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24년도 기출문제풀이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by 둔근해 2025. 4. 19.
반응형

[운동부하검사] 1번 문제 (2024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

문제
최대산소섭취량을 추정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 보기

ㄱ. 심박수와 운동량이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ㄴ. 최대심박수의 실측치와 예측치 간의 차이는 매우 작다.
ㄷ. 심박수 변화를 일으키는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ㄹ. 주어진 운동량에 대한 산소섭취량(기계적 효율)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다.


✅ 정답: ④번 (ㄱ, ㄴ, ㄷ, ㄹ)


📖 ACSM 11판 근거 기반 해설

  1. ㄱ. 심박수와 운동량의 선형 관계
    → ACSM은 아급성 운동 단계(특히 110~150bpm)에서 운동강도와 심박수가 선형적인 관계를 가진다고 명시함.
    → 이 전제는 서브맥스 운동검사로 VO₂max 추정 시 필수 조건임.
  2. ㄴ. 최대심박수 실측치와 예측치의 유사성
    → "220 - 나이"와 같은 공식은 오차가 있지만 일반 인구 집단에선 합리적인 추정치로 간주됨.
    → 추정 VO₂max 공식에서도 이를 기반으로 하므로 차이가 매우 작다고 표현 가능.
  3. ㄷ. 심박수에 영향을 주는 약물 금지
    β차단제, 항부정맥제, 혈압약 등은 심박수 반응을 억제하여 정확한 추정이 어려워짐.
    검사 전 문진에서 약물 복용 여부 확인 필요.
  4. ㄹ. 기계적 효율은 동일하다고 가정함
    → 현실에선 개인 차가 있으나, ACSM 기준 VO₂max 추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기계적 효율은 동일하다’고 가정함.
    → 즉, 개인 차이를 반영하지 않는 추정식의 단순화를 위한 가정임.

🔑 핵심 요약 (10줄 이내)

  • VO₂max 추정 시, 운동량과 심박수의 선형 관계가 가정됨
  • 최대심박수는 예측 공식을 통한 대체가 일반적으로 허용됨
  • 약물은 심박수 반응을 왜곡하므로 복용 시 검사의 신뢰성 저하
  • 기계적 효율은 실제로는 다르지만, 검사에서는 ‘동일’하다고 가정
  • 이 네 가지는 ACSM 11판의 공식 전제 조건

🧠 한 줄 암기 팁

"선형·예측·무약물·효율동일" → 추정 VO₂max 4대 전제 조건


🔖 해시태그

#VO₂max추정 #운동부하검사 #ACSM11판 #심박수 #기계적효율 #건운사기출 #운동처방기초 #약물주의 #예측심박수 #서브맥스검사


📌 예상문제

다음 중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박수와 운동강도는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2. 최대심박수는 예측값을 사용한다.
  3. 기계적 효율은 개인별로 모두 다르다고 가정한다.
  4. 심박수에 영향을 주는 약물은 검사 전에 복용하지 않는다.

정답: ③번
→ ACSM 기준, VO₂max 추정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기계적 효율은 동일하다고 가정함

매번 괴롭히는 군요. 정답은 3번 입니다.

[운동부하검사] 3번 문제

문제
ACSM(11판)이 권고하는 점증운동부하검사 중 최대산소섭취량(VO₂peak)에 도달했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④번


📖 ACSM 11판 기준 – VO₂peak 도달 기준 (일명 "VO₂max criteria")

ACSM 11판에서 제시하는 대표적 기준은 다음과 같음:

  1. 호흡교환률(RER) ≥ 1.10 또는 1.15
  2. 혈중 젖산 농도 ≥ 8.0 mmol·L⁻¹
  3. 운동 중 VO₂가 plateau를 형성 (더 이상 증가 없음)
  4. 자각운동지각도(RPE): 6~20 척도 기준으로 ≥ 17, 0-10척도는 7초과
  5. 최대심박수 예측치(220-나이)의 ±10bpm 이내 도달

→ 🔴 혈압 수치 자체는 VO₂peak 도달 판단 기준이 아님
→ 혈압 기준은 운동 중단 기준에 해당함 (다른 챕터 내용)


📦 보기 검토 (정정 기준 반영)

호흡교환률 ≥ 1.10
→ ✔ 맞음 (ACSM 기준 RER ≥ 1.10 또는 1.15)

