증된 기준 검사(VO₂max)**와의 공분산 검토 = 상관계수 분석 → 기준 타당도 평가
- 오래달리기/걷기 기록이 VO₂max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면 타당한 도구임
📘 핵심 정리
- 타당도 검증 방법 중 하나가 상관관계 분석임 (기준 타당도)
- “VO₂max”라는 기준 지표와의 관련성을 본 것이므로 정답은 ④
✅ [건강체력평가] 13번 문제 풀이
🚩문제 요약
표준점수(z-score, T-score, 백분위 등)는 원점수를 비교 가능한 형태로 바꾼 지표임.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이므로, 잘못된 설명을 찾아야 해.
🔎 보기 분석
① z점수로 변환한 값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 ✅ 정답 설명:
- z점수는 원점수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냄.
-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0으로 표준화한 값임 → 맞는 설명임.
② 정적 편포일 때 z=0과 백분위 50이 일치한다?
- ❌ 틀린 설명:
- 정적 편포(positive skew)는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임.
- 이때는 평균보다 중앙값이 작고, z=0 (평균점수)은 중앙보다 오른쪽에 위치함.
- 따라서 z=0과 백분위 50은 일치하지 않음❗
→ 정답!
③ 백분위 70 의미
- ✅ 정답 설명:
- 백분위 70은 "그 점수보다 낮은 사람이 70% 있다"는 의미. 정확함.
④ 표준점수의 기능
- ✅ 정답 설명:
- 표준점수는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사용됨.
→ 동일한 척도, 분포로 비교 가능하도록 하는 게 목적임.
- 표준점수는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사용됨.
🧠 한 줄 개념 요약
- 정규분포가 아닐 때, z=0이 반드시 중앙값(백분위 50)을 뜻하진 않음
→ 정적 편포에서는 z=0보다 작은 점수대가 백분위 50임
📌 예상문제 (고난이도 변형)
Q. 평균이 60점, 표준편차가 10점인 집단에서 한 학생의 원점수는 75점이었다. 이 학생의 z점수는 얼마인가?
① +1.5
② +2.0
③ -1.5
④ -2.0
✅ 정답: ①
📎 계산법:
이 문제, 그래프가 잘못된 것 같음. 네모 25백분위수면 하위 25퍼센트인데, 그래프에선 네모가 75백분위를 표현함 ㅡㅡ..? 세모랑 네모랑 바뀐거 아닌가??
아래 해설은 세모와 네모를 바꾸고 해설.
🔍 문제 요약
그래프에는 세 집단 A, B, C의 악력(kg) 데이터를 25백분위수(■), 평균(●), **75백분위수(▲)**로 시각화한 자료가 제시되어 있고, 극단치는 없다고 했어.
🔎 보기 검토
① 집단 C가 A와 B에 비해 악력이 우수한 집단이다.✔ 정답
- 집단 C의 평균은 47.5kg으로 A(30kg), B(40kg)보다 높고,
- 25백분위수와 75백분위수도 각각 55g, 40kg로 가장 높음.
- 전체 분포와 중심이 가장 위에 있으니, 집단 C가 가장 우수하다고 볼 수 있음.
② 악력에 있어서 집단 A가 C보다 대상자들이 더 통질적이다.✖ 오답
- 통질적이란 말은 일관되고 집중된 분포, 즉 **범위(IQR)**가 작다는 의미.
- A 집단: 75% - 25% = 45kg - 15kg = 30kg
- C 집단: 55kg - 40kg = 15kg
→ 오히려 집단 C가 더 통질적임.
③ 집단 B에 속한 약 50% 대상자의 악력이 50kg 또는 그 이상이다.✖ 오답
- 집단 B의 75백분위수는 50kg임 → 즉 상위 25%만 50kg 이상
- 50%가 50kg 이상이라는 건 과장된 표현이므로 틀림.
④ 집단 C에 속한 약 50% 대상자의 악력이 40kg 또는 그 이하이다.✖ 오답
- 집단 C의 25백분위수가 40kg → 하위 25%가 40kg 이하.
- 중위값(제시 안 됨)이 40kg 이하여야 이 말이 성립하는데, 오히려 중간 이상이 40kg 초과일 가능성이 높음.
→ 틀림.
✅ 요약
- 집단 평균이 가장 높은 것 = C
- 상하위 백분위수도 가장 높은 것 = C
→ 따라서 C는 가장 우수한 집단으로 판단 가능.
🧠 예상문제
다음 중 **'범위(IQR)가 가장 넓은 집단'**은 어디인가?
