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24년도 기출문제풀이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기출풀이 1-10번 (개념정리포함)

by 둔근해 2025. 4. 20.
반응형

[운동상해 1번 문제]
**손상평가에 대한 특수검사(special test)**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문항

정답: ② ㄱ, ㄹ


🔍 각 보기 분석


ㄱ. 바깥돌림(Kleiger) 검사 – 발목 삼각인대 손상 평가
✅ 맞음

  • Kleiger’s Test는 발을 외회전(Eversion)시키면서 통증이 유발되면 삼각인대(Deltoid ligament) 손상을 의심할 수 있음
  • 특히 **고(高) 발목 염좌(high ankle sprain)**나 경비 인대(syndesmosis) 손상 평가에도 응용됨

ㄴ. 슬로컴(Slocum) 검사 – 엉덩정강띠의 긴장 평가
❌ 틀림

  • Slocum test는 무릎의 전방십자인대(ACL) 손상 중에서도 **회전성 불안정성(rotatory instability)**을 평가하는 검사임
  • 엉덩정강띠(ITB)와 무관함
    ✅ 바른 해석: Slocum 검사 – 무릎 회전성 불안정성(anterolateral or anteromedial instability) 평가

ㄷ. 오버(Ober) 검사 – 무릎 불안정성 평가
❌ 틀림

  • Ober’s Test는 **엉덩정강띠(IT Band)**의 단축/긴장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임
  • 무릎이 아니라 **고관절 외측 구조(특히 TFL과 ITB)**의 긴장을 평가함
    ✅ 바른 해석: Ober 검사 – 엉덩정강띠(IT band) 단축 평가

ㄹ.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 검사 – 목 신경뿌리(cervical nerve root) 평가
✅ 맞음

  • Brachial plexus compression/distraction test는 경추 신경근 압박 여부를 확인하는 특수검사임
  • 교통사고나 격투 스포츠에서 흔한 버너/스팅어 증후군(Burner/Stinger) 감별에 사용됨

📌 핵심 정리 (10줄 이내)

  • 특수검사는 해당 구조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병변을 유도하는 검사임
  • Kleiger 검사: 발목 외회전 유도 → 삼각인대 또는 고발목염좌 평가
  • Slocum 검사: 무릎의 전방십자인대 + 회전성 불안정성 평가
  • Ober 검사: 엉덩정강띠(ITB) 단축 여부 평가 (고관절 외측)
  • Brachial Plexus Test: 경추 신경근 압박 여부 확인

🔖 해시태그
#운동상해 #특수검사 #KleigerTest #OberTest #BrachialPlexus #SlocumTest #정강인대손상 #ITB단축 #경추신경근


📝 예상문제
문제: 다음 중 엉덩정강띠(IT Band)의 단축을 평가하는 특수검사는?
① Slocum Test
② Ober Test
③ Hawkins-Kennedy Test
④ Spurling Test

정답:
해설: Ober Test는 측와위에서 다리를 뒤로 젖히며, IT Band 단축 시 다리가 수평선 위로 유지됨.

[운동상해 2번 문제]
설명에 해당되는 손상을 고르는 문제

정답: ① 아킬레스 힘줄병증 (Achilles tendinopathy)


🔍 <보기> 키워드 분석

  • 섬유화(fibrosis), 흉터(scarring)
    → 조직의 만성적 퇴행성 변화
  • 장딴지근(gastrocnemius), 가자미근(soleus)
    → 아킬레스건에 연결되는 주된 근육들
  • 유연성 감소, 점핑·러닝 등 반복적 사용, 인장응력(tensile stress)
    → 과사용(overuse)으로 인한 힘줄 손상 가능성

이 모든 조건은 아킬레스건의 만성 퇴행성 손상, 즉 아킬레스 힘줄병증을 잘 설명함.


