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는 스포츠심리학의 "주의(attention)" 개념과 관련된 문제임.
문제에서 제시된 세 가지 구분 기준을 보면, 모두 "주의(attention)"의 하위 구분 개념과 일치함.
📌 선지 분석:
1️⃣ 명상 (Meditation) → 특정한 정신적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 (관련 없음)
2️⃣ 루틴 (Routine) → 경기 전/중 수행하는 반복적인 절차 (관련 없음)
3️⃣ 심상 (Imagery) → 머릿속에서 동작을 시각적으로 떠올리는 과정 (관련 없음)
4️⃣ 주의 (Attention) → 방향, 범위, 처리과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조절 가능 → 정답!
🔎 풀이 과정
⏹ 1. 방향에 따른 분류: 내적 주의 / 외적 주의
- 내적 주의(internal attention): 자신의 생각, 감각, 느낌에 집중하는 주의 방식
- 예: 경기 중 자신의 근육 감각이나 동작을 의식하는 경우
- 외적 주의(external attention): 외부 환경, 대상, 목표물에 집중하는 방식
- 예: 축구 선수가 공의 움직임이나 상대 선수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경우
⏹ 2. 범위에 따른 분류: 협역 주의 / 광역 주의
- 협역 주의(narrow attention): 제한된 정보에 집중하는 방식
- 예: 골키퍼가 공을 차는 상대 선수의 발을 집중해서 보는 경우
- 광역 주의(broad attention): 넓은 범위의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
- 예: 농구 선수가 경기장에서 여러 선수의 움직임을 동시에 파악하는 경우
⏹ 3. 처리 과정에 따른 분류: 통제적 주의 / 자동적 주의
- 통제적 주의(controlled attention):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으로, 인지 자원이 많이 소모됨
- 예: 초보 선수가 기술을 배울 때 동작을 하나하나 의식하는 경우
- 자동적 주의(automatic attention): 훈련과 경험을 통해 자동으로 주의가 배분되는 과정
- 예: 숙련된 선수가 무의식적으로 적절한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
💡 따라서,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는 ④ 주의(attention)
📌 정리 (한 줄 요약)
👉 "주의(attention)"는 방향(내적/외적), 범위(협역/광역), 처리 과정(통제적/자동적)에 따라 구분됨.
👉 이 개념은 운동학습 및 경기 중 정보 처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 정답: ④ 주의
📌 2️⃣ 관련 개념 정리 (출제자의 의도 반영 버전)
📌 주의(attention)의 세 가지 주요 차원
주의의 방향 (Direction) | 주의가 내부(내적) 또는 외부(외적)로 향하는 정도 | 내적 주의 → 자기 몸 상태(호흡, 근육 긴장도) 집중 / 외적 주의 → 공, 상대 선수 움직임 집중 |
주의의 범위 (Width) | 주의가 좁은 범위(협역) 또는 넓은 범위(광역)로 확장되는 정도 | 협역 주의 → 농구에서 자유투 집중 / 광역 주의 → 축구 경기장에서 여러 선수 위치 확인 |
주의의 처리 과정 (Processing Style) | 주의가 통제적으로 작용하는지(통제적) 또는 자동적으로 작용하는지(자동적) | 통제적 주의 → 초보자가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집중 / 자동적 주의 → 숙련된 운동선수가 익숙한 동작을 할 때 |
🔮 3️⃣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스포츠심리학에서 주의의 방향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정답: 내적 주의(internal), 외적 주의(external)
2️⃣ 주의의 범위(Width)에서 협역과 광역 주의의 예시는?
- 정답: 협역 → 골프 퍼팅 / 광역 → 축구 경기 중 전체 선수 움직임 파악
3️⃣ 처리과정(Processing Style)에서 통제적 주의와 자동적 주의의 차이점은?
- 정답: 통제적 주의 → 의식적으로 신경을 많이 써야 함 / 자동적 주의 → 익숙한 기술을 수행할 때 자연스럽게 작동함

✅ 카타스트로피 이론(Catastrophe Theory) - 문제 풀이 (3단콤보 적용!)
