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19년도 기출문제풀이

2019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5. 23.
반응형


🔍 [건강체력평가] 1번 문제

**"동일한 체력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각 보기별 분석

① 하버드 스텝검사, 2.4km 달리기, 6분 걷기
→ ✅ 모두 **심폐지구력(cardiorespiratory endurance)**을 평가하는 방법임.

② 피부두겹법, 인체둘레측정, 수중체중법
→ ✅ 모두 **체지방률(body composition)**을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

③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외발서기, 사이드 스텝
→ ❌ 서로 다른 체력요인을 측정함.

  • 앉아 굽히기 → 유연성
  • 외발서기 → 균형(balance)
  • 사이드 스텝 → 민첩성(agility)
    → 따라서 "동일한 체력요인"이 아님. 정답

④ YMCA 벤치 프레스 검사,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 ✅ 모두 **근지구력(muscular endurance)**을 평가하는 검사


✅ 정답: ③번


🧠 핵심 정리: 체력요인별 대표 측정법

  • 심폐지구력: 2.4km 달리기, 스텝 테스트, 6분 보행
  • 근지구력: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벤치 프레스 반복
  • 근력: 1RM 측정
  •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 균형: 외발서기
  • 민첩성: 사이드 스텝 테스트

 

🔍 [건강체력평가] 2번 문제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의한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 각 보기 분석

정답

  • 규칙적 운동은 혈관 탄성 증가 → 혈압 감소 효과 있음
  • 안정 시 수축기/이완기 혈압 모두 감소 → ✅ 맞는 설명

정답

  • 고밀도지단백(HDL)은 좋은 콜레스테롤
  • 운동은 HDL 증가, 중성지방 감소에 도움 → ✅ 맞는 설명

정답

  • 운동은 혈액 내 응고인자 활성 감소섬유소 용해 활성 증가
  • 운동 후 혈전 생성 시 위험 낮아짐 → ✅ 맞는 설명

오답

  • 절대적 최대 운동강도에서는 심근산소소비량(MVO₂)은 이미 최고치
  • 운동 적응에 따라 최대치에서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
  • 운동으로 증가하는 건 아급성 또는 아급성 운동강도에서의 효율성과 심폐기능, **최대 산소섭취량(VO₂max)**임
    → ❌ 틀린 설명

✅ 정답: ④번


🧠 핵심 요약

  • 운동이 심혈관계 건강, 혈중 지질, 혈압, 혈액 응고에 긍정적 영향
  • 하지만 절대 최대 운동강도에서의 심근산소소비량은 증가하지 않음

🔍 [건강체력평가] 3번 문제

각 현장검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보기 분석

12분 달리기 검사는 주어진 시간 내 최대한 먼 거리를 달리는 것
→ 이는 코퍼(Cooper) 테스트로, 거리를 측정하는 시간 기반의 최대하 테스트임
→ ✅ 맞는 설명

락포트(Rockport) 1마일 걷기 검사에서

"회복기 3분간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 ❌ 틀린 설명
→ Rockport는 1마일 걷기 후 즉시 측정된 심박수를 기준으로 계산함.
회복기 심박수는 사용되지 않음.

2.4km 달리기 테스트는 최소 시간 내 완료하는 것이 목표
→ ✅ 맞는 설명 (이것도 최대하 테스트에 해당)

6분 걷기 테스트는 울혈성 심부전, 폐질환 환자의 하위운동능력 평가용
→ ✅ 맞는 설명. 병원성 환자 대상의 아급성 유산소능력 측정용.


✅ 정답: ②번


🧠 핵심 요약

  • 락포트 1마일 걷기 테스트:
    운동 직후 심박수 사용
    → 체중, 성별, 나이, 걷기 시간 등과 함께 VO₂max 추정 공식에 입력
  • 6분 걷기 테스트:
    → 저체력군, 고위험군 대상
    거리를 측정

 

이 문제는 운동 중 순에너지 소비량(Net energy expenditure)을 계산하는 문제야. 주어진 조건을 활용해서 단계별로 풀이해볼게.