❌ 오답 분석

급성 구획증후군 (acute compartment syndrome)

  • 근막 내 압력 증가로 신경·혈류 차단
  • 급성 손상 + 응급상황 + 통증, 감각 이상
  • “섬유화”, “유연성”, “반복 사용”과는 관련 없음

만성 발목 불안정 (chronic ankle instability)

  • 반복 염좌로 인한 인대 기능 저하
  • 불안정성이 주요 문제지, 인장 스트레스나 근육 유연성과는 무관

발목굴 증후군 (tarsal tunnel syndrome)

  • 경골신경 압박 → 발바닥 감각 이상
  • 신경 문제이며 힘줄 스트레스와는 관련 없음

📌 핵심 개념 정리

  • Achilles tendinopathy는 반복된 인장 스트레스, 유연성 감소, 과사용으로 생기는 만성 힘줄 질환
  • 초기에는 염증성 변화(tendinitis), 이후 섬유화, 흉터화, 퇴행성 변화(tendinosis)로 진행됨
  • 치료에는 스트레칭, 염증 조절, 점진적 부하 훈련이 중요함

🔖 해시태그
#아킬레스건염 #AchillesTendinopathy #운동상해 #힘줄병증 #섬유화 #반복사용손상 #인장응력


📝 예상문제
문제: 다음 중 아킬레스 힘줄병증의 위험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딴지근과 가자미근의 유연성 감소
② 점프 동작의 반복
③ 발목 외측 인대 파열
④ 과도한 신장성 부하

정답:
해설: 외측 인대 파열은 발목 불안정성과 관련 있으며, 아킬레스 힘줄병증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운동상해 3번 문제]
발목관절의 인대 손상 검사방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는 문제

정답: ④ ㄷ, ㄹ


🔍 각 보기 분석


ㄱ. 톰슨(Thompson) 검사
❌ 틀림

  • 아킬레스건 파열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임
  • 환자 엎드린 자세에서 장딴지근(종아리)을 짜면 발이 저절로 저측굴곡(plantarflexion) 되어야 정상
  • 인대가 아니라 힘줄 손상 검사

ㄴ. 윈들라스(windlass) 검사
❌ 틀림

  • 족저근막염(Plantar fasciitis) 평가
  • 발가락 신전을 유도하여 족저근막 통증 여부 확인
  • 역시 인대 손상이 아니라 근막/연부조직 문제 평가

ㄷ. 앞당김(anterior drawer) 검사
✅ 맞음

  • 발목의 전거비인대(ATFL: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손상 확인
  • 가장 흔한 발목 염좌 인대로, 앞당김 검사 시 경골에 대해 거골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면 양성

ㄹ. 목말뼈 경사(talar tilt) 검사
✅ 맞음

  • 발목의 종비인대(CFL: Calcaneofibular Ligament) 손상 확인
  • 발을 내번(inversion)시켜 과도한 각도가 나타나면 양성

📌 핵심 정리 (10줄 이내)

  • 발목관절의 가장 흔한 인대 손상외측측부 인대(ATFL, CFL)
  • 🟥 앞당김 검사: 전거비인대(ATFL) 평가
  • 🟥 목말뼈 경사 검사: 종비인대(CFL) 평가
  • ❌ Thompson 검사: 아킬레스건 평가
  • ❌ Windlass 검사: 족저근막염 평가

🔖 해시태그
#운동상해 #발목염좌 #ATFL #CFL #인대손상검사 #AnteriorDrawerTest #TalarTiltTest


📝 예상문제
문제: 다음 중 발목 외측측부 인대 손상을 평가하는 검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nterior drawer test
② Talar tilt test
③ Windlass test
④ Inversion stress test

정답:
해설: Windlass test는 족저근막 평가 검사로 인대 손상과는 무관함.

[운동상해 4번 문제]
조직부하(tissue loading)의 유형이 동일한 것을 고르는 문제

정답: ① ㄱ, ㄹ


🔍 각 보기 분석 + 해당 부하 유형


ㄱ. 발등굽힘에 의한 아킬레스힘줄 손상 발생
→ 아킬레스건은 **신장성 부하(tensile loading)**를 받음
→ 갑작스럽거나 반복된 신장성 부하(tensile stress)에 의해 손상
Tensile loading


ㄴ. 피부에서 포진, 찰과상 발생
→ 피부는 외부에서 **접선 방향 마찰력(shear stress)**에 의해 손상됨
Shear loading


ㄷ. 넙다리곧은근의 과신장(overstretching) 손상 발생
→ 근육 또는 건이 과하게 늘어나면서 손상
Tensile loading
→ ㄷ도 사실은 신장성 부하에 해당하지만, ㄱ·ㄹ과 묶인 보기에 없어서 오답 처리됨


