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뼈(cervical vertebrae)**의 구조적 특징을 묻는 문제고,
정답은 정확히 ②번이 맞아 – 틀린 설명이기 때문이지.
✅ 정답: ② – “목뼈 척추뼈구멍은 아래로 갈수록 넓어진다” → ❌ 틀림
🔍 보기별 해설
① 고리뼈(atlas)는 가장 큰 척추뼈구멍을 지닌다
✔️ 맞는 설명
- 고리뼈(C1)는 척수와 연수의 연결부를 감싸야 하므로
→ **척추뼈구멍(vertebral foramen)**이 가장 넓음
→ 뇌줄기 보호 목적
② 목뼈 척추뼈구멍은 아래로 내려갈수록 넓어진다
❌ 틀림
- 실제로는 점점 좁아진다
- 상부 경추(C1~C3)는 뇌간 통로 때문에 구멍이 크고,
하부로 갈수록 척수 단면만 지나가므로 내경이 작아짐
③ 중쇠뼈(axis)의 가로돌기는 뭉툭하고, 근육이 부착된다
✔️ 맞는 설명
- 중쇠뼈(C2)는 치돌기(dens)로 회전 가능
- 가로돌기에는 사각근류나 두판상근 등이 붙어 회전 조절
④ 솟은뼈(C7)의 가시돌기는 가장 길고, 등쪽에서 만져짐
✔️ 맞는 설명
- C7 = vertebra prominens
→ 다른 경추보다 가시돌기가 길고 돌출
→ 목-등 경계의 촉진 기준점
✍️ 한 줄 요약
목뼈의 척추뼈구멍은 위쪽(C1~C2)이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진다.
C7의 가시돌기는 가장 뚜렷하게 돌출된다.
🔖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경추해부학 #척추뼈구멍 #C1 #C7 #고리뼈중쇠뼈
다음은 예상문제로 고리뼈/중쇠뼈 비교 변형해볼까?
예를 들면 이런 식 👇
🧩 예상문제
다음 중 고리뼈와 중쇠뼈의 구조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리뼈에는 척추체가 없다
② 중쇠뼈에는 치돌기(dens)가 존재한다
③ 고리뼈의 가로돌기에는 추공이 존재하지 않는다
④ 중쇠뼈는 회전 운동의 축이 된다
✅ 정답: ③
→ 고리뼈의 가로돌기에도 추공(transverse foramen) 존재함 (모든 경추의 공통 구조=횡돌공. 오직 경추에만 잇)
횡돌공은 척추 동맥, 정맥, 교감신경얼기가 지나감.
이건 운동역학/기능해부학에서 자주 나오는 속도-변위 그래프 해석 문제야!
속도 그래프를 보고 → 변위 그래프를 고르는 유형이고,
정답은 정확히 ①번이 맞음 😼
✅ 정답: ①번
📌 문제 포인트 요약
주제:
수직 점프 시 신체중심(center of mass)의 속도 변화 → 변위 그래프 추론
🔍 <보기> 속도 그래프 구조 분석
- ㄱ → ㄴ: 속도 음수 → ↓ 방향으로 떨어지고 있음 (낙하 중)
- ㄴ: 속도 최저점 = 가속도 방향과 반대
- ㄷ → ㄹ: 속도 증가, 0 되는 지점은 속도 = 0 (ㄷ은 최저점)
- ㅁ : 속도가 0이 되는 지점은 변위의 위치가 가장 높은 지점 (최고점)
즉, 그래프에서 속도 0이 되는 지점은 ‘변위의 극값’,
속도가 음수 → 변위 감소
속도가 양수 → 변위 증가
🧠 핵심 해석 포인트
- 속도 곡선의 아래쪽 → 변위 감소
- 속도 0이 되는 시점 → 변위 극값
- 속도 0인데 아래에서 올라오면 → 최저점
- 속도 0인데 위에서 내려오면 → 최고점
📈 ①번 변위 그래프가 정답인 이유
- ㄱ ~ ㄷ까지: 속도가 음수 → 변위가 줄어든다 (↓)
- ㄷ = 속도 0 → 변위는 최저점 (그래프 하단 곡률)
- ㄷ ~ ㅂ까지: 속도 양수 → 변위가 다시 증가 (상승)
→ 이 조건을 정확히 만족하는 건 ①번 그래프 뿐!
❌ 오답 검토
- ②: 최저점 위치가 틀림 (변위 최저점이 속도 최소점과 안 맞음)
- ③: 변화 곡선이 너무 일직선
- ④: 상승 타이밍이 어긋남
✍️ 한 줄 요약
“속도 그래프에서 0되는 지점은 변위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이고,
속도의 부호에 따라 변위는 증가 또는 감소한다.”
🔖 해시태그
#운동역학 #속도변위그래프 #중심이동 #기능해부학 #건운사기출
✅ 정답: ③번 – 전경골근은 달리기에서 보행보다 더 많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 보기별 해설
① 장딴지근 (비복근, gastrocnemius)
- ✅ 맞는 설명
- 입각기 후반 → 지면 밀어내는 순간
- 발목을 굽히는 발바닥 굴곡 (plantar flexion) 동작에서
- 지면반력 최대 → 비복근 근활성도 최고
② 큰볼기근 (대둔근, gluteus maximus)
- ✅ 맞는 설명
- 입각기 초반, 체중을 수직으로 지탱하면서 힙 신전
- 달리기에서 지면 충격 흡수+상체 지지 역할
- 근활성도 매우 큼
③ 전경골근 (tibialis anterior)
- ❌ 틀림
- 보행 시 발끝 들기 + 발의 컨트롤 위해 활성화됨
- 달리기에서는 지면 접촉 시간이 짧고 낙하가 빠르기 때문에
→ 전경골근의 작용 시간 자체가 짧아지고
→ 근활성도가 오히려 보행보다 낮을 수 있음
④ 넙적다리곧은근 (rectus femoris)
- ✅ 맞는 설명
- 달리기 중 입각기 후반 & 유각기 초반에
→ 고관절 굴곡 + 무릎 폄 조절
→ 보행보다 높은 근활성도 보임
✍️ 한 줄 요약
전경골근은 보행 시 발끝 끌림 방지를 위해 더 활발히 작용하고,
달리기에서는 빠른 접촉과 반동으로 오히려 작용이 줄어들 수 있다.
