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24년도 기출문제풀이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4. 15.
반응형

🧠 [건강체력평가] 2024년 1번 문제 해설 – 사전 동의의 원칙


✅ 정답: ③ ㄴ, ㄷ


📌 보기별 검토 및 ACSM 11판 원문 근거


ㄱ. ❌ 틀림

보기에 나온 문장: 
동의서 작성 시 참여자들의 거부 의사는 서면 제출이 원칙이다.

왜 틀렸는가?

  • 거부 의사는 언제든지 언어적 또는 행동으로도 가능해야 함
  • 서면 거부는 강제되지 않음
  • 자유롭게 중단할 수 있는 권리가 핵심임

맞는 문장으로 고치면:
“참여자는 언제든지 구두 또는 서면으로 참여를 거부하거나 중단할 수 있어야 한다.”

📖 ACSM 11판 근거:
“The participant must be free to withdraw from the procedure at any time.”


ㄴ. ✅ 맞음

설명:

  • 사전동의서는 참여자에게 서면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 내용을 구두로 설명해서 완전히 이해하도록 해야 함
  • 이는 진정한 자발적 동의의 핵심 요건

📖 ACSM 11판 근거:
“The consent form should be verbally explained and include a statement indicating that the patient has been given an opportunity to ask questions.”


ㄷ. ✅ 맞음

설명:

  • 개인정보 및 건강 정보 수집은
    → 운동 참여 이전에 이루어져야 하며
    → 사전 동의에 포함되어야 함

📖 ACSM 11판 근거:
“The form should indicate that participant data will be kept confidential and used only for intended purposes.”


ㄹ. ❌ 틀림

보기에 나온 문장:
운동검사의 참여 동의 시, 추후 참여 중단을 요구할 경우 생명윤리위원회 승인이 필요하다.

왜 틀렸는가?

  • **IRB(생명윤리위원회)**는 임상연구 목적의 경우에만 해당
  • 일반적인 운동검사나 체력평가에서는 적용되지 않음
  • 참여자는 IRB 승인 없이도 자유롭게 중단 가능

맞는 문장으로 고치면:
“임상 연구가 아닌 일반적 운동검사에서는 IRB 승인이 요구되지 않는다.”


🎯 핵심 정리 요약

보기 정답여부 근거 요약
서면 거부만 강제하는 건 ❌
서면+구두 설명 필요
개인정보 수집은 사전 동의 포함
IRB는 연구에만 해당, 일반검사에는 불필요

🧠 예상문제 (심화)

Q. 사전 동의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① 검사 목적
② 자료의 비밀 보장
③ 연구자 동의 서명
④ 참여자의 자발적 거부권

✅ 정답: ③ (연구자가 아니라 참여자 서명이 핵심!)


🧠 [건강체력평가] 2024년 2번 문제 해설 – 신체활동 강도와 효과

정답: ③ ㄱ, ㄷ, ㄹ


🔍 보기별 검토 및 ACSM 11판 근거


ㄱ. ✅ 맞음

핵심 문장:
"심폐지구력은 지속적인 신체활동 중 산소공급을 위한 순환계와 호흡계의 능력이다."

정확한 정의
→ 심폐지구력(cardiorespiratory endurance)은
→ 유산소 운동 중 산소를 근육에 공급하고 사용하는 능력

📖 ACSM 11판 표현:
“Cardiorespiratory endurance reflects the ability of the circulatory and respiratory systems to supply oxygen during sustained physical activity.”


ㄴ. ❌ 틀림

문장 오류:
“신체활동이 부족한 사람도 고강도 신체활동을 통해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겉보기에 맞아보이지만, ACSM은 처음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고강도 운동을 권장하지 않음
→ 특히 비활동성 또는 만성질환자에게는 저강도부터 점진적으로 적용이 원칙

맞는 문장으로 고치면:
“신체활동이 부족한 사람은 저강도 또는 중강도 운동부터 시작해 점진적으로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ACSM 11판 표현:
“Low-fit individuals may benefit from light-to-moderate intensity exercise.”
“Initial program should emphasize lower intensity and duration.”