ㄹ. 반복적인 점프 동작에 의한 척추 디스크 손상 발생
→ 척추 디스크는 위에서 아래로 반복되는 **압축력(compression)**으로 인해 손상
Compression loading

📌 핵심 개념 정리

조직 부하 유형설명예시
조직 부하 유형 설명 예시
Tensile 조직이 잡아당겨짐 아킬레스건 손상, 과신장
Compression 위에서 누르는 힘 디스크 손상, 골절
Shear 평면에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힘 찰과상, ACL 손상
Torsion 꼬임 골절, 십자인대 손상
Bending 휘는 힘 대퇴골 피로 골절

🔖 해시태그
#조직부하 #TissueLoading #TensileStress #CompressionStress #운동상해 #부상기전


📝 예상문제
문제: 반복적인 축 방향 압축(compression)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은?
① 아킬레스건 파열
② 척추 추간판 탈출증
③ 슬개건염
④ 엉덩정강띠 마찰증후군

정답:
해설: 추간판(디스크)은 압박(compression)에 취약하며, 반복적인 압축력은 디스크 손상을 유발함.

종아리 4구획은 기출로 꽤 나오는 듯.

암기 ㄱㄱ

 

정답은 2번

 

[운동상해 6번 문제]
힘줄 반사(deep tendon reflex, DTR) 평가에 대한 옳은 설명을 고르는 문제

정답: ④ ㄷ, ㄹ


🔍 각 보기 분석


ㄱ. 평가 결과는 1~5까지 다섯 등급이다.
❌ 틀림

  • DTR 평가는 일반적으로 0~4까지의 5단계 등급으로 평가함
    • 0: 반사 없음
    • 1: 저반사(hyporeflexia)
    • 2: 정상 반사
    • 3: 과반사(hyperreflexia)
    • 4: 클로누스(clonus, 지속성 반응)
  • “15”가 아니라 “**04**”이므로 틀린 설명

ㄴ. 신경 뿌리 수준 L2는 평가할 수 없다.
❌ 틀림

  • L2~L4는 **무릎반사(knee jerk, patellar reflex)**의 반사궁에 포함됨
  • 따라서 L2는 충분히 평가 가능함

ㄷ. 정상 등급은 2등급이다.
✅ 맞음

  • DTR의 **정상 반응은 2+**로 간주됨

ㄹ. 신경 뿌리 수준 C5는 근육피부신경(musculocutaneous)을 평가한다.
✅ 맞음

  • **이두근반사(biceps reflex)**는 C5 신경근 + musculocutaneous nerve를 반영
  • 따라서 근육피부신경 기능과 C5 신경근 반사 기능을 함께 볼 수 있음

📌 핵심 정리 (10줄 이내)

  • DTR 등급: 0(없음)~4(과도한 반사), 2+가 정상
  • C5: 이두근반사 → 근육피부신경
  • C6: 완요근반사(brachioradialis reflex)
  • C7: 삼두근반사
  • L2~L4: 무릎반사 (대퇴사두근, 슬개건)
  • S1: 발목반사 (아킬레스건)

🔖 해시태그
#힘줄반사 #DeepTendonReflex #DTR #신경학검사 #근육피부신경 #C5반사 #정상등급2


📝 예상문제
문제: 다음 중 아킬레스건 반사에 해당하는 신경근 수준은?
① L4
② S1
③ C7
④ C5

정답:
해설: 아킬레스건 반사는 S1 신경근과 경골신경(tibial nerve)을 평가하는 검사임.