젖산 농도 ≥ 8.0 mmol/L
→ ✔ 맞음

RPE 620척도에서 17 초과, 또는 0-10척도에서 7 초과
→ ✔ 맞음
(참고: ACSM은 0-10 RPE에서 ≥7, 6-20에서는 ≥17 이상이면 VO₂peak 가능성 인정)

최고 수축기 혈압 ≥250 mmHg, 또는 이완기 ≥115 mmHg
→ ❌ 틀림
→ 이 기준은 운동 종료 중단 기준이지, VO₂peak 도달 지표가 아님


🎯 한 줄 요약

혈압 수치는 운동 종료 기준이지, VO₂peak 도달 판단 기준이 아님!


🔖 해시태그

#VO₂peak기준 #운동생리학 #ACSM11판 #혈압은종료기준 #운동부하검사 #건운사기출정정


📌 예상문제

다음 중 VO₂peak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흡교환률 ≥ 1.15
  2. 젖산 농도 ≥ 8.0 mmol/L
  3. 최대심박수의 85% 도달
  4. 자각운동지각도(RPE) ≥ 17

정답: ③번
→ 85% 도달은 서브맥스 종료기준이며, VO₂peak 도달기준으로는 미흡함

 

바부바부를 별첨.

✅ 개념 구분:

‘운동 검사 종료 기준’ vs ‘최대산소섭취량(VO₂peak) 도달 기준’


1. 📍 운동 검사 종료 기준 (Termination Criteria)

👉 보통은 서브맥스(submax) 검사에서 사용
👉 목적은 안전이 최우선

  • 주로 정해진 강도 이상 도달 시 검사 종료
  • 가장 대표적인 기준 중 하나가 바로 이거야:

예측 최대심박수(220-나이)의 70~85%에 도달하면 검사 종료 가능

→ 이건 심폐기능을 직접 측정하는 목적이 아닌, 스크리닝용, 사전평가용 검사에서 주로 사용됨
VO₂max를 추정하는 데 활용되기도 하지만, 도달했다고 보진 않음


2. 📍 VO₂peak 도달 기준 (Criteria for achieving VO₂peak/VO₂max)

👉 운동 능력의 최대치 도달을 판별하는 기준
👉 목적은 정확한 최대산소섭취량 측정

  • RER ≥ 1.10 or 1.15
  • 젖산 ≥ 8.0 mmol/L
  • HR이 예측 최대치의 ±10bpm
  • RPE ≥ 17 (6~20 척도)
  • VO₂ plateau 형성

→ 즉, 운동부하검사를 ‘진짜 최대치’까지 끌고 간 경우에 사용하는 기준임
→ 일반적인 70~85% HR 도달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


🔍 요약 비교 정리표

구분 검사종료 기준 (서브맥스=최대하) VO₂peak 도달기준
목적 안전 확보, 중단 시점 최대 운동능력 확인
심박수 기준 220-나이의 70~85% 도달 220-나이의 ±10bpm 이내 도달
강도 수준 중등도~중강도 최대 또는 탈진 수준
주요 활용 일반인 선별검사 스포츠 선수, 심폐평가 등

📌 암기 팁

"70~85%는 검사 끝내는 기준, ±10bpm은 최대 도달한 기준"

HRR 85%가 최대하 수준임. 나는 100%까지 하는건 너무 위험하니까 한 98%까지가 서브맥스인줄 알았는데 ㅋㅋㅋㅋ 생각보다 최대하가 낮구나!!

 

TMI for me

✅ “서브맥스(Submax)”란?

  • Submaximal의 줄임말
  • 말 그대로 “최대 운동 강도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뜻임
  • 즉, **"최대 노력(maximal effort)을 끌어내기 전까지만 하는 운동검사"**를 말함

📌 “서브맥스 검사”는 뭐에 쓰임?

  • 주로 고위험자, 노약자, 일반인 대상 사전 검사에서 사용
  •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진짜로 탈진하거나 최대치까지 몰아붙이지 않음
  • 대신, 적절한 지표(예: HR 85%) 도달로 충분하다고 보고 중간에 종료함

🎯 서브맥스 검사에서는...

