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답: ②번. 심내막하 허혈이 관찰된다. → ❌ 틀림
🔍 보기 분석 & 이유
📌 운동부하검사 결과 요약 (35세 남성)
항목 | 수치 및 해석 |
심박수 | 90 → 172bpm (적절한 상승) |
수축기혈압 | 150 → 255mmHg (정상적 상승이나 상한치 도달) |
이완기혈압 | 운동 중 90mmHg 고정 (정상 범위, 큰 변화 없음) |
RPE | 6→17 (주관적 탈진 강도는 기준치 도달) |
→ 수축기 255mmHg는 운동 중단 기준(≥250mmHg)에 해당
→ RPE 17은 상대적 최대 노력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 가능
📌 심전도 판독 핵심 (안정 시 ECG)
- **전흉부 유도(V2~V6)**에서 T파 역위, 좌축편위, 전도지연 등 좌심실 비대 소견
→ 이건 심내막하 허혈이 아니라 **좌심실 비대(①번 보기)**에 더 부합
→ 심내막하 허혈이라면, 운동 중 ST분절 하강 or T파 변화가 있어야 하는데
현재 주어진 ECG는 안정 시 심전도임
나 : 좌심실 비대라는 판정은 V1과 V6에서 정상파형 모양보다 크기가 과하게 크면 좌심실비대로 볼 수 있음.
근데 축편위는 정상에 가깝지 않나..??
📌 보기별 해석
① 좌심실 비대가 관찰된다.
→ 맞음.
전흉부 유도에서 T파 비정상과 고전압 패턴 → LVH(좌심실 비대) 의심
② 심내막하 허혈이 관찰된다.
→ ❌ 틀림.
허혈은 운동 중 ST 변화로 판단하며, 본 심전도는 안정시 기록이라 근거 부족
③ 상대적 검사중단 기준에 해당된다.
→ 맞음.
수축기 혈압 ≥250mmHg는 상대적 운동종료 기준 (ACSM 11판 기준)
④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에서 FP(가양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맞음.
좌심실비대, 고혈압, 심전도 이상 등이 있으면 ST-T 변화가 ‘가짜 양성’으로 판독될 가능성 있음
🎯 한 줄 요약
→ 안정 시 심전도만으로 심내막하 허혈 판단은 불가. 운동 중 ST 하강 등의 증거가 있어야 함.
🔖 해시태그
#운동부하검사해석 #심전도판독 #좌심실비대 #가양성소견 #ST분절해석 #건운사기출
📌 예상문제
다음 중 안정시 심전도에서 심내막하 허혈 여부를 직접 판단할 수 있는 소견은?
- T파 역위
- ST분절 하강
- 좌축편위
- QT 간격 단축
→ 정답: 2번 (ST 하강)
→ 안정 시 ST분절 하강은 심내막하 허혈의 전형적 지표
이 문제는 12유도 심전도(ECG)에서 ST분절 변화와 관련된 심근 허혈·손상 부위를 정확히 해석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임.
ECG 소견에 따른 국소 허혈, 손상, 심근경색 위치 파악 능력을 시험하는 고난도 문제야.
이 구별은 책마다, 또는 설명하는 사람마다 약간씩 다르다. 카셉 공부할 때 이걸로 혼돈을 많이 느꼈지만 정리한 바.
이렇게 쉽게 외울 수 있다. 심전도 그래프 종이의 칸으로 외우지 말고, 동구라미를 그려서 축 그림으로 그리는게 나음.
그리고 병적 심전도 그림 먼저 외우지 말고 항상 정상 심전도가 어떻게 생겼는지 꼭 기억할것
✅ 정답: ④번 (ㄷ, ㄹ)
📖 보기 ECG 판독 요약
우선 그림을 기준으로 유도별 변화를 정리해보자:
유도 | 관찰 소견 |
II, III, aVF | ST 분절 상승 → 하벽(inferior wall) 심근손상 |
V1~V3 | ST 분절 하강 → 측벽/전벽 손상에 대한 상대적 변화 (reciprocal ST depression) |
📦 보기별 분석
❌ ㄱ. 우각차단(RBBB)이 관찰된다.