DTR 깊은힘줄반사 테스트 정리

 

[운동상해 7번 문제]
**신경근 수준(nerve root level)**과 그에 해당하는 운동기능 검사(motor test) 연결을 묻는 문제

정답: ③ C4 – 어깨 올림 (shoulder shrug)


🔍 보기별 분석


C2 – 팔꿈치 관절 굽힘 & 손목 폄
❌ 틀림

  • C2는 주로 목 굽힘(neck flexion), 회전 기능
  • 팔꿈치 굽힘은 C5, 손목 폄은 C6와 관련됨

C3 – 어깨 벌림 (shoulder abduction)
❌ 틀림

  • 어깨 벌림(abduction)은 C5의 대표 기능
  • C3는 목 측굴, 굽힘 정도에 해당함

C4 – 어깨 올림 (shoulder shrug)
✅ 맞음

  • C4는 승모근(Trapezius),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지배
    어깨 으쓱임(shoulder shrug) 기능이 핵심
  •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정확한 연결

C5 – 목 가쪽굽힘 (neck lateral flexion)
❌ 틀림

  • C5는 어깨 벌림(abduction), 팔꿈치 굽힘 등의 기능
  • 목의 가쪽굽힘은 C3~C4 영역에 가까움

📌 척수 신경근별 주요 근육 및 기능 요약

신경근주요 동작대표 근육
신경근 주요 동작  대표근육
C1~C2 목 굽힘, 회전 SCM 등
C3 목 측굴 Scalenes 등
C4 어깨 올림 Trapezius
C5 어깨 벌림 Deltoid
C6 팔꿈치 굽힘, 손목 폄 Biceps, ECR
C7 팔꿈치 폄, 손가락 폄 Triceps, ED
C8 엄지 신전 EPL
T1 손가락 모음 Interossei

🔖 해시태그
#척수신경 #운동기능검사 #C4 #ShoulderShrug #신경근 #근육기능평가 #운동상해


📝 예상문제
문제: 손목을 신전(extention)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 신경근 수준은?
① C4
② C5
③ C6
④ C7

정답:해설: 손목 폄(wrist extension)은 C6와 관련된 근육(ECR, extensor carpi radialis)이 주로 작용함.

2025.04.05 - [🦴기능해부학, 운동역학/필수개념정리] - [기능해부학] 상지 하지 신경근 수준별 근육 기능, 반사, 테스트, 손상 암기

 

[기능해부학] 상지 하지 신경근 수준별 근육 기능, 반사, 테스트, 손상 암기

쉽게 말해, 우리 척수에서 삐져나오는 신경근은 척수 기둥 다음으로 두꺼운 뿌리(root)를 시작으로 여러 잔가지로 나뉘고, 그 나뉜 가지들 끝에 근육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붙어서 지배를 하게 됨.

corebox21.tistory.com

[운동상해 8번 문제]
도수근력검사(MMT: Manual Muscle Test)의 근력 등급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

정답: ②


🔍 각 보기 분석


0등급: 자발적인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음
✅ 맞음

  • 0등급은 no contraction, 아무런 움직임이나 수축도 없음

1등급: 도수 저항과 중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모든 운동범위에서 움직임 가능
❌ 틀림

  • 1등급(Trace)은 근수축은 느껴지나 관절의 움직임이 없음
  • 모든 ROM에서 움직임 가능3등급 이상에서 해당하는 말임
    ✅ 바르게 고치면: 근육의 수축은 촉지되나 관절의 움직임은 없음

3등급: 도수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중력에 대항하여 모든 운동범위에서 움직임 가능
✅ 맞음

  • 3등급(FAIR)은 중력만 이겨낼 수 있는 수준이며 도수저항에는 대응 불가

5등급: 중력에 대항하여 모든 운동범위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며 최대 도수 저항에 대항하여 움직임 가능
✅ 맞음

  • 5등급(NORMAL)은 완전 ROM + 최대 저항 대항 가능

📌 MMT(Manual Muscle Test) 근력등급 요약

등급명칭설명
등급 명칭 설명
0 Zero 근수축 없음
1 Trace 근수축 촉지되나 움직임 없음
2 Poor 중력 제거 시 움직임 가능
3 Fair 중력에 대항하여 전체 ROM 가능
4 Good 중력 + 중등도 저항 대항 가능
5 Normal 최대 저항 대항 가능

🔖 해시태그
#MMT #근력등급 #도수근력검사 #운동상해 #ManualMuscleTest #재활기초


📝 예상문제
문제: 다음 중 MMT 2등급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근수축은 느껴지지만 관절 움직임은 없음
② 중력 제거 시 일부 범위에서만 움직임 가능
③ 중력에 대항하여 전체 ROM에서 움직임 가능
④ 최대 저항에 대항하여 움직임 가능

정답:
해설: 2등급은 중력을 제거한 상태(예: 수평면)에서 전 ROM 또는 일부 ROM 가능함.