✔ 운동검사를 **중간 지점(예측 HR의 70~85%)**에서 종료
✔ 이 수치들을 활용해 VO₂max를 간접 추정
✔ 그래서 이걸 "서브맥스용 검사 종료 기준"이라고 부름


🔄 반대로, "맥스(maximal) 검사"는?

  • 진짜 최대치까지 몰아붙여야 함 (VO₂가 plateau 형성, HR 최대치 도달 등)
  • 피험자가 탈진하거나 명확한 지표로 VO₂peak에 도달해야 함

🧠 정리 문장

서브맥스용 기준은 안전을 위해 검사 중간에 종료하고, 측정값으로 최대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운동부하검사] 4번 문제

문제
AHA와 ACS가 제시한 절대적 운동 종료 기준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 정답: ①번 (ㄱ, ㄴ)


📖 개념 정리: 절대적 운동종료 기준 (ACSM 11판 & AHA 기준 공통 포함)

운동 중 다음과 같은 징후가 발생하면 즉시 검사 중단해야 함.

📦 보기 분석

  • ㄱ. 청색증 또는 창백 → ✔️ 절대적 종료 기준 맞음
    ⤷ 말초 산소공급 부족의 임상징후 → 산소포화도 급저하 의심
  • ㄴ. 지속되는 심실성 빈맥 → ✔️ 절대적 종료 기준
    ⤷ 지속되는 심실성 부정맥은 생명 위협성 arrhythmia로 간주함
  • ㄷ. 호흡곤란, 쌕쌕거림, 다리경련 → ❌
    ⤷ 일반적 불편감일 수 있으나, 상대적 종료 기준에 더 가까움
  • ㄹ. 심실빈맥과 구분하기 어려운 각차단 → ❌
    ⤷ 정확한 판단 어려울 수 있지만, 절대 종료보다는 상대적 판단 영역

🎯 한 줄 요약

→ “청색증, 심실성 부정맥, 실신, 통증, 혈압 이상은 무조건 STOP!”


🔖 해시태그

#운동중단기준 #절대중단기준 #AHA기준 #ACS기준 #건운사기출 #운동부하검사 #청색증 #심실성빈맥


📌 예상문제

다음 중 운동을 즉시 중단해야 하는 절대적 종료 기준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로감 호소
  2. 심한 호흡곤란과 창백해짐
  3. 심박수가 예측치에 도달하지 않음
  4. 심전도상 좌각차단 발생

정답: ②번
→ 창백 + 호흡곤란은 말초산소 부족 가능성으로 즉시 중단 대상

[운동부하검사] 5번 문제

문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자의 운동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③번


📌 보기 검토 & 해설

① 검사 목적에 따라 최대하운동검사가 이용될 수 있다.
O. COPD 환자라도 적절한 의학적 통제와 안전성 평가 후 최대하 운동검사(submaximal GXT) 가능함.

② 6분 걷기검사는 심폐기능을 검사하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다.
O. 맞음.
6-minute walk test는 실제 COPD 평가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임상적 운동기능 평가 도구임.

③ 운동종료 기준은 최대심박수(220−연령)로 예측된 최고산소섭취량으로 한다.
→ ❌ 틀림.
COPD 환자는 심혈관이 아닌 '호흡계통의 제한' 때문에 운동이 제한됨.
즉, 폐 기능 저하로 인해 심박수 최대치에 도달하지 못한 채 탈진함.
따라서 VO₂max = 최대 HR 도달 여부로 판단할 수 없음.

④ 팔레르고미터는 호흡곤란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운동강도 및 지속시간을 제한하여 사용한다.
O.
COPD 환자는 상지 운동보조 호흡근 사용 증가로 인해 호흡곤란이 심해질 수 있음.
따라서 팔레르고미터는 강도와 시간 조절 필수.


🎯 출제자의 의도 분석

💡 왜 이 문제가 나왔을까?