ㄷ. ✅ 맞음

METs에 따른 강도 구분:

  • 저강도: ≤ 2.9 METs
  • 중강도: 3.0 ~ 5.9 METs
  • 고강도: ≥ 6.0 METs

ACSM 분류 기준과 완벽히 일치

📖 ACSM 11판 표기:
“Physical activity intensity can be classified using METs: light (≤2.9), moderate (3.0–5.9), vigorous (≥6.0)”


ㄹ. ✅ 맞음

핵심 내용:
규칙적 신체활동은

  • 혈액 내 젖산 축적 감소
  • 응고 관련 위험 요소도 개선 (혈소판 응집성↓, 혈액 점도↓)

→ 문장의 뒷부분을 보고 틀린 줄 알기 쉬운데, 실제로는 맞는 설명임

📖 ACSM 11판 표현:
“Regular physical activity decreases blood platelet aggregation and coagulation factors.”
“Reduces lactic acid accumulation during submaximal exercise.”


🎯 한 줄 요약 정리

  • : 심폐지구력 정의 → ⭕
  • : 비활동자에게 고강도 운동은 위험 → ❌
  • : METs 기준 강도 구분 → ⭕
  • : 신체활동은 응집성까지 줄여줌 → ⭕

❓예상문제 (개념 응용)

Q. METs를 기준으로 고강도 운동은 어느 이상인가?
① 3.0 ② 5.0 ③ 6.0 ④ 7.5
✅ 정답: ③ (≥ 6.0 METs)


🧠 [건강체력평가] 3번 기출문제 해설 – 연령별 근지구력 검사

정답: ④ 유소년기 – 윗몸말아올리기 / 청소년기 – 반복점프 / 성인기 – 교차윗몸일으키기


📌 국민체력100 기준 – 연령별 근지구력 검사법 요약

연령대근지구력 평가 항목
연령대 근지구력 평가 항목
🟢 유소년기 (초등학생 등) 윗몸말아올리기 (curl-up)
🔵 청소년기 (중·고등학생) 반복점프 (repeated jump) or 윗몸말아올리기
🟣 성인기 (20대 이상) 교차윗몸일으키기 (crossed sit-up)

이 기준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국민체력100 공식 지표로 사용됨


❌ 보기별 검토

  • 유소년기: 교차윗몸일으키기 ❌ (성인용임)
  • 청소년기: 반복옆뛰기 ❌ (민첩성 평가)
  • 성인기: 체공시간 ❌ (순발력 항목임)

  • 유소년기: 반복점프 ❌ (청소년 항목임)
  • 청소년기: 윗몸말아올리기 ❌ (유소년 항목임)
  • 성인기: 반복옆뛰기 ❌ (역시 민첩성 항목)

  • 유소년기: 반복옆뛰기 ❌ (민첩성임)
  • 청소년기: 체공시간 ❌ (순발력임)
  • 성인기: 윗몸말아올리기 ❌ (유소년용임)

④ ✅

  • 유소년기: 윗몸말아올리기 ⭕
  • 청소년기: 반복점프 ⭕
  • 성인기: 교차윗몸일으키기 ⭕

💡 근지구력 검사 구분 포인트 요약

  • 유소년기: 허리를 너무 꺾는 동작 위험하여 → 말아올리기 형식
  • 청소년기: 점프 지속능력, 하지 지구력 강조 → 반복점프
  • 성인기: 전통적 윗몸일으키기 형식이지만 교차 팔로 정확도 높임 → 교차 윗몸일으키기

❓예상문제

Q. 국민체력100 체력검사에서 성인 여성의 근지구력 측정 항목으로 옳은 것은?

① 체공시간
② 반복점프
③ 교차윗몸일으키기
④ 윗몸말아올리기

✅ 정답: ③

 