🔍 1️⃣ 문제 풀이 과정
📌 카타스트로피 이론의 핵심 개념
✔ 운동 수행력은 단순히 각성 수준과 비례하지 않으며, 인지 불안과 생리적 각성이 상호작용함
✔ 특정 임계점(threshold)을 넘어서면 수행력이 급격히 하락하며, 쉽게 회복되지 않음
✅ ① 생리적 각성과 인지 불안의 상호작용을 고려한다. → O (옳은 설명)
✔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생리적 각성과 인지 불안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이론
✔ 즉, 인지 불안(mental anxiety)이 높을수록 생리적 각성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침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② 인지 불안이 낮을 때 생리적 각성과 운동 수행력은 선형(linear)관계를 형성한다. → X (틀린 설명, 정답!)
✔ 카타스트로피 이론에서는 생리적 각성이 증가한다고 해서 반드시 수행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아님!
✔ 특히, 인지 불안이 낮더라도, 각성이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수행력은 감소할 수 있음.
✔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비선형적인(Non-linear) 변화를 설명하는 모델이므로, 선형(linear) 관계를 형성한다고 한 부분이 틀림.
✔ 따라서 정답은 ②번!
✅ ③ 인지 불안이 높을 때 생리적 각성이 특정 수준을 초과하면 운동 수행력은 급격히 떨어진다. → O (옳은 설명)
✔ 카타스트로피 이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
✔ 생리적 각성이 너무 높아지면 급격한 수행 저하(collapse)가 발생함!
✔ 특히 인지 불안이 높을 때, 각성이 일정 임계점을 넘으면 수행력은 완전히 무너짐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④ 생리적 각성이 감소하더라도 급격히 떨어진 운동 수행력은 신속하게 회복되기 어렵다. → O (옳은 설명)
✔ 일반적인 각성이론(예: 역U이론)과 다르게, 카타스트로피 이론에서는 한 번 급격히 하락한 수행력이 쉽게 회복되지 않음!
✔ 즉, 단순히 각성을 낮춘다고 해서 바로 원래 수준으로 돌아오지 않음.
✔ 회복을 위해선 점진적인 조절과 심리적 개입이 필요함.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2️⃣ 최종 정답: ② (틀린 문장)
📌 3️⃣ 관련 개념 정리 (출제자의 의도 반영 버전)
📌 카타스트로피 이론(Catastrophe Theory)의 주요 개념
개념 | 설명 | 예시 |
생리적 각성(Physiological Arousal) | 심박수 증가, 근육 긴장 등 신체적 흥분 상태 | 경기 전 심박수 증가, 손에 땀남 |
인지 불안(Cognitive Anxiety) | 불안감, 걱정 등의 심리적 상태 | "실수하면 안 돼!" 같은 걱정 |
급격한 붕괴(Catastrophic Drop-off) | 일정 임계점을 넘으면 수행력이 갑자기 무너짐 | 골키퍼가 과도한 긴장으로 손을 제대로 못 쓰는 경우 |
비선형 관계(Non-linear Relationship) | 각성이 증가하면 수행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지 않음 | 집중력이 유지되다가 갑자기 무너지는 경우 |
📌 카타스트로피 이론의 핵심:
✔ 인지 불안과 생리적 각성이 함께 작용하여 수행에 영향을 미침
✔ 각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수행이 급격히 무너짐 (급격한 붕괴 현상)
✔ 한 번 떨어진 수행력은 쉽게 회복되지 않음
🔮 4️⃣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카타스트로피 이론에서 생리적 각성과 운동 수행력의 관계는?
- 정답: 선형적인 관계가 아니라 비선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2️⃣ 카타스트로피 이론에서 급격한 수행 저하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 정답: 인지 불안이 높은 상태에서 생리적 각성이 임계점을 초과했을 때.
3️⃣ 카타스트로피 이론과 역U이론의 차이점은?
- 정답: 역U이론에서는 각성이 감소하면 수행력이 다시 회복되지만, 카타스트로피 이론에서는 급격히 무너진 수행력이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 수행목표(Performance Goals) - 문제 풀이 (3단콤보 적용!)