✅ 문제 요약

  • 체중: 60kg
  • 운동 빈도: 주당 4회
  • 운동 시간: 회당 30분
  • 총 METs: 8 METs
  • 순 METs: 7 METs
  • 산소 1L당 5kcal 사용
  • 1 MET = 3.5 mL/kg/min

✅ 풀이 순서

  1. 1분당 산소소비량 (Net Oxygen Consumption) 1 MET=3.5 mL/kg/min⇒7 METs=24.5 mL/kg/min
  2. 1분당 총 산소 소비량 (L/min) 24.5×60 kg=1470 mL/min=1.47 L/min
  3. 1회 운동의 총 산소 소비량 (L)1.47 L/min×30 min=44.1 L
  4. 1회 운동의 에너지 소비량 (kcal)44.1 L×5 kcal/L=220.5 kcal
  5. 주당 에너지 소비량 (kcal/week)220.5×4=882 kcal/week

✅ 정답: ③ 882 kcal/주

 

이 문제는 **노인체력검사(Senior Fitness Test; SFT)**에 포함되는 요인과 항목을 바르게 짝지으라는 문제야.


✅ 정답은 ① ㄱ, ㄷ, ㅁ

그 이유는 아래와 같아.


✅ SFT(노인체력검사)의 6가지 항목

평가 요인측정 항목
평가 요인 측정 항목
상지 근력 30초 덤벨 팔굽혀펴기(arm curl)
하지 근력 30초 의자앉았다 일어서기(chair stand)
상지 유연성 등뒤 손 맞대기(back scratch)
하지 유연성 의자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sit & reach)
심폐지구력 2분 제자리 걷기 또는 6분 걷기
이동성 & 민첩성 2.4m 일어서서 돌아오기(up and go)
 

✅ 보기 분석

  • ㄱ (chair sit and reach) → 하지 유연성 → ✅ 포함
  • ㄴ (1 mile run) → 고강도 심폐지구력 검사 → ❌ 포함 ❌
  • ㄷ (30초 chair stand) → 하지 근력 → ✅ 포함
  • ㄹ (런지) → 노인체력검사 항목 아님 → ❌
  • ㅁ (2.4m up and go) → 이동성 및 민첩성 → ✅ 포함

🔎 결론

  • 정답: ① ㄱ, ㄷ, ㅁ
  • ㄴ, ㄹ은 SFT에 해당하지 않음.
    특히 1마일 달리기나 런지 테스트는 고령자낙상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겐 적절하지 않음.

준비운동-초기설정-증량 전략-기록 순 정답 2번

✅ [건강체력평가] 6번 문제

문제 요약
ACSM에서 제시한 1RM 측정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정답: ②번 (ㄱ → ㄷ → ㄴ → ㄹ)


🔍 각 보기 분석 (ACSM's Guidelines, 11판 기준)

  • ㄱ. 준비운동 실시
    → "가벼운 중량으로 준비운동을 먼저 수행"
    ✔ 첫 단계로 적절함
  • ㄷ. 초기 중량 설정
    → "피검자의 인지된 능력 50~70%로 첫 중량 설정"
    ✔ 준비운동 후 적절한 초기부하 결정
  • ㄴ. 점진적 증량
    → "상체 510%, 하체 1020%씩 증량"
    ✔ 실제 측정 중간 단계
  • ㄹ. 마지막 성공 중량 기록
    → "마지막 성공한 무게를 1RM으로 기록"
    ✔ 최종 측정결과 기록

✅ [건강체력평가] 7번 문제

문제 요약
아네로이드식 혈압계 사용 시 혈압 측정 절차를 올바른 순서로 배열하라.


📌 정답: ②번 (ㄱ → ㄷ → ㄴ → ㄹ)


🔍 각 보기 설명

  • ㄱ.
    → "첫 번째 코로트코프음보다 20mmHg 정도 높을 때까지 빠르게 커프압력을 높인다."
    ✔ 초기 기준점 설정 (ACSM은 일반적으로 70~80mmHg 이상을 권장, 단 여기선 '첫 소리보다 +20mmHg')
  • ㄷ.
    → "초당 2~3mmHg 비율로 압력을 천천히 푼다."
    ✔ 정확한 측정을 위해 천천히 커프 압력 해제
  • ㄴ.
    → "수축기혈압은 첫 번째 코로트코프음이 들릴 때로 기록한다."
    1 Korotkoff sound = Systolic BP
  • ㄹ.
    → "이완기혈압은 코로트코프음이 사라지기 전의 시점으로 기록한다."
    5 Korotkoff sound = Diastolic BP

🧠 정리 순서 (ACSM 11판 기준)

① 빠르게 커프 압력 올리기
② 천천히 압력 내리기 (2~3mmHg/sec)
③ 첫 소리 = 수축기혈압 기록
④ 소리 사라질 때 = 이완기혈압 기록

✅ [건강체력평가] 8번 문제

문제 요약
NCEP-ATP III 기준에 따라 대사증후군 판단 시 활용되는 각 항목의 수치를 정확히 고르시오.