2025.04.15 - [📕ACSM/필수개념정리] - [건강체력평가] 국민체력100 검사 항목 요약표 (한눈에 정리)

 

[건강체력평가] 국민체력100 검사 항목 요약표 (한눈에 정리)

저장해두고 빠르게 볼 수 있는 용도임 ㅎㅎㅎ윗몸말아올리기랑 교차윗몸일으키키 ㅋㅋㅋ 다른 연령대에서 사용 좀 있다가 내용도 같이 정리...

corebox21.tistory.com


🧠 [건강체력평가] 4번 기출문제 해설 – 건강 관련 체력검사 절차와 원칙

정답: ③ ㄱ, ㄷ, ㄹ


🔍 보기별 검토 및 ACSM 11판 근거


ㄱ. ✅ 맞음

핵심 내용:
검사 결과를 해석하고 비교하려면,
검사의 **신뢰도(reliability)**와 **타당도(validity)**가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은 절대적 기준이다.

📖 ACSM 11판 원문 근거:
“All testing procedures should have established reliability, validity, and standardization.”


ㄴ. ❌ 틀림

보기에 나온 문장:
“신체구성, 건강체력, 그리고 1RM 측정은 위험성이 낮기 때문에 신속하게 측정한다.”

왜 틀렸는가?

  • **1RM(1회 최대 근력 측정)**은 고위험 검사로 분류됨
  • 반드시 충분한 워밍업점진적 부하 증가를 통해 안전하게 측정해야 함
  • '신속하게'라는 표현은 1RM과 어울리지 않음

맞는 문장으로 고치면:
“1RM 측정은 부상 위험이 있으므로, 충분한 준비운동과 점진적 중량 증가를 통해 안전하게 실시한다.”

📖 ACSM 11판 근거:
“One repetition maximum (1-RM) testing should be performed only after warm-up and under proper supervision due to injury risk.”


ㄷ. ✅ 맞음

내용:
심박수, 혈압 측정 전에는 5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 측정해야 함

📖 ACSM 11판 표현: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should be measured after the participant has been seated quietly for at least five minutes.”


ㄹ. ✅ 맞음

설명:
검사 환경은 비공개, 조용한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을 줄이기 위해 충분히 설명하는 것이 권장됨

📖 ACSM 11판 내용:
“The environment should be quiet and private. The test administrator should explain procedures clearly to reduce anxiety.”


🎯 핵심 요약

보기 정답여부 핵심 이유
검사 타당도·신뢰도 확보는 기본
1RM은 고위험 검사, ‘신속하게’는 위험
심박·혈압 측정 전 최소 5분 휴식 필요
비공개 조용한 공간 + 충분한 설명 중요

❓예상문제

Q. 1RM 측정과정에서 지켜야 할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충분한 워밍업을 실시한다.
② 신속하게 측정하여 피로를 줄인다.
③ 중량은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④ 감독자의 지도 하에 실시한다.

✅ 정답: ② (신속 X, 안전이 우선)


 

🧠 [건강체력평가] 5번 기출문제 해설 – 심혈관계 위험요인(CVD Risk Factors) 분석

정답: ① 심혈관계 위험요인은 총 2개이다.
→ 이 정답은 결론적으로 맞지만,
→ 아르키가 앞서 위험요인 판별을 잘못했었어. 이번엔 정확히 ACSM 11판 기준으로 다시 분석한다! 님들 chat GPT도 틀릴 수 있어요!! 검수는 인간이 해야함.