→ 틀림.
- RBBB는 QRS가 120ms 이상으로 넓고, V1/V2에서 RSR' 패턴이 나타나야 함
- 현재 QRS는 협폭이고, RSR' 패턴 없음 → RBBB 아님
우각차단, 좌각차단은 흉부유도 V1과 V6을 봐라. V1에 오른쪽 토끼귀가 없다.
❌ ㄴ. 좌심실 전중격부 허혈이 관찰된다.
→ 틀림.
- 전중격부(V1~V4)에서 ST 하강은 주 허혈 부위가 아닌 반사적 변화로 보임
- 진짜 손상은 하벽(II, III, aVF)
✔ ㄷ. 좌심실 하벽에 급성 심근 손상이 관찰된다.
→ 맞음.
- II, III, aVF에서 ST 분절 상승 → 전형적인 하벽 손상 소견
- 이는 우관상동맥(RCA) or 좌회선 동맥(LCX) 병변과 연관됨
✔ ㄹ. 좌심실 측벽에 상대적(reciprocal) ST분절 하강이 관찰된다.
→ 맞음.
- V1~V3에서 ST 하강은 하벽 손상에 대한 반사적 ST depression으로 해석 가능
- 즉, 주 병변 부위가 아닌 반대쪽 벽에 나타나는 반응
🧠 핵심 요약
유도 | 변화 해석 |
II, III, aVF ST 상승 | 하벽 심근손상 |
V1~V3 ST 하강 | reciprocal 변화 (측벽 or 반대편 반응) |
RBBB X | QRS 넓은 형태 없음 |
🔖 해시태그
#심전도해석 #ST분절상승 #하벽심근경색 #ReciprocalChange #건운사기출 #ECG분석
📌 예상문제
다음 중 하벽 심근경색의 전형적인 ST분절 변화가 관찰되는 유도는?
- V1~V4
- I, aVL
- II, III, aVF
- V5, V6
→ 정답: ③번
그나마 친절한(?) 민감도 특이도 문제다
📌 용어 정
용어 | 의미 |
TP (True Positive) | 질환 있음 + 검사 양성 |
FP (False Positive) | 질환 없음 + 검사 양성 |
FN (False Negative) | 질환 있음 + 검사 음성 |
TN (True Negative) | 질환 없음 + 검사 음성 |
📖 주어진 값
- 전체 인원: 1,000명
- 질환자(심근허혈): 300명
- 비질환자(정상): 700명
- 민감도(Se): 66% = TP / (TP + FN)
- 특이도(Sp): 84% = TN / (TN + FP)
✅ 역산하여 TP, FN, FP, TN 구하기
1. 심근허혈 300명 중 민감도 66%
2. 정상 700명 중 특이도 84%
✅ 예측도 계산
● 양성예측도 (PPV)
● 음성예측도 (NPV)
🎯 정답: ①번
- 양성예측도: 63.87%, 음성예측도: 85.22%
🔖 해시태그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PPV #NPV #민감도 #특이도 #건운사기출 #검사정확도
📌 예상문제
양성예측도(PPV)는 다음 중 어떤 비율을 의미하는가?