  • COPD 대상자에게 **일반 운동검사 기준(정상인 기준)**을 적용해선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함
  • 특히 “최대심박수에 도달했는가?”로 VO₂max를 판단하는 건 건강인 기준이라는 걸 헷갈리게 만들기 위함

⚠ 함정 포인트

  • 보기 ③은 문장 전체가 자연스러워 보여서 지나치기 쉬움
  • “운동종료 기준은 최대심박수로 예측된 VO₂max”라는 문장이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COPD 환자에게 적용하면 부적절
    → 즉, 출제자는 “전형적인 기준”을 교묘하게 배치해서 낚시를 시도한 것

🧠 한 줄 요약

→ COPD 환자는 폐 기능 제한이 우선, 최대심박수 기준 적용 ❌


🔖 해시태그

#COPD운동검사 #운동종료기준 #심박수기준오류 #출제의도분석 #건운사기출 #운동생리학 #호흡제한 #서브맥스검사


📌 예상문제

다음 중 COPD 환자에게 적절한 운동종료 기준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자발적 탈진
  2. 호흡곤란 증가
  3. 최대심박수 도달
  4. 산소포화도 85% 이하

정답: ③번
→ HRmax 도달은 COPD 환자에겐 흔하지 않으며, 기준으로 사용 부적절

[운동부하검사] 6번 문제

문제
암 생존자를 위한 운동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만 모두 고른 것은?
(복수 정답 선택)


✅ 정답: ①번 (ㄱ, ㄴ)


📖 보기 검토

ㄱ. 화학요법 치료환자는 치료 4시간 이후에 검사한다.

틀림.

  • 화학요법은 신체 전반에 독성 영향을 주는 치료법
  • **시행 직후(4시간 이내)**는 면역억제, 탈수, 저혈압, 피로 등이 심할 수 있어 검사 금지
  • 보통은 최소 24~48시간 이상 충분한 회복 후 검사 권장됨

ㄴ. 안드로겐 차단요법 환자는 트레드밀 검사가 적합하다.

틀림.

  • 안드로겐 차단요법은 골밀도 감소, 근육 위축, 피로 등의 부작용을 유발
  • 낙상 위험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트레드밀보다는 싸이클 에르고미터 등 저충격 장비가 더 적절함

ㄷ. 균형과 화학뇌(chemo brain) 상태를 확인하고 검사한다.

맞음.

  • 암 생존자 중 일부는 인지기능 저하(chemo brain) 또는 균형 감각 저하를 겪음
  • 운동검사 전 인지·신경·균형 평가 필요

ㄹ. 심장독성 위험 환자는 운동자각도(RPE) 방법으로 강도를 관찰한다.

맞음.

  • 항암제의 심장독성 영향으로 심박수 신뢰도 저하 → RPE 기반 강도 조절이 권장됨

ㅁ. 심장독성 위험 환자는 β차단제, 레닌-안지오텐신 억제제, 알도스테론 길항제 등으로 심기능 보호 후 검사할 수 있다.

맞음.

  • 실제 **심장 보호 약물(심부전 가이드라인)**에 따라 처치 후 운동검사 시행 가능

🧠 한 줄 요약

항암치료 직후 검사 금지, 안드로겐 차단요법 환자는 낙상 위험 고려해서 트레드밀 피함


🎯 출제의도 분석

💡 왜 이런 문제를 냈을까?

  • 암 생존자 운동검사의 실제 임상적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
  • 특히 항암제 부작용, 심장독성, 인지기능 저하비운동적 요인을 운동검사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 묻는 문제임

⚠ 함정 포인트

  • 보기 ㄱ과 ㄴ은 일상 언어처럼 자연스럽고 익숙한 표현을 써서 의심 없이 넘어가기 쉬움
  • 특히 "4시간 후"라는 숫자가 과학적으로 들리게 만들지만 실제로는 매우 위험한 지침
    → 출제자는 "일상적 판단"과 "임상적 안전 기준" 사이의 차이를 검토하도록 유도함

🔖 해시태그

#암생존자운동검사 #항암치료 #심장독성 #RPE #낙상위험 #트레드밀금지 #건운사기출 #출제의도분석


📌 예상문제

다음 중 암 치료 후 운동검사를 고려할 때 유의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암치료 당일 검사 가능
  2. 균형과 인지기능 평가 선행
  3. RPE 기준으로 운동강도 설정
  4. 심장독성 환자는 심장보호 약물 사용 고려

정답: ①번
→ 항암치료 직후는 신체 상태 불안정하여 검사 금지

[운동부하검사] 7번 문제

문제
운동검사 중 혈압 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②번


📖 보기 해설

이완기 혈압은 변화가 없거나 감소한다.
맞음

  • 운동 중에는 말초 혈관 저항이 감소하므로 이완기 혈압은 변동이 거의 없거나 약간 감소하는 게 정상임

심박출 능력이 제한된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정상보다 빨리 올라간다.
→ ❌ 틀림