📋 문제 속 정보 정리

  • 나이/성별: 38세 / 남성
  • 신체정보: 182cm / 75kg (BMI 약 22.6)
  • 가족력: 어머니 61세에 관상동맥재형성술
  • 운동: 고강도 웨이트 30분, 주 5회
  • 혈압: 128/76 mmHg (※ 항고혈압약 복용 중)
  • LDL-C: 147 mg/dL
  • HDL-C: 70 mg/dL
  • 금연: 195일차 (약 6.5개월)

✅ ACSM 11판 기준으로 위험요인 분석

연령 (Age)

  • 기준: 남 ≥45세, 여 ≥55세
    38세 남성 ❌ 위험요인 아님

가족력 (Family history)

  • 기준: 남성 1촌 혈족 <55세, 여성 1촌 혈족 <65세에서
    심근경색, 관상동맥 우회술, 급사, 관상동맥재형성술이 발생한 경우
    → 어머니 61세에 관상동맥재형성술
    → ✅ 여성 <65세 → 위험요인 해당됨

흡연 (Smoking)

  • 기준: 현재 흡연자 또는 금연한 지 ≤6개월 이내
    → 금연 195일차 = 약 6.4개월
    → ✅ 6개월 넘음 → 위험요인 해당되지 않음

고혈압 (Hypertension)

  • 기준: 수축기 ≥140 또는 이완기 ≥90 또는 항고혈압약 복용 중
    → 현재 혈압 정상이나 약 복용 중
    → ✅ 위험요인 해당

지질 (LDL/HDL)

  • 기준:
    • LDL ≥130 → 위험요인
    • HDL ≥60 → 보호(음성)요인 (–1점으로 보정 가능)
      → LDL 147 → 위험요인 O
      → HDL 70 → 보호요인 O
      이 경우 보호요인이 +1개를 상쇄하므로, LDL로 인한 위험요인 1개는 상쇄 가능

운동 부족 (Physical inactivity)

  • 기준: 중강도 이상 운동 주 3일, 30분 이상, 3개월 미만일 경우
    → 현재 고강도 30분 주 5회 → ❌ 운동 부족 아님

BMI

  • 기준: ≥25 kg/m² (아시아 기준), 또는 허리둘레 기준
    → BMI = 22.6 → ❌ 해당 안 됨

✅ 위험요인 최종 정리

항목  위험 여부
가족력 ✅ (어머니 <65세에 관상동맥시술)
고혈압 ✅ (약 복용 중)
LDL↑ ✅ (147 mg/dL),
HDL↑ 로 상쇄됨 → 최종 ❌
흡연 ❌ (6개월 초과)
운동
연령
BMI

➡️ 총 위험요인: 2개 (가족력, 고혈압)
➡️ ✅ 정답: ①

❓예상문제

Q. 다음 중 가족력 위험요인에 해당되는 경우는?
① 아버지가 60세에 심근경색
② 어머니가 70세에 관상동맥 우회술
③ 남동생이 50세에 급사
④ 어머니가 63세에 관상동맥 재형성술

✅ 정답: 3번, 4번

남동생이나 여동생으로 문제 한번 나올 법 ....하려나?ㅋㅋㅋ


🧠 [건강체력평가] 6번 기출문제 해설 – 신체구성 측정법 비교

정답: ① ㄱ, ㄷ


🔍 보기별 검토


ㄱ. ✅ 수중체중법 (Hydrostatic Weighing)

“공기 중의 체중과 물속의 체중 차이를 이용해 체밀도 구함”

✔ 고전적이지만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
✔ 부력 원리를 이용한 Archimedes' Principle 기반

오답 함정은 수중체중법은 물속에서'만' 측정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함정임. 물 밖에서도 측정하고(공기 중) , 물속에서도 체중을 측정한 후 물에서 측정한거 빼줘야함.

→ ✅ 정확한 설명


ㄴ. ❌ 이중에너지X선흡수법(DXA)

“신체를 지방과 제지방으로 구분하여 측정” 이라고만 서술

✔ 틀렸다고 하긴 어렵지만, 설명이 불충분

  • DXA는 **지방, 제지방, 뼈의 광밀도(BMD)**까지 3가지 구성요소로 나눔

정확한 설명으로 고치면:
“DXA는 신체를 지방, 제지방, 골밀도로 나누어 정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이다.”