🔍 1️⃣ 문제 풀이 과정
📌 수행목표(Performance Goals)의 핵심 개념
✔ 자신의 수행 향상에 초점을 맞춘 목표
✔ 결과(Outcome)보다는 기술이나 능력의 향상에 집중함
✔ 스스로 통제 가능한 목표이며, 과정 중심적
📌 반대로 결과목표(Outcome Goals)는 경기 성적, 메달 획득 등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는 목표
❌ ① ㄱ. 전국체전에서 8강에 진출한다. → X (결과목표, 오답)
✔ 결과목표(Outcome Goal)에 해당됨!
✔ 자신의 노력만으로 달성하기 어렵고, 상대 선수, 경기 환경 등의 영향을 받음
✔ 즉, 자신의 수행 향상보다 '경기 결과' 자체를 목표로 삼음 → 수행목표가 아님!
✅ 수정된 문장 (수행목표로 변경):
"전국체전 경기에서 서브 성공률을 10% 향상시킨다."
✅ ② ㄴ. 자유투 성공률을 60%로 높인다. → O (수행목표, 정답!)
✔ 자신의 기술 향상에 초점을 맞춘 목표 → 수행목표에 해당
✔ 다른 선수나 경기 결과와 무관하며, 스스로 조절 가능한 목표
✔ 즉, 자유투 성공률은 개인의 연습과 수행 향상으로 개선 가능!
❌ ③ ㄷ. 테니스 서브 시 팔꿈치를 펴서 스윙한다. → X (과정목표, 오답)
✔ 과정목표(Process Goal)에 해당됨
✔ 수행목표는 기술적인 향상을 목표로 하지만, 과정목표는 특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데 집중
✔ 즉, ‘팔꿈치를 펴서 스윙하는 것’은 기술 연습의 한 부분이지, 구체적인 수행 향상의 목표는 아님!
✅ 수정된 문장 (수행목표로 변경):
"테니스 서브 속도를 10% 증가시킨다."
✅ ④ ㄹ. 벤치 프레스를 80kg에서 100kg으로 증가한다. → O (수행목표, 정답!)
✔ 자신의 힘과 근력 향상에 초점을 둔 목표 → 수행목표에 해당
✔ 경쟁 상대나 경기 결과와 무관하며, 스스로 달성 가능한 목표
✔ 즉, 80kg → 100kg으로 증가하는 것은 명확한 수행 향상 목표임!
📌 2️⃣ 최종 정답: ③ (ㄴ, ㄹ)
📌 3️⃣ 관련 개념 정리 (출제자의 의도 반영 버전)
📌 목표 유형별 특징
결과목표 (Outcome Goal) | 경기 결과나 성적을 목표로 함 | "전국체전 8강 진출" |
수행목표 (Performance Goal) | 자신의 수행 향상을 목표로 함 | "자유투 성공률 60% 달성" |
과정목표 (Process Goal) | 특정 동작이나 기술 습득에 초점 | "테니스 서브 시 팔꿈치를 펴서 스윙" |
📌 핵심 정리:
✔ 수행목표 → 개인의 기술 향상에 집중!
✔ 결과목표 → 경기 성적에 집중!
✔ 과정목표 → 기술 연습 과정에 집중!
🔮 4️⃣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다음 중 수행목표(Performance Goal)에 해당하는 것은?
- 정답: "벤치 프레스 최대 중량을 100kg으로 증가시킨다."
2️⃣ 결과목표(Outcome Goal)와 수행목표(Performance Goal)의 차이점은?
- 정답: 결과목표는 경기 성적을 중시하며, 수행목표는 개인의 기술 향상에 초점을 둔다.
3️⃣ 과정목표(Process Goal)의 예시는?
- 정답: "테니스 서브 시 팔꿈치를 펴서 스윙하는 연습을 한다."

✅ 인지평가이론 (Cognitive Evaluation Theory) - 문제 풀이 (최종 정리)
🔍 1️⃣ 문제 풀이 과정
📌 문제 핵심:
- Deci & Ryan(1985)의 인지평가이론(CET)을 적용하여 현수의 사례를 해석하는 것.
- 인지평가이론의 핵심 개념: 외적 보상이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 현수가 체력인증 1등급을 받고 ‘운동에 소질이 있다’고 느낌 → 이는 긍정적 정보로 해석한 것!