  • 심박출량(심장의 펌프능력)이 제한되면 운동 중 수축기 혈압이 충분히 상승하지 못함
  • 오히려 수축기 혈압의 비정상적 증가 둔화 또는 수축기 혈압 감소운동종료 기준이 될 수 있음
    → 즉, 보기에서는 정상과 반대로 설명함

수축기 혈압이 안정시보다 140mmHg 초과 시 고혈압 경향성 판단 가능
맞음

  • 운동 중 수축기 혈압이 >210mmHg (남성) 또는 >190mmHg (여성)이면 운동성 고혈압으로 간주
  • 안정시 혈압이 140 이상이면 잠재적 고혈압 가능성 고려함

이완기 혈압이 90mmHg 초과 또는 안정시보다 10mmHg 이상 증가하면 위험 증가
맞음

  • 운동 중 이완기 혈압은 거의 유지 or 약간 감소하는 것이 정상
  • 오히려 **증가 시 혈관계 저항 문제(허혈 등)**를 의심해야 함

🧠 한 줄 요약

→ 심박출 제한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정상보다 빨리 증가하지 않고 오히려 둔화되거나 감소


🎯 출제의도 분석

  •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정상 반응 패턴을 구분할 수 있는가
  • 특히 심장기능 저하자의 반응을 **정상으로 착각하도록 유도한 보기(②)**가 핵심 함정임

🔖 해시태그

#운동검사혈압반응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심박출량제한 #건운사기출 #혈압반응패턴


📌 예상문제

다음 중 운동 중 혈압 반응으로 정상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수축기 혈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2. 이완기 혈압이 감소하거나 변화 없다
  3. 수축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한다
  4. 운동 종료 후 수축기 혈압이 점차 회복된다

정답: ③번→ 운동 중 수축기 혈압 감소는 심장 기능 문제운동 즉시 중단 기준이 됨

[운동부하검사] 8번 문제

문제
<보기>의 운동부하검사 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모두 고른 것은?


✅ 정답: ④번 (ㄱ, ㄴ, ㄹ, ㅁ)


📖 보기 분석

ㄱ. 심박수는 점증적 운동 시 운동강도 증가에 따라 1MET당 약 10회/분 증가한다.

맞음

  • ACSM 기준: 심박수는 1MET당 평균 10bpm 증가
  • 단, 훈련 상태나 약물 복용 여부 등에 따라 개인차 존재

ㄴ. 심박수변동부전은 허혈성 심장질환자의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

맞음

  • 심박수변동성(HRV) 감소는 자율신경계 조절능력 저하를 의미
  • 이는 심장질환자에서 사망률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 있음
    → 심박수 회복지연, HRV 저하는 모두 부정적 지표로 간주

ㄷ. 예비대사적심박수변동(MCR)은 프로토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틀림

  • **MCR (Metabolic Chronotropic Reserve Index)**는 심박수 반응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지표
  • 운동 프로토콜의 강도 증가 속도 및 방식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음
    → 즉, 프로토콜 영향 받음

TMI

✅ 예비대사적심박수변동 (MCR)란?

MCR = 운동 중 심박수 반응이 대사 수요(MET 증가)에 비례하는가를 보는 지표


📌 정의

운동 중 증가한 심박수 비율과 증가한 산소요구량 비율(METs) 사이의 비례 관계를 수치화한 것. 
운동강도가 증가했을 때 심박수가 적절히 증가하능가를 보는 지표임.


📈 계산식


🧠 이게 왜 중요해?

  • 정상적인 심장 기능이 있다면 → 운동 강도(MET) 증가에 따라 심박수도 적절히 증가
  • MCR이 낮다는 것은?
    → 운동 중 심박수 반응이 둔하다는 뜻 → β-차단제 복용, 부자율신경장애, 심기능 저하 의심 가능

🔎 임상 해석

MCR 값 해석
≥ 0.8 정상 반응
< 0.8 부적절한 HR 반응(=심박수 증가가 느리다) → 심장 기능 이상 또는 약물 영향 가능성

🚫 MCR은 프로토콜 영향 안 받는다고? → ❌ 틀림!