① A ② B ③ C ④ 정보 부족
✅ 정답: ① A
💡 해설: IQR = 75백분위수 - 25백분위수
- A: 45 - 15 = 30
- B: 50 - 30 = 20
- C: 55 - 40 = 15
→ 범위가 가장 넓어 통질성이 떨어짐.
📌 문제 요약
- 한국인 대상 하버드 스텝검사 적용
- 예측식에 스텝 점수, 체지방률, 키를 넣음
- 결정계수 R2=0.70R^2 = 0.70: 설명력 70%
- 유의수준 α=0.05\alpha =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보기 분석
① 스텝검사 점수와 VO₂max는 정적 관계다 → O
- 스텝 점수 계수: +0.32 → 점수 높을수록 VO₂max 증가
- ➤ 정적(양의) 관계 맞음
② 체지방률 1% 증가 → VO₂max 0.40 낮아짐 → O
- 계수: -0.40 × 체지방률
- ➤ 정확히 해석된 설명. 체지방률이 높으면 음수인 0.4과 곱해지면 최종값이 낮아지므로,
③ 스텝검사 점수, 키, 체지방률로 VO₂max의 49%를 설명한다 → X (정답)
- 공식에서 R² = 0.70 → 설명력 70%
- ➤ 49%는 아님 → 오답 보기
④ 하버드 스텝검사의 공식보다 타당도가 높다 → O
- 제시된 타당도 R² = 0.70 → 상당히 높음 (Harvard 원본(0.4~0.6)보다 향상)
- ➤ 맞는 설명
✅ 정답: ③
💡 보충 개념: 결정계수 R2R^2
- R² = 설명력 (explanatory power)
- 0.70 → 전체 VO₂max 변동 중 70%는 이 예측식으로 설명 가능, 나머지 30%는 오차나 다른 요인 때문
🧠 예상문제 (확장 문제)
다음 중 체지방률이 동일할 때 VO₂max가 가장 높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① 키 160cm, 스텝점수 50
② 키 160cm, 스텝점수 60
③ 키 170cm, 스텝점수 50
④ 키 170cm, 스텝점수 60
정답: ④
→ 키 높고 스텝 점수 높을수록 VO₂max도 높음
🔍 문제 분석
주제: **체력 검사장(fitness test battery)**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
핵심 개념: 체력 검사 항목(종목)의 타당도, 신뢰도, 상관성, 검사항목 수
✅ 보기 해설
① ❌ 잘못된 설명
체력검사 종목 간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효율적인 검사장이다?
- 오히려 상관관계는 낮을수록 좋음
- 각각 독립적인 체력요인을 측정해야 하니까 → 예: 심폐지구력 vs 근력은 다른 개념
✔ 올바른 문장:
“각 체력 요소별 종목 간 상관이 낮고 독립적일수록 타당성이 높은 검사장이다.”
② ✅ 옳은 설명 (정답)
현장용 검사는 실험실 검사보다 타당도는 낮을 수 있지만, 측정의 효율성이 높고 실용성이 뛰어나다.
- 예시: 최대산소섭취량 측정을 위한 실험실 VO₂max 검사는 정확하지만 비현실적
- 반면, 6분 걷기, 하버드 스텝검사 등은 현장성(field-approach) 좋고 간편함
③ ❌ 잘못된 설명
전체 타당도 계수 0.5로 유지?
- 체력검사장에서 타당도 계수는 높을수록 좋다
- 일부러 낮게 유지한다는 건 논리적 오류
✔ 올바른 문장:
“종목 간 타당도 분산이 있어도 전체 검사장 타당도는 높게 유지돼야 한다.”
④ ❌ 잘못된 설명
“검사항목이 적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진다”?
- 일반적으로는 검사항목이 많을수록 더 다양한 요인을 평가하게 되어
→ 신뢰도와 타당도 모두 올라간다
✔ 올바른 문장:
“종목 수가 많을수록 더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검사장이 된다.”
✅ 정답: ②
💡 예상문제
다음 중 체력검사장의 특성으로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심폐지구력과 근지구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야 한다
② 신뢰도는 측정한 종목이 많을수록 낮아진다
③ 타당도는 실험실 검사보다 현장용 검사가 항상 높다
④ 검사 종목은 각각 독립적인 체력 요소를 측정해야 한다
정답: ④
성별은 필요없긴 한데 체중이 끼여있는 보기가 ㄴ은이라 ㄴ은을 집어넣어야함. 19년 조금 이상한... 의도가 뭐지..만약에 낚시용( MET는 보편단윈데 개인의 특성을 보기에 넣었노? 티히히 틀림!)으로 넣은거라면 이해 ㅇㅇㅋㅋㅋㅋ
근데 약간 논란의 소지가 있지 않나 싶음.