- 검사 양성 중 실제 질환자가 차지하는 비율
- 질환자 중 검사 양성인 비율
- 검사 음성 중 실제 정상자가 차지하는 비율
- 검사 결과와 상관없이 전체 질환 비율
→ 정답: ①번
✅ 주어진 정보 요약
- 58세 남성, 체중 70kg
- 운동 종료 시 속도: 2.5 mph, 경사도: 12%
- 종료 기준: 협심증 1+ 및 RPE 19 → 최대 운동 능력으로 간주 가능
📘 사용 공식 (ACSM 보행식)
- 단, **속도(m·min⁻¹)**로 변환 필요 → 1 mph = 26.8 m/min
- 2.5 mph=2.5×26.8=67.0 m/min
- 경사도 = 12% = 0.12
✅ 계산 과정
24.672ml 나
✅ 절대 산소섭취량 (L·min⁻¹)으로 변환
🎯 정답: ③번. 1.73 L·min⁻¹
🔖 해시태그
#운동능력추정 #ACSM보행공식 #VO2계산 #Lmin단위변환 #건운사기출
📌 예상문제
다음 중 최대 산소섭취량을 mL·kg⁻¹·min⁻¹에서 L·min⁻¹로 변환할 때 필요한 정보는?
- 심박수
- 경사도
- 체중
- RPE
→ 정답: ③번
→ 상대 단위에서 절대 단위로 변환하려면 체중 정보가 필수
최대 운동을 한 단계 2.5mph 구간의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을 곱하면 심근산소요구량이 나옴
122 * 152 = 18,544
TMI for me
* 최고 심근산소요구량의 정상범위 25,000-40,000 mmHg*beats/min
💡 협심증 환자의 RPP 특징
- **허혈 유발점(RPP 임계치)**가 낮은 경우가 많음
→ 일반적으로 RPP 18,000~22,000(= 180~220)에서 **협심증 증상(흉통)**이 발생 - 이는 심근산소공급이 부족해지는 지점임
- **협심증 치료(약물, 재활 등)**로 RPP 임계치가 올라가면 좋은 예후로 해석됨
🧠 정리 문장
RPP 180~220은 협심증 환자의 증상 유발 구간으로, 이를 넘기면 심근허혈 가능성 ↑
반면 정상인은 25,000(RPP 250) 이상도 무증상 가능
위의 58세 심혈관중재술을 받은 58세 아죠씨 해석 해보기
📊 해석 포인트별 임상 평가
1. 🔺 증상 기반 종료 (Angina 1+)
- **협심증 등급 1+**는 경미한 흉통, 자발적 중단 아님
→ 주의요소는 되지만 즉시 위험 신호는 아님
→ 단, 이후 검사에서 같은 강도에서 반복된다면 **허혈 한계점(RPP 임계점)**으로 간주 가능
2. 🩸 혈압 반응 정상 (SBP 98 → 152mmHg)
- 수축기 혈압 점진적 상승, 이완기 변화 없음
→ 정상 운동 중 혈압 반응
→ 회복기에서도 수축기 혈압 166 → 148로 감소 → 회복 양호
3. ❤️ 심박수 반응 적절 (HR 73 → 122)
- 심박수도 적절히 상승함 → HR 반응 정상
4. ⚡ PVC 관찰 (운동 중 2회)
- 운동 중 단일 PVC 2회 정도는 흔히 관찰될 수 있으며, 즉각적 중단 요인은 아님
- 단, 다형성, 빈맥성, 증상 동반 PVC는 주의해야 함 → 현재는 해당 없음
5. 🧮 RPP = 18,544
- RPP 18,000~22,000은 협심증 발생 가능 구간
→ 현재 Angina 1+와 일치
→ 이 강도 이상에서는 의학적 통제 하에 재활 시작 필요
🔍 종합 해석
평가 항목 | 해석 | 안전성 |
증상 | 경미한 협심증(1+) | ⚠️ 경계 필요 |
HR & BP 반응 | 적절한 상승/회복 | ✅ 안정 |
PVC | 저위험성 PVC | ✅ 문제 없음 |
RPP | 18,544 | ⚠️ 협심 한계점 도달 가능성 있음 |
🧠 결론
이 환자는 중등도 강도까지의 심장재활은 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는 상태야.
단, RPP가 협심 한계 근접 + 경미한 협심증 증상이 있으므로
→ 초기에는 의료 감독 하 저강도부터 시작, 이후 심근허혈 반응 유무를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점진적 진행이 권장돼.