  • **운동 프로토콜(속도, 강도 증가 방식)**에 따라 MET 증가율이 달라짐
  • 따라서 MCR은 프로토콜의 영향을 분명히 받음

🧠 한 줄 요약

MCR은 심박수 반응의 ‘대사 비례도’를 보는 지표이며, 프로토콜에 영향을 받는 민감한 평가 도구임.


ㄹ. 관상동맥혈류와 운동강도는 심근산소요구량과 선형관계이다.

맞음

  • 운동강도 ↑ → 심박수·수축력 ↑ → 심근산소요구량(MVO₂) 증가
  • MVO₂는 관상동맥혈류량 증가를 유도함 (선형 관계)

ㅁ. 운동종료 후 수축기 혈압의 늦은 회복은 심근허혈과 관련이 있다.

맞음

  • 운동 종료 후에도 수축기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거나 높게 유지되면
    심박출량 감소 or 관상동맥 혈류 제한으로 인한 심근허혈 가능성을 시사함

🎯 한 줄 요약

→ HR 증가 속도, HRV, 혈압 회복, MVO₂ 반응 모두 운동부하검사의 임상적 해석 지표


🔖 해시태그

#운동부하검사 #심박수반응 #HRV #혈압회복 #MCR #심근허혈지표 #건운사기출


📌 예상문제

다음 중 운동부하검사 해석 지표로 옳지 않은 것은?

  1. HR은 1MET당 약 10bpm 증가
  2. HRV 감소는 사망률 감소와 관련
  3. 운동 후 혈압 회복 지연은 허혈 가능성 시사
  4. MVO₂는 운동강도와 선형적 관계

정답: ②번
→ HRV 감소는 사망률 증가와 관련 있음

[운동부하검사] 9번 문제

문제
<보기>에서 심부전 환자의 운동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 모두 고른 것은?


✅ 정답: ③번 (ㄱ, ㄷ, ㄹ)


📖 보기 해설

ㄱ. 검사종료 기준은 목표심박수보다 증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맞음

  • 심부전 환자는 **약물 복용(특히 β-차단제)**으로 인해 심박수 반응이 둔화
  • 따라서 HR보다 RPE, 호흡곤란, 피로감 등의 자각 증상 중심으로 검사 종료 판단

ㄴ. 브루스(Bruce), 카스틸–폭스(Castill–Fox)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틀림

  • 브루스(Bruce) 프로토콜은 운동 강도 상승 속도가 빠름 → 심부전 환자에게 과부하 가능성 있음
  • 심부전 환자에게는 노튼(Naughton) 또는 Modified Naughton, Ramp 프로토콜처럼
    점진적이고 저강도 상승 방식이 권장됨

ㄷ. 검사 후 저혈압, 부정맥, 악화되는 심부전 증상을 관찰해야 한다.

맞음

  • 운동검사 해석 시 운동 중 이상반응뿐만 아니라 운동 후 회복반응도 중요
  • 특히 수축기 혈압 회복 지연, 부정맥, 호흡곤란 악화심장기능 저하의 신호

ㄹ. 환기량(운동강도 증가 시 이산화탄소 생성량) 변화는 예후 평가에 사용된다.

맞음

  • VE/VCO₂ slope는 심부전 환자의 폐혈관 반응성, 호흡 효율성을 반영
  • 경사(slope)가 가파를수록 예후 나쁨 → 사망률 증가와 상관

🎯 한 줄 요약

→ 심부전 환자 운동검사는 증상 중심 종료, 점진적 프로토콜, VE/VCO₂ slope와 혈압 회복 관찰이 핵심


🔖 해시태그

#심부전운동검사 #운동종료기준 #RPE중심 #VEVCO2slope #건운사기출 #저강도Ramp #브루스주의


📌 예상문제

다음 중 심부전 환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운동검사 프로토콜은?

  1. Modified Naughton
  2. Ramp
  3. Bruce
  4. Naughton

정답: ③번
→ Bruce 프로토콜은 강도 증가 속도가 빨라 심부전 환자에게 부적합

 

[운동부하검사] 10번 문제

문제
우울/불안 환자의 심폐체력 운동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④번


📖 보기 해설


✔ ① 높은 우울/불안 증상은 심폐체력 감소와 관련성이 있다.