→ ❌ 불완전한 설명


ㄷ. ✅ 피하지방두께법 (Skinfold Method)

“캘리퍼를 이용해 부위별 피하지방 두께 측정”

✔ 저비용, 실용적, 체지방률 추정 가능
✔ 다만 숙련도에 따라 정확도 차이 있음

→ ✅ 정확한 설명


ㄹ. ❌ 생체전기저항법 (BIA)

“신체 면적값을 통해 체지방률을 추정한다” → 이 표현이 부정확함

✔ BIA는 전류가 체수분을 통과하는 저항값을 기반으로
수분함량 → 제지방량 → 체지방량 추정 구조임
✖️ “신체 면적값”은 사용하지 않음

올바른 설명으로 고치면:
“BIA는 체내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 생체 전기저항값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체수분량을 추정하여 체지방률을 계산한다.”

→ ❌ 오답

 

❓예상문제

Q. DXA 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신체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방량
② 골밀도
③ 제지방량
④ 기초대사량

✅ 정답: ④


 

🧠 [건강체력평가] 7번 기출문제 해설 – 눈-손 협응력 검사법

정답: ② T-wall 측정은 대상자가 청소년이며, 성공+실패 포함 100회 터치할 때까지 진행한다.


📌 검사 유형 구분

검사 항목연령대설명
검사항목 연령대 설명
T-wall 청소년기 벽에 있는 불빛(터치패드)을 손으로 100회 터치할 때까지 진행
벽패스 (Wall pass) 유소년기 공을 좌우로 바운드 패스하며 제한 시간 동안 수행, 실패시 자동 종료

✅ 보기별 검토

① ❌

"T-wall은 유소년기 검사" → ❌
T-wall은 청소년기(중·고등학생) 협응력 검사
→ 유소년기는 벽패스


② ✅

"청소년이 대상이며, 성공+실패 합쳐서 100회 터치까지 진행" → ⭕
→ 정확한 설명
→ T-wall: 터치 성공/실패 관계없이 총 100회 터치 시 종료
→ 총 소요시간으로 점수화


③ ❌

벽패스에서 "공을 잡지 않고, 번갈아 가며 친다" → ❌
→ 유소년은 공을 손으로 잡아 벽에 던졌다 받는 방식


④ ❌

"청소년이 벽패스를 하며, 중간에 공을 떨어뜨리면 다시 주워 실시한다" → ❌
청소년은 T-wall 검사 대상
→ 벽패스는 청소년이 아님
→ 또 벽패스는 공을 떨어뜨리면 실격 처리이며 다시 주워서 하진 않음


🎯 한 줄 정리

  • T-wall → 청소년 → 100회 터치할 때까지 계속 진행
  • 벽패스 → 유소년 → 제한 시간 내 반복 수행, 실패시 실격

❓예상문제

Q. 다음 중 유소년기 눈-손 협응력 검사 항목은?
① T-wall
② 벽패스
③ 윗몸일으키기
④ 반복점프

✅ 정답: ②


ㅋㅋㅋ 대략난감

🧠 [건강체력평가] 8번 기출문제 해설 – Cooper 12분 달리기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 추정

정답: ② 40.1 mL·kg⁻¹·min⁻¹


📌 Cooper 12분 달리기 공식 (ACSM 기준)

📌 이 공식은 거리를 미터 단위로 넣어야 하고,
결과는 **상대 최대산소섭취량(mL·kg⁻¹·min⁻¹)**으로 나옴

 


🧮 대입 계산

→ ✅ 정답: ② 40.1 mL·kg⁻¹·min⁻¹

 