🩺 실전 권장사항 (의료·재활 현장 기준)
- 초기 운동 강도: HRreserve 기준 40~50% 수준부터 시작
- RPP가 18,000 이하에서 증상 없도록 조절
- 매회 운동 중 협심증, PVC, HR 회복 속도 기록 필수
- 심전도 모니터링 하 시작, 1~2주 후 재평가
✅ 핵심 해설
📌 디지탈리스(Digitalis)란?
- 심부전, 심방세동 치료에 쓰이는 강심제
- 대표적 예: 디곡신(digoxin)
- 작용: 심근 수축력 ↑, 부교감신경 ↑ → 심박수 감소
📉 운동부하검사에 미치는 영향
- 디지탈리스는 **안정 시 ECG에도 ST분절 하강(2mm까지 가능)**을 유발할 수 있음
- 이는 **허혈(심근손상)**과 구분이 어렵고, **운동 중 ST분절 하강을 가짜 양성(가양성, false positive)**으로 만들 수 있음
❗결론: 가양성(FP)이 증가 → 특이도(Specificity) 감소
용어 | 설명 |
민감도(Sensitivity) | 질환이 있을 때 양성으로 나올 확률 (TP ↑ → 민감도 ↑) |
특이도(Specificity) | 질환이 없을 때 음성으로 나올 확률 (FP ↑ → 특이도 ↓) |
디지탈리스 복용 → ST 하강 유발 → 정상인데 양성 나옴(FP ↑)
→ 검사의 특이도 감소
🧠 정리 문장
디지탈리스 복용 중 운동부하검사는 ST 하강을 유발하여 가양성 결과를 초래, 이로 인해 검사의 특이도가 감소함.
🔖 해시태그
#디지탈리스 #가양성 #특이도감소 #운동부하검사 #ST분절하강 #약물이상반응
📌 예상문제
디지탈리스 복용 환자에게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할 경우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 민감도가 증가한다
- ST 상승이 흔히 발생한다
- 특이도가 감소할 수 있다
- 협심증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
→ 정답: ③번
TMI for me
민감도를 떨어뜨리는 요인(가음성↑) vs **특이도를 떨어뜨리는 요인(가양성↑)**을
명확하게 비교 정리해줄게.
✅ 용어 정리
용어 | 의미 | 예시 |
민감도(Sensitivity) | 질환이 있을 때 정확히 양성으로 나올 확률 | 낮으면 가음성(false negative) 증가 |
특이도(Specificity) | 질환이 없을 때 정확히 음성으로 나올 확률 | 낮으면 가양성(false positive) 증가 |
🔻 민감도를 떨어뜨리는 요인 (가음성 ↑)
질병이 있는데도 음성으로 잘못 나옴 → 위험 간과
구분 | 대표 요인 |
🧪 약물 영향 | β차단제, 칼슘차단제, 니트로글리세린 → HR & BP 반응 저하 → 허혈 반응 덜 나타남 |
💓 허혈 역치↑ | 잘 훈련된 환자,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만 좁아진 경우 |
🚫 운동 부족 | 검사 중 충분한 부하에 도달하지 못함 (RPP 낮음, 탈진 전 종료) |
🧍♂️ 부정확한 모니터링 | ST 분절 변화 등 관찰 놓침 |
😷 질병 단계 | 초기 협심증 등 허혈이 미세할 때 |
➡️ 검사 강도가 부족하거나, 반응이 숨겨져서 놓치는 경우
🔻 특이도를 떨어뜨리는 요인 (가양성 ↑)
질병 없는데 양성으로 잘못 나옴 → 불필요한 추가 검사 초래
구분 | 대표 요인 |
💊 약물/질환 영향 | 디지탈리스, 좌심실비대, 전도장애(RBBB 등) → ST 변화 유사 패턴 유발 |
🩺 기저 심전도 이상 | 비정상 ST-T 변화가 baseline에서 이미 존재 |