📌 정답: ④번 (ⓝ 102 / ㄴ 150 / ㄷ 50 / ㄹ 100)


🔍 각 항목 기준값 정리

항목기준 수치기준 설명
항목 기준 수치 기준 설명
ㄱ 허리둘레 남자 > 102cm, 여자 > 88cm 내장지방 과다를 나타내는 복부비만 기준
ㄴ 중성지방(TG) 150 mg/dL 고지혈증 기준
ㄷ HDL 콜레스테롤 남자 < 40 mg/dL, 여자 < 50 mg/dL 낮을수록 위험 증가
ㄹ 공복혈당 100 mg/dL 공복혈당장애 기준 (IFG)
*대한의학회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은 허리둘레 남 90, 여자 85

✅ 이 4가지 중 3개 이상 해당되면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진단 기준 충족.

📌 [건강체력평가] 9번 문제 해설

문제 유형: 추정식 기반 최대산소섭취량 계산의 전제 조건
핵심 키워드: 심박수 기반 예측식, 운동부하검사, HR-VO₂ 관계


✅ 보기별 검토

"최대심박수의 실측값과 예측값의 차이는 매우 작아야 한다."
→ ✔ 맞는 설명. 예측 정확도를 높이려면 HRmax 오차가 작아야 함.
→ 예: (220-age) 방식은 개개인에 따라 ±10bpm 이상 오차 가능성 있음.

"심박수와 운동량의 변화는 선형적인 관계를 갖는다."
→ ✔ 맞음. 특히 50~90% VO₂max 구간에서 HR과 VO₂는 거의 선형.

"심박수 변화를 유발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 틀림. 영향을 미침!
→ 예: **β-차단제(베타차단제, beta-blocker)**는 HR 반응을 둔화시킴 → VO₂ 추정이 부정확
→ 그래서 이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은 HR 기반 VO₂max 예측에 부적절함.

"정해진 운동량에 대한 기계적 효율은 모든 대상자들이 동일해야 한다."
→ ✔ 맞음. 자전거 페달링 등 표준화된 운동에서는 기계적 효율을 일정하다고 가정.


🔍 핵심 개념 요약

  • HR 기반 VO₂max 예측의 전제 조건:
    1. HR-VO₂ 선형 관계
    2. HRmax 예측 정확성
    3. 기계적 효율 동일성
    4. 약물 복용 NO!

 

정답 2번

📌 각 보기 검토

ㄱ. 단축성·신장성 수축 모두 측정 가능하다 → ⭕ 옳음

  • 등속성 운동장비는 농축성(concentric), 신장성(eccentric) 수축 모두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함.

ㄴ. 각속도에 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 ⭕ 옳음

  • 등속성 검사에서는 운동강도(토크)는 각속도 변화에 따라 달라짐.
  • 빠를수록 파워/속도 측정, 느릴수록 최대 근력 측정 가능.

ㄷ. 검사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 ❌ 틀림

  • 오히려 검사 준비와 장비 설정 시간이 오래 걸림.
  • 등장성 또는 간단한 기능검사에 비해 검사시간이 짧다고 보기 어려움.

 

ㄹ. 전체 관절가동범위 내에서 최대 근수축 가능 → ⭕ 옳음

  • 등속성 장비는 관절 가동범위 전 구간에서 일정한 속도로 근수축 측정 가능.
  • 이는 재활과 기능적 근력 평가에 유리함.

ㅁ. 근손상의 위험이 높다 → ❌ 틀림

  • 등속성 검사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므로, 비정상적인 부하가 줄어들고 부상의 위험이 낮음.
  • 특히 고령자나 재활 환자에게 안정적인 선택.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가미된 해설인 부분도 있습니다.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것은 AI가 추론한 것이고, 교재의 문장 재해석은 공식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검토와 풀이 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