❌ ① 현수는 1등급을 부정적 정보로 해석하였다. → X (오답)
✔ 현수는 체력인증 1등급을 **‘운동에 소질이 있다’**는 긍정적 반응으로 받아들임.
✔ 만약 부정적으로 해석했다면 **‘나는 운동을 잘 못하네’**라고 생각했을 것.
✔ 따라서 오답!
✅ ② 현수는 1등급을 긍정적 정보로 해석하였다. → O (정답!)
✔ 긍정적 정보 해석(Positive Interpretation)이란?
- 자신의 성취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수행 능력에 대한 신념을 강화하는 과정
✔ 현수는 체력 1등급을 받고 ‘운동에 소질이 있다’고 느낌 → 이는 긍정적 정보 해석!
✔ 출제자는 ‘긍정적 정보 해석’에 초점을 두었으므로, 정답은 ②번!
❌ ③ 현수는 1등급을 외적 통제 요소로 해석하였다. → X (오답)
✔ 외적 통제 요소(Extrinsic Control Factor)란?
- 보상이 외부 요인(상, 돈, 메달)으로 인해 조절되는 경우
- 즉, 운동을 "1등급 받기 위해" 했을 경우 해당됨
✔ 하지만, 현수는 **체력 인증 후 ‘운동에 소질이 있다’**고 느꼈음 → 이는 내적 동기 증가와 관련!
✔ 따라서 오답!
❌ ④ 현수는 1등급을 내적 통제 요소로 해석하였다. → X (오답)
✔ 내적 통제 요소(Intrinsic Control Factor)란?
- 외적 보상을 내적으로 해석하여 내적 동기가 증가하는 경우
- 즉, "1등급을 받았더니 운동 자체가 더 좋아졌다!" 같은 반응
✔ 하지만, 현수는 단순히 **‘운동에 소질이 있다’**고 느꼈을 뿐, 내적 동기가 증가했다는 명확한 증거 없음.
✔ 출제자의 의도는 **‘보상을 긍정적으로 해석했다’**는 것에 집중되어 있음.
✔ 따라서 정답에서 제외됨!
📌 2️⃣ 최종 정답: ②번 (긍정적 정보 해석)
📌 출제자의 의도: "내적 동기 증가"보다는 "긍정적 정보 해석"에 초점 맞춤!
📌 3️⃣ 관련 개념 정리 (출제자의 의도 반영 버전)
📌 인지평가이론 (CET) 핵심 개념
내적 동기 (Intrinsic Motivation) | 행동 자체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동기 | "운동이 재미있어서 계속함" |
외적 동기 (Extrinsic Motivation) | 보상, 상, 외적 압력으로 인해 행동하는 동기 | "1등급 받으려고 운동함" |
긍정적 정보 해석 (Positive Interpretation) | 보상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 "1등급 받으니 내가 운동을 잘하나 봐!" |
외적 통제 요소 (Extrinsic Control Factor) | 보상이 외부 요인으로 인해 조절되는 경우 | "부모님이 상금 준다고 해서 운동함" |
내적 통제 요소 (Intrinsic Control Factor) | 외적 보상을 내적으로 해석해 동기가 증가하는 경우 | "1등급을 받고 나니 운동 자체가 더 좋아졌다!" |
📌 핵심 정리:
✔ 긍정적인 피드백(예: 1등급)은 내적 동기를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 출제자는 ‘긍정적 해석’에 초점을 두었고, 내적 통제 요소로 보기엔 확실한 증거가 부족했음!
🔮 4️⃣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인지평가이론(CET)에 따르면 외적 보상이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 정답: 보상을 외적으로 해석하면 내적 동기가 감소하지만,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증가할 수도 있다.
2️⃣ 외적 보상이 내적 동기를 감소시키는 경우는?
- 정답: "부모님이 운동을 잘하면 상금을 준다고 해서 운동을 시작했더니, 상이 없으면 하기 싫어졌다."
3️⃣ 긍정적 정보 해석(Positive Interpretation)의 사례는?
- 정답: "체력인증 1등급을 받고 나니, 내가 운동을 잘하는구나 하고 느꼈다."