🧠 고령/여성 | 여성은 ST변화에 민감한데 실제 허혈은 없는 경우 많음 |
🦵 근골격계 문제 | 운동 중 artifacts, 체형 왜곡 등 |
🧪 해석 오류 | ST 하강이 비허혈성 변화일 때 구별 못함 |
➡️ ST분절 하강 등 허혈 유사 반응이 있지만 실제 심근허혈은 아님
🧠 비교 정리표
구분 | 민감도 감소(가음성 상승) | 특이도 감소 (가양성 상승) |
약물 | β차단제, 혈관확장제 | 디지탈리스 등 |
해석 오류 | ST변화 간과 | ST변화 과해석 |
반응 강도 | 운동 강도 부족 | 정상 반응을 병적으로 오해 |
대표 임상 | 증상이 있는데도 ECG 음성 | ECG는 양성인데 관상동맥 정상 |
🎯 한 줄 요약
민감도 ↓ = 허혈 반응을 못 잡음(위험한 상태를 놓침)
특이도 ↓ = 실제 정상인데 허혈처럼 보임(불필요한 검사 유도)
이 문제는 양극성과 단극성 사지유도의 전극 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극 하나(RA)가 빠졌을 때 어떤 유도가 남는가를 묻는 문제야.
✅ 핵심 포인트
📌 문제 상황
- RA(Right Arm) 전극이 떨어짐
→ 즉, RA 전극이 관여하는 유도는 신호 형성이 불가
📖 사지유도 전극 구성
유도 전극 | (기록전극+) - (기준전극-) |
Lead I | LA - RA ❌ (RA 필요) |
Lead II | LL - RA ❌ (RA 필요) |
Lead III | LL - LA ✅ (RA 불필요 → 사용 가능!) |
aVR | RA - (LA+LL) ❌ (RA 필요) |
aVL | LA - (RA+LL) ❌ |
aVF | LL - (RA+LA) ❌ |
✅ 결론:
→ RA 전극이 빠지면 Lead III만이 유일하게 신호 유지 가능
(LL과 LA만 사용하기 때문)
🎯 한 줄 요약
RA 전극이 떨어졌을 때도 사용할 수 있는 유도는 LL-LA로 구성된 Lead III뿐이다.
🔖 해시태그
#사지유도구성 #RA전극손실 #LeadIII #전극결손 #운동부하ECG판독\
[운동부하검사] 18번 문제 풀이
📌 문제 요약
고혈압 환자(50세 남성)가 안정 시 이완기혈압(DBP) >110 mmHg로 측정되었음. 운동부하검사를 진행해도 되는지에 대한 운동전문가의 판단을 묻는 문제임.
🔎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판) 기준 확인
“Relative contraindications to exercise testing include... diastolic blood pressure >110 mm Hg at rest.”
→ 즉, 운동검사의 상대적 금기(RC) 상황임.
- 상대적 금기(Relative Contraindication)는 의학적 판단 또는 허가에 따라 검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
- 반면, 절대적 금기(Absolute Contraindication)는 무조건 검사 금지.
📌 DBP >110 mmHg는 상대적 금기에 해당되므로,
→ 운동전문가는 **의료적 판단(의사 허가)**이 필요함.
✅ 정답: ② 의료적 허가에 따라 검사 실시 여부를 결정한다.
❌ 오답 체크
① 검사를 무조건 취소한다
→ 오답. 이건 **절대적 금기(Absolute contraindication)**일 때 해당됨. DBP >110mmHg는 상대적 금기임.
③ 혈압약을 복용시킨 후 최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 오답. 약 복용 후 무작정 검사하는 것은 위험. 반드시 의사의 판단이 필요함.