 
 

[운동상해 9번 문제]
설명에 해당하는 질환을 고르는 문제

정답: ④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 <보기> 키워드 분석

  1. 표피 감각 과민 (allodynia, hyperesthesia)
    → 약한 자극에도 통증 과도
  2. 손상의 정도와 통증이 비례하지 않음
    → "불규칙적 증가"
  3.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 CRPS의 예전 명칭
  4. 자율신경 및 염증 변화
    → 발적, 땀 변화, 부종 등 자율신경 증상 동반

위 네 가지는 전형적인 CRPS 특징


📚 CRPS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요약

항목설명
항목 설명
다른 이름 RSD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원인 외상, 수술, 골절 후 신경 및 교감신경 이상 반응
증상 과민감각, 부종, 온도 변화, 피부 색 변화, 통증 과도
특징 손상 정도와 통증이 일치하지 않음, 자율신경 증상 동반

❌ 오답 분석

배안신경얼기 타격: 급성 복통 유발되지만 감각 이상, 교감신경 변화와 무관
칸디다증: 진균 감염 (피부/점막), 통증은 있으나 신경병성 통증 아님
가이온굴 자신경 압박: 말초신경병증, 국소적 저림/약화 → CRPS처럼 전신 자율신경 변화 없음


🔖 해시태그
#CRPS #복합부위통증 #ReflexSympatheticDystrophy #신경병성통증 #자율신경증상


📝 예상문제
문제: 다음 중 CRPS의 전형적인 증상이 아닌 것은?
① 손의 부종과 색 변화
② 압통과 과도한 감각 반응
③ 근력 증가와 운동성 증가
④ 자율신경 이상 증상

정답:
해설: CRPS는 감각 이상, 부종, 자율신경 증상과 함께 근력 감소운동 제한이 특징임.

[운동상해 10번 문제]
PNF 하지를 기준으로 한 D1 Extension 패턴에서의 발목/발가락 움직임을 묻는 문제

정답: ④ 발바닥굽힘 + 가쪽번짐 + 발가락 굽힘


🔍 PNF D1 Extension 하지를 정확히 기억하려면 다음처럼 외우면 좋아:


📌 하체 PNF D1 패턴

구분HipKneeAnkleToes
구분 엉덩관절 무릎 발목 발가락
D1 Flexion 굽힘(Flex), 가쪽돌림(ER), 모음(ADD) 굽힘 or 폄 발등굽힘 + 안쪽번짐
D1 Extension 폄(Ext), 안쪽돌림(IR), 벌림(ABD) 발바닥굽힘 + 가쪽번짐 굽힘

📌 그래서 D1 Extension의 핵심 패턴은

  • 발목: 발바닥굽힘(plantar flexion) + 가쪽번짐(eversion)
  • 발가락: 굽힘(flexion)

→ 이게 딱 보기 ④번


❌ 오답 분석

① 발등굽힘 + 안쪽번짐 = D1 Flexion 패턴임

② 발등굽힘은 flexion 계열, 가쪽번짐은 extension 계열 → 조합이 이상함

③ 발바닥굽힘 + 안쪽번짐은 D2 Extension 쪽에 더 가까움


🔖 해시태그
#PNF #D1Extension #하지패턴 #발바닥굽힘 #가쪽번짐 #PNF패턴정리 #운동상해


📝 예상문제
문제: 하지 PNF D2 Flexion 패턴에 해당하는 발목과 발가락의 움직임은?
① 발등굽힘 + 가쪽번짐, 발가락 폄
② 발바닥굽힘 + 안쪽번짐, 발가락 굽힘
③ 발등굽힘 + 안쪽번짐, 발가락 굽힘
④ 발바닥굽힘 + 가쪽번짐, 발가락 폄

정답:
해설: D2 Flexion은 발등굽힘(dorsiflexion) + 가쪽번짐(eversion) + 발가락 폄(extension) 조합임.

PNF 상체. 하체 패턴 외우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