✅ METs 추정의 기본 공식
METs는 에너지 소비량을 표준화한 단위로
"강도(Intensity) × 빈도(Frequency) × 시간(Duration)"
이 세 가지가 필수 요소야. 활동의 강도를 표현한 것.
즉, 아래와 같은 형태로 계산함:
🔎 보기 분석
ㄱ. 신체활동 강도
- MET 자체가 활동의 강도(Intensity) 를 수치화한 개념
- 반드시 필요함 → ✅ 포함
ㄴ. 성별과 체중
- 체중은 칼로리 소비량 계산 시 필요하지만,
METs는 상대적 강도 기준이므로 필수는 아님 - 성별은 METs 계산과 직접 무관함 → 칼로리 계산에선 체중이 필요하므로 이 보기는 애매하지만 체중이라는 요소가 있기 때문에 정답으로 넣어줘야함...
ㄷ. 신체활동 지속시간
- 몇 분 동안 활동했는지가 매우 중요함 → ✅ 포함
ㄹ. 신체활동 빈도(주 몇 회)
- 누적 활동량 계산에 필요 → ✅ 포함
ㅁ. 최대근력
- 유산소 활동량(MET)과는 무관함 → ❌ 제외
✅ 정답: ② (ㄱ, ㄴ, ㄷ, ㄹ)
✅ 정답: ④ 천정효과(ceiling effect) 증진
🔍 보기별 해설
① 현 체력상태 진단과 처방
→ 체력검사는 현재 체력 수준을 평가하고, 맞춤 운동 처방의 기초 자료로 활용됨. 적절함
② 운동참여에 대한 동기유발
→ 검사 결과를 통해 자신의 약점이나 강점을 확인하면서 운동 참여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음. 적절함
③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사전/사후 체력검사를 통해 운동 효과를 수치화 가능. 적절함
④ 천정효과(ceiling effect) 증진
→ ❌ 천정효과란? 측정 도구가 너무 쉬워서 상위권 사람들은 차이를 구별할 수 없는 상태
→ 체력검사는 개인별 민감한 차이를 잘 포착하는 도구여야 함.
→ 천정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은 검사도구로서 부적절함.
→ 따라서 체력검사의 목적과는 맞지 않음.
🧠 한줄 요약
체력검사는 민감한 구분과 운동 처방/동기 유발을 위한 도구임.
천정효과를 늘리는 것은 검사도구로서 구분 능력을 떨어뜨리는 잘못된 방향임.
🧩 예상문제
Q. 다음 중 천정효과(ceiling effect)의 예시로 적절한 것은?
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난이도 높은 체력 테스트
② 고령자를 위한 낙상위험 테스트에서 바닥효과 발생
③ 엘리트 운동선수에게 너무 쉬운 근지구력 평가
④ 체력검사에서 피검자의 성별을 고려한 상대평가 방식
정답: ③
(엘리트 선수에게 쉬운 평가는 상한선 도달 → 점수 구별 못함 → 천정효과)
tmi for meeee 천정효과와 바닥효과
✅ [천정효과 (Ceiling Effect)]
🔎 정의
검사 도구가 너무 쉬워서 피검자들이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버리는 현상.
→ 점수 상한선에 몰림 → 개인 간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움
📌 예시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유아용 덧셈 문제 테스트
- 엘리트 운동선수에게 체력기초검사(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실시 → 거의 전원이 만점
- 건강한 성인에게 노인용 일상활동 설문지를 적용 → 다들 “아주 쉬움”으로 응답함
⚠️ 문제점
- 검사가 누구에게나 너무 쉬움
- 상위 그룹을 변별할 수 없음
- 운동 향상 효과나 교육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어려움
✅ [바닥효과 (Floor Effect)]
🔎 정의
검사 도구가 너무 어려워서 대부분의 피검자들이 낮은 점수를 받는 현상
→ 점수 하한선에 몰림 → 역시 개인 간 차이 구별 어려움
📌 예시
- 초등학생에게 고등학교 수학 시험지를 주면 거의 다 틀림
- 심폐기능이 낮은 노인에게 고강도 트레드밀 부하검사
- 운동 초보자에게 1RM 측정을 시도할 때
⚠️ 문제점
- 능력 부족으로 인해 변별 불가
- 검사에 위축감, 부정적 피드백 유발
- 운동 동기 저하
🎯 한 줄 정리
구분 | 정의 | 예시 | 문제점 |
천정효과 | 검사 점수가 너무 높게 몰림 | 엘리트 선수의 쉬운 체력검사 | 상위 구별 불가, 변화 감지 어려움 |
바닥효과 | 검사 점수가 너무 낮게 몰림 | 노인의 고강도 운동검사 | 하위 구별 불가, 위축 유발 |
✅ 예상문제 예시
Q. 다음 중 바닥효과의 예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고령자에게 초등학생용 신체활동 설문지 제공
② 체력 좋은 운동선수에게 노인용 낙상위험 검사
③ 운동 초보자에게 1RM 측정 시 시도조차 못함
④ 초등학생에게 3학년 체력평가를 제공함
정답: ③
(운동 초보자에게 너무 어려운 평가를 제공한 상황 → 바닥효과 발생)
✅ [문제 해설]
체력 측정의 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측정 결과에 부정확한 왜곡을 만드는 것들이야.