④ 휴식 후 이완기혈압이 100 mmHg로 떨어지면 검사 실시
→ 오답. 안정 시 혈압이 떨어졌더라도, 다시 상승할 수 있음. 의료적 평가 후 결정 필요.
📚 핵심 개념 정리 (중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 안정 시 이완기혈압이 110 이상이면, 운동검사를 하려면 의사 허가가 있어야 함.
- 무조건 하면 안 되고, **판단을 맡겨야 하는 상황(RC)**이기 때문에 스스로 결정하지 않음.
🧠 한 줄 요약
🔴이완기혈압(DBP)>110mmHg는 상대적 금기 → 반드시 의사의 허가 후 결정함.
🔖 해시태그
#운동부하검사 #상대적금기 #고혈압 #ACSM11판 #이완기혈압 #운동금기 #의료적판단
📌 예상문제
문제: 안정 시 수축기혈압이 >200mmHg이면 운동부하검사의 판단은?
① 무조건 검사 진행
② 검사 후 경과 관찰
③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검사 결정
④ 운동검사를 즉시 중단
정답: ③
해설: 수축기혈압 >200mmHg는 **상대적 금기(RC)**이므로 의사의 판단이 필요함.
특별히 그래프를 보고 회귀방정식을 이용해 값을 산출해내야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신규 유형의 문제로 많은 사람들이 당황했을 것 같다. 나도 처음에 보고 속으로 개쪼겠는데 별거 업드라..
보기를 순서대로 따라가서 값을 찾고 점을 찍어보면 마지막 CAD 사후 검사 예측확률이 맞는 숫자인지만 보면 된다.
[운동부하검사] 20번 문제 풀이
📌 문제 요약
AACVPR(미국심폐재활협회)의 위험분류 기준에 따라
주어진 사례가 어떤 위험군(low/moderate/high risk) 에 해당하는지를 묻는 문제임.
🔎 <보기> 내용 핵심 요약
- 심혈관중재술 이후
- 합병증 없음
- 좌심실 박출률(LVEF) >50% → 🔵정상 범주
- 검사 중 심전도 이상, 혈역학적 이상 없음
- 운동능력: 7.5 METs 도달 후 종료
→ 검사 중 증상이 없고, 좌심실 기능도 정상이며, 운동능력도 비교적 양호함.
📚 ACSM 11판 + AACVPR 위험분류 기준 요약
✅ 저위험군 (Low Risk)
- LVEF ≥ 50%
- 운동 중 협심증 없음
- 심전도 이상 없음
- 운동능력 ≥ 7 METs
→ 보기에서 거의 모두 해당함
🔶 중위험군 (Moderate Risk)
- LVEF 40~49%
- 운동 중 협심증 또는 심전도 이상
→ 해당 없음
🔴 고위험군 (High Risk)
- LVEF <40%
- 심실 부정맥, 혈역학적 불안정성, 운동 중 증상
→ 해당 없음
✅ 정답: ① 저위험군
🧠 한 줄 요약
🟢 LVEF >50%, 운동 중 증상 없음, METs 7.5 도달 = AACVPR 저위험군 기준에 해당함.
🔖 해시태그
#AACVPR #운동부하검사 #위험분류 #LVEF #METs #저위험군 #심폐재활
📌 예상문제
문제: LVEF가 42%이고, 운동 중 심전도 ST분절 하강이 발생한 경우는 어떤 위험군인가?
① 저위험군
② 중위험군
③ 고위험군
④ 초고위험군
정답: ③
해설: LVEF 40~49%는 중위험 기준이나, **운동 중 ST분절 이상(심전도 이상)**은 고위험군에 해당함.
'🔴건강운동관리사🔴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20번 기출풀 (개념정리포함) (0) | 2025.04.21 |
---|---|
2024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0번 기출풀 (개념정리포함) (0) | 2025.04.21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기출풀이 11-20번 (개념정리포함) (1) | 2025.04.20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기출풀이 1-10번 (개념정리포함) (0) | 2025.04.20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