🎯 기억용 정리

🔢 Cooper 12분 달리기 공식 요약 암기

VO₂max = (m 단위 거리 - 504.9) ÷ 44.73
  • 단위 주의! ➝ **미터(m)**로 넣기
  • 결과 단위는 ➝ mL·kg⁻¹·min⁻¹

❓예상문제

Q. Cooper 12분 달리기에서 2,600m를 주파한 성인의 VO₂max는?
① 44.3 ② 46.7 ③ 49.5 ④ 52.3

정답 계산:
(2600 - 504.9) ÷ 44.73 = 2095.1 ÷ 44.73 ≈ 46.8
✅ 정답: ②

 


 


🧠 [건강체력평가] 9번 기출문제 해설 – VO₂max 추정과 SEE 해석

정답: ④ 42.0 ~ 48.0 mL·kg⁻¹·min⁻¹


📌 문제 요약

  • 20m 왕복오래달리기(셔틀런): 심폐지구력 측정
  • 회수에 따라 **최대산소섭취량(VO₂max)**를 예측하는 회귀방정식 기반 추정법

📊 제시된 회귀식

  • x: 왕복달리기 횟수
  • VO₂max 예측값: Y^
  • R = 0.90 → 상관관계 우수
  • SEE(추정 표준오차) = 3.0 → 신뢰도 범위 계산에 사용

📌 조건

  • 50회 수행 시 →Y^=0.10×50+40.0=45.0 mL\kg⁻¹\min⁻¹
  • 68.26% 신뢰범위는 ±1 SEE 사용
    → 표준오차가 ±3.0이므로:

✅ 계산

  • 신뢰구간 하한값:
    45.0−3.0=42
  • 신뢰구간 상한값:
    45.0+3.0=48

👉 ✅ 정답: ④번 (42.0 ~ 48.0)


🧠 SEE(Standard Error of Estimate)란?

  • 예측값과 실제값 사이의 평균 오차
  • 1 SEE → 약 68% 신뢰수준
  • 2 SEE → 약 95% 신뢰수준
  • 3 SEE 는 약 99퍼센트. 이러한 값은 거의 통계적으로 정해진 값으로 암기해야했던 내용;

✔ 체력검사에서 신뢰구간을 제시할 때 **"±SEE 범위"**가 자주 활용됨!

그렇게 솔직히 어려운 내용이 아닌데 모르는 개념이 나ㅇ오니까 걍 어버버하다가 시간 다 날린듯..


🧠 [건강체력평가] 10번 기출문제 해설 – 변동계수(CV) 계산과 비교

정답: ① ㄱ<ㄴ<ㄷ


✅ 변동계수(CV) 공식

CV(%)=표준편차 (SD)평균×100CV (\%) = \frac{\text{표준편차 (SD)}}{\text{평균}} \times 100

CV가 작을수록 → 평균에 비해 오차가 작다 = 측정값이 안정적이다


📊 각 항목 계산

① 교차윗몸일으키기

  • 평균 = 45
  • 표준편차 = 9
  • CV = (9 / 45) × 100 = 20%

② 20m 왕복오래달리기

  • 평균 = 60
  • 표준편차 = 15
  • CV = (15 / 60) × 100 = 25%

③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 평균 = 6
  • 표준편차 = 3
  • CV = (3 / 6) × 100 = 50%

🥇 변동계수 순서 비교

  • CV 가장 작음 → 교차윗몸일으키기 (20%)
  • 다음 → 왕복오래달리기 (25%)
  • 가장 큼 → 윗몸앞으로굽히기 (50%)

🎯 한 줄 요약

  • **변동계수(CV)**는 측정값의 상대적 일관성을 보는 지표야
  • 값이 작을수록 측정 신뢰도 높다고 해석할 수 있어

❓예상문제

Q. 표준편차가 4이고 평균이 20인 항목의 변동계수는?
① 10% ② 15% ③ 20% ④ 25%

✅ 정답: ③ → (4 ÷ 20) × 100 = 2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