✅ 모간(Morgan)의 기분상태프로파일(POMS) - 문제 풀이 (3단콤보 적용!)
🔍 1️⃣ 문제 풀이 과정
📌 문제 핵심:
- POMS(Profile Of Mood States, 기분상태프로파일) 모델을 기반으로 올바른 설명을 찾는 문제
- POMS는 선수들의 기분 상태를 분석하여 ‘빙산형 프로파일(iceberg profile)’을 제시
- 핵심 개념: 우수선수들은 활력이 높고, 긴장·우울·분노·피로 수준이 낮음 → 빙산형 프로파일!
❌ ① ㄱ. 성격적 특성을 5개의 기분상태(긴장, 우울, 분노, 활력, 피로) 프로파일로 분석한다. → X (오답)
✔ POMS는 성격이 아니라, 기분 상태(mood state)를 측정하는 도구!
✔ 총 6가지 기분 상태를 분석함:
- 긴장(Tension)
- 우울(Depression)
- 분노(Anger)
- 활력(Vigor)
- 피로(Fatigue)
- 혼란(Confusion) → 문제에서 빠져 있음!
✔ 따라서, 성격적 특성이라고 표현한 것이 틀렸음.
✔ 또한, POMS는 6가지 기분 상태를 평가하는데, 5개만 언급되었음 → 오답!
✅ ② ㄴ. 우수선수들의 경우 빙산형 프로파일(iceberg profile)의 형태가 나타난다. → O (정답!)
✔ 빙산형 프로파일(iceberg profile) 특징:
- 우수선수들은 활력(Vigor)이 높고, 나머지 기분 상태(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란)는 낮음
- 활력이 정상보다 높이 튀어나온 모습이 ‘빙산형’처럼 보임
✔ POMS 연구에서 엘리트 선수들은 대부분 빙산형 프로파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정답!
✅ ③ ㄷ. 우수선수들의 경우 활력이 다른 기분상태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 O (정답!)
✔ 빙산형 프로파일의 핵심은 ‘활력이 높음’
✔ 즉, 긴장·우울·분노·피로·혼란은 낮고, 활력만 높은 것이 특징
✔ 따라서 이 문장은 맞음!
📌 2️⃣ 최종 정답: ③ (ㄴ, ㄷ)
📌 출제자의 의도: 빙산형 프로파일을 정확히 이해했는지 평가하는 문제!
📌 3️⃣ 관련 개념 정리 (출제자의 의도 반영 버전)
📌 모간(Morgan)의 기분상태프로파일(POMS) 핵심 개념
긴장(Tension) | 불안, 초조한 감정 | ⬇ 낮음 |
우울(Depression) | 슬픔, 절망감 | ⬇ 낮음 |
분노(Anger) | 화, 짜증 | ⬇ 낮음 |
활력(Vigor) | 에너지, 자신감 | ⬆ 높음 (빙산형의 핵심!) |
피로(Fatigue) | 무기력함, 피로도 | ⬇ 낮음 |
혼란(Confusion) | 방향 감각 상실, 혼란스러움 | ⬇ 낮음 |
📌 핵심 정리:
✔ POMS는 성격 특성이 아니라 ‘기분 상태’를 분석하는 도구!
✔ 우수선수들은 빙산형 프로파일을 보이며, 활력이 높고 나머지는 낮음!
🔮 4️⃣ 예상 변형 문제 (출제 가능성 높은 유형)
1️⃣ 빙산형 프로파일을 보이는 선수들의 특징은?
- 정답: 활력(Vigor) 수준이 높고, 긴장·우울·분노·피로·혼란 수준이 낮음.
2️⃣ POMS에서 측정하는 기분 상태 중 포함되지 않은 것은?
- 정답: 자신감(Confidence) (POMS는 기분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이지, 심리적 특성 자체를 측정하지 않음)
3️⃣ POMS를 통해 예측할 수 있는 것은?
- 정답: 운동 수행력, 경기력과 관련된 기분 상태 변화

'📕스포츠심리학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6~20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0) | 2025.03.21 |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6~10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0) | 2025.03.20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5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1) | 202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