맞음

  • 정신건강과 신체건강은 상호 연결되어 있음
  • 특히 우울/불안 증상이 심할수록 신체활동량 감소 → 심폐체력 저하와 상관관계 있음
  • 관련 연구: 우울증 환자의 VO₂max 감소, HRV 저하가 흔히 관찰됨

✔ ② 운동이 처음인 환자는 운동의 생리적 반응에 대해 미리 상담하는 것이 좋다.

맞음

  • 운동에 익숙하지 않은 우울/불안 환자는 심박수 증가, 땀, 호흡 증가 자체를 위협적인 감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음
    “공황 반응” 유사 체험 가능
  • 따라서 사전 교육 및 심리적 준비 과정이 필요

✔ ③ 운동검사 중 심박수, 땀, 호흡 증가에 대한 생리적 각성의 민감도가 과하게 증가할 수 있다.

맞음

  • 불안 장애의 특성상 내부 감각(interoception)에 대한 과민성 존재
    → 작은 생리 반응에도 불안 반응이 과장됨
    → 운동검사 중 과도한 각성, 패닉 반응 유발 가능

❌ ④ 심박변이도(HRV) 증가 = 부교감신경 활성 감소 + 교감신경 항진을 의미한다.

틀림

  • HRV가 증가한다는 것은: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잘 유지되고 있고,
    부교감신경이 적절히 작동 중이라는 의미
  • HRV 감소가 오히려 교감신경 우세/부교감저하 → 자율신경 불균형을 뜻함

🎯 한 줄 요약

HRV는 부교감신경 활성의 지표이며, 증가할수록 자율신경 균형이 좋다는 뜻이다.


🔖 해시태그

#HRV #우울불안운동검사 #심박변이도해석 #운동중심리반응 #자율신경지표 #건운사기출


📌 예상문제

다음 중 HRV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RV는 자율신경계 균형을 평가하는 지표다
  2. HRV가 낮을수록 교감신경 우세 상태일 수 있다
  3. HRV가 높으면 심장질환 위험이 증가한다
  4. HRV는 스트레스나 정신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정답: ③번

 

TMI for me

✅ 미주신경과 HRV의 관계


📌 1. 미주신경이란?

  • 뇌신경 10번 (Vagus nerve)
  • 부교감신경계의 핵심 축
  • 심장, 폐, 위장, 후두, 내장까지 분포
    심장 박동수를 줄이는 작용, 안정-회복 반응 유도
    →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신경

📌 2. HRV(심박변이도)란?

  • 심박수 간격(R-R 간격)의 변화량을 의미함
  • 쉽게 말하면:
    → 심장이 “기계처럼” 일정하게 뛰지 않고
    자율신경계의 조절에 따라 미세하게 변화하는 것

💡 그럼 둘의 관계는?

HRV가 높다 = 미주신경(부교감신경) 활성도가 높다

  • 운동 후 회복기나, 명상, 안정 상태에서는
    미주신경이 심장을 느긋하게 조절
    → R-R 간격이 유동적으로 변화 → HRV 증가

HRV가 낮다 = 교감신경 우세 상태

  • 스트레스, 불안, 운동 중, 또는 질병 상태에서는
    미주신경 억제 + 교감신경 항진
    → 심장이 긴장 상태 유지 → HR이 고정된 리듬으로 빠르게 유지
    R-R 간격이 일정해짐 → HRV 감소

🧠 한 줄 정리

HRV는 미주신경의 리듬 조절 능력, 즉 부교감신경의 실시간 피드백 능력을 반영하는 생리 지표다.


🔄 연결 요약표

상태 미주신경 활동 여부 HRV 반응 의미
명상, 회복, 안정 부교감 활성, 자율신경 균형
스트레스, 불안, 교감 항진 교감 우세, 자율신경 불균형
HRV ↑ 미주신경 잘 작동 중 심장 안정 조절 가능  
HRV ↓ 미주신경 기능 저하 or 억제 회복력 저하, 위험 신호  

🎯 응용: 운동생리학과 정신건강

  • HRV 측정은 단순한 심장 지표가 아니라
    정신적 회복 탄력성(Resilience),
    불안/우울 반응 조절 능력,
    스트레스 적응력까지 보여주는 생리 지표임

🔖 해시태그

#미주신경 #HRV #부교감신경 #자율신경계조절 #심박변이도 #스트레스지표 #운동생리학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