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점
- 책을 읽다가 모르는 문장이나 내용이 나온다면 무슨 뜻인지 꼭 그 시간에 이해하고 싶어함
- 그러다가 개념 찾다가 그 개념의 또 다른 내용에 호기심과 질문이 생겨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또 찾음
- 어느새 원래 읽던 책 내용이 아니라 나는 나의 호기심만 갈구하다가 하루가 끝남.
깊은 학습을 선호하는 사람이 회독을 해야할 때 너무 많은 호기심을 어떻게 감당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해본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핵심적인 내용만 담은 파생개념에 대한 것을 찾는 것이 학습자의 몫이 되어버려서 공부하다가 길을 잃기 쉽상이다. 하지만 나의 목표는 책을 회독하는 것 ! 깊이 있는 학습이 좋지만 회독이 좀 더 머리에 오래 남기 때문에 회독을 해야한다.
나의 호기심과 해야하는 회독은 균형을 찾아야 한다.
📌 해결책: 호기심과 회독의 균형 유지하는 법
1️⃣ 회독을 우선하고, 파생 개념은 따로 정리한다 ✍
- 책을 읽다가 이해 안 되는 문장은 질문해도 된다! 근데 거기서 또 다른 개념이 궁금해진다면? 메모해놓고 넘어간다
- 목표는 해당 파트를 끝내는 거니까, 한 문장에서 계속 머물지 말고 흐름을 유지하는 게 핵심이다
2️⃣ "호기심 탐구 시간"을 따로 만든다 🕒
- 하루 공부 시간 중 20 ~ 30분 정도를 "호기심 탐구 시간"으로 정해라
- 그러면 책 읽는 흐름도 안 끊기고, 궁금한 것도 나중에 해결할 수 있다
- 즉, 책 읽기 = 회독 시간, 호기심 탐구 = 따로 공부하는 시간 으로 분리하는 거다
3️⃣ 핵심 내용 위주로 읽고, 회독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해한다 🔄
- 한 번에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하면 회독이 불가능해진다
- 첫 번째 회독에서는 책의 전체적인 흐름과 구조를 파악하고, 두 번째 이후에 세부 내용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
- "지금 완벽히 이해해야 한다"가 아니라, "이번에는 큰 그림을 보고, 다음에 디테일을 채운다" 이런 식으로 접근하는 게 좋다
4️⃣ 질문 개수를 제한하여 학습 흐름을 유지한다 ⚖
- 한 챕터당 질문 개수를 3개로 제한해라! 📌
- 너무 많은 질문을 하면 흐름이 끊어져서 책을 끝까지 읽기 어려워진다
- 진짜 중요한 질문만 남기고, 나머지는 메모해서 나중에 학습하면 된다
📌 정리: 회독과 호기심 둘 다 잡는 법
✅ 책 읽는 동안에는 학습 흐름 유지! 파생 개념은 메모만 하고 넘어간다
✅ "호기심 탐구 시간"을 따로 정해서 추가 공부한다
✅ 첫 번째 회독은 개괄적인 이해, 이후 회독에서 심화한다
✅ 질문 개수 제한해서 너무 깊게 빠지는 걸 막는다
이렇게 하면 책을 회독하는 목표도 이루면서, 공부의 깊이도 챙길 수 있다!!!!!!
정신차려!!!!!!!!!! 난 시간만수르가 아니라구!!

반응형
'🟣InfoMemo🟣 >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산화제를 안사먹어도 되는 이유.txt (0) | 2024.12.15 |
---|---|
셀프 허쉬컷 자르는 법 (0) | 2024.09.12 |
밀프렙 레서피 (3) | 2023.09.25 |
제멜 바이스 반사 유래........jpg (0) | 2022.06.16 |
하루에 얼마 만큼의 물을 마셔야 할까?(체중별 섭취 권장량) (0) | 2022.06.15 |
Nvidia 지포스 RTX 4070 성능 비교표 최초 공개....jpg (0) | 2022.05.29 |
[글씨연습] 글씨연습한글,pdf파일/악필교정/손글씨연습시트 다운 (23) | 2022.01.30 |
[검량사] 배수량 등곡선도의 활용 (0) | 2022.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