즉, 의도하지 않은 오류나 불일치를 발생시키는 요소를 말해.
✔ 보기별 검토
① 측정 대상자의 체력 증진
→ ❌ 틀림
→ 체력 향상은 실제 변화지, 오차가 아님.
→ 체력검사 후 훈련으로 성능이 향상된 것이라면, 이는 오차가 아닌 정상적인 변화(진행)
② 측정 대상자의 피로도
→ ✅ 맞음
→ 피로한 상태에서 검사하면 실제보다 낮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음 → 측정 오차 원인
③ 측정 도구(기기)의 정확도
→ ✅ 맞음
→ 기기의 정확도가 떨어지면 측정값이 왜곡되거나 일관되지 않음 → 오차 발생
④ 대상자별로 적용되는 측정 절차의 차이(다양성)
→ ✅ 맞음
→ 측정 조건이 표준화되지 않으면 결과에 차이가 생김 → 오차 유발 가능성
🔍 정리 포인트
- ✔ 오차 요인 = 측정 결과를 부정확하게 만드는 요인
- ❌ 체력 증진은 오차가 아니라 실제 변화
- ✔ 피로, 기기 오류, 절차의 불일치 등은 오차 유발 가능
✅ 예상문제 한 개 더!
Q. 다음 중 체력검사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검사자의 격려에 따라 반복 횟수를 유동적으로 조절한다
② 측정 시간, 장소, 기기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③ 대상자가 피로하지 않도록 검사를 오후 늦게 실시한다
④ 결과에 따라 검사의 난이도를 조절한다
정답: ②
→ 오차 줄이기 위한 핵심은 표준화와 일관성이야.
✅ [문제 해설]
이 문제는 일반적인 체력검사의 실시 기준 중 **타당도(validity)**를 확보하기 위한 조건들을 묻는 문항이야.
✔ 보기별 해설
① 모든 대상자들이 표준적인 절차를 따라 측정되도록 한다
→ ✅ 맞음.
→ 표준화는 타당도, 신뢰도 확보의 핵심임. 검사 환경, 방법, 도구, 순서를 통일해야 해.
② 근력·근지구력은 5분 간격으로 2회 측정하여 나중에 측정한 수치를 기록한다
→ ❌ 틀림
→ 일반적으로는 2~3회 측정 후 최고값을 기록함.
→ 특히 근력 검사에서는 첫 시도보다 다음 시도가 더 높게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해야 함.
→ 마지막 측정값만 기록하는 건 오차 가능성 높고, 신뢰도 떨어짐.
③ 직전에 실시한 검사로부터 생긴 피로감이 완전히 회복된 후 실시하도록 한다
→ ✅ 맞음.
→ 검사 간 휴식은 신체 회복을 위한 핵심 절차. 피로 상태에서 측정하면 정확도 저하됨.
④ 측정자들이 많을 경우 측정 절차의 일관성을 위해 교육/협의하는 시간을 갖는다
→ ✅ 맞음.
→ 측정자 간 측정법 차이로 인한 오류 방지를 위해 교육과 협의는 매우 중요함.
🔎 정리 포인트
- 근력/근지구력 검사는 최고값 기록이 원칙!
- 체력검사 전후는 반드시 표준화, 충분한 휴식, 측정자 간 협의 필요
- 오차를 줄이는 구조 = 타당도 + 신뢰도 + 객관도
💡 예상문제 보너스
Q. 다음 중 체력검사에서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일한 측정자가 반복적으로 측정한다
② 피로가 누적된 상태에서 측정한다
③ 동일한 시간과 환경에서 측정한다
④ 측정 도구를 점검하고 교정한다
정답: ② (피로 상태는 오차 유발)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 💯19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23 |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5.23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5.22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5.22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21 |
2019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3) | 2025.05.21 |
2019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5.18 |
2019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2) | 2025.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