🔎 보행 vs 달리기: 입각기·유각기 비교 핵심 요약
항목 | 보행 | 달리기 |
입각기 비율 | 전체 주기의 약 60% | 40% 이하 (짧아짐) |
유각기 비율 | 약 40% | 60% 이상 |
양발 지지기 | 존재함 (double support) | ❌ 없음 |
비행기(flight phase) | 없음 | ✅ 존재 |
전경골근 작용 | 발목 조절 + 낙하 제동 | 작용 시간 짧아짐 |
지면 반력 peak | 상대적으로 낮음 | 훨씬 큼 |
📌 요약 포인트
- 달리기는 지면 접촉 시간이 짧고, 지면 반력과 충격이 크며,
- 근육은 보다 폭발적이고 집중적으로 활성화됨
- 하지만 시간이 짧은 만큼 일부 근육은 덜 활성화되기도 함 (대표: 전경골근)
🔖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근활성도 #달리기주기 #입각기유각기 #전경골근 #건운사기출
보행과 달리기를 더 공부해보아욧
2025.04.21 - [🦴기능해부학, 운동역학/필수개념정리] - [기능해부학] 보행과 달리기 비교 설명
[기능해부학] 보행과 달리기 비교 설명
🚶♀️ 보행(Walking) vs 🏃♂️ 달리기(Running) 비교 개념 정리 (Neumann 3판 + 건운사 포인트)✅ 전반 개요항목보행달리기항목보행달리기형태연속적 이중지지비행기(flight phase) 존재속도느림 (~1
corebox21.tistory.com
✅ 정답: ④번 (모두 옳음)
📌 보기별 해설
ㄱ. 견갑골 위쪽 돌림 (scapular upward rotation)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 상부승모근 (upper trapezius)
- 하부승모근 (lower trapezius)
✅ 이 세 근육이 삼각형 회전력을 만들어 견갑골 위쪽 돌림 유도
→ 팔을 들어올릴 때 어깨충돌 방지에도 중요함
ㄴ. 골반 뒤기울임 (posterior pelvic tilt)
- 대둔근 (gluteus maximus) + 햄스트링 → 골반을 뒤에서 당김
- 복직근 + 외복사근 → 앞쪽에서 하단을 위로 당김
✅ 위쪽과 아래쪽에서 서로 당겨 골반이 뒤로 기울도록 힘의 짝힘 형성
ㄷ. 골반 앞기울임 (anterior pelvic tilt)
- 요추기립근(척추세움근) → 상체 뒤에서 위로 들어올림
- 장요근 + 봉공근 → 골반 전면을 아래로 당김
✅ 이 역시 서로 반대쪽에서 작용하는 짝힘(force couple) 구조
✍️ 요약
세 보기 모두, 상하 or 전후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근육군의 조합
→ force couple로 정의됨
🔍 추가로 자주 언급되는 짝힘 (force couple) 예시
움ㅈ기임 | 작용 근육 |
견갑골 아래쪽 돌림 | 능형근 + 작은가슴근 |
견갑골 후인(retraction) | 능형근 + 중부승모근 |
견갑골 전인(protraction) | 전거근 단독 or + 대흉근 |
요추 안정화 | 복횡근 + 다열근 |
발바닥 내번 | 뒤정강근 + 엄지굽힘근 |
발바닥 외번 | 짧은종아리근 + 긴종아리근 |
족저굽힘(plantar flexion) | 가자미근 + 비복근 (동심성 짝힘) |
발등굽힘(dorsiflexion) + 내번 | 앞정강 + 엄지폄근 |
🔖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ForceCouple #운동역학 #근육짝힘 #건운사기출
✅ 정답: ④번
📌 보기별 해설
① ❌ 심장근육은 가로무늬지만 불수의근이다.
- 심장근육(cardiac muscle)은 가로무늬근(striated muscle)이지만,
수의적으로 조절되지 않음 →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 - 따라서 '가로무늬 + 불수의근'이라는 독특한 조합임
② ✅ 민무늬근육세포(smooth muscle cell)는 분열이 거의 없고,
- 재생능력도 매우 제한적임
- 조직 손상 시 섬유화로 대체됨 (재생 아님)
논란의 대상
✅ 민무늬근육세포의 재생 능력: 조건부로 활발함
1. 페리사이트(pericyte) 기반 재생
- 페리사이트는 소혈관 주변에 위치한 줄기세포로,
민무늬근육세포로 분화하여 손상된 조직을 재생할 수 있어.
이로 인해 민무늬근육은 뼈대근육이나 심장근육보다 재생 능력이 뛰어나다고 평가돼.
2. 혈관 평활근세포(VSMC)의 증식
- 혈관 손상이나 죽상동맥경화증 같은 상황에서는
**혈관 평활근세포(VSMC)**가 탈분화되어 증식 능력을 획득해.
이 과정은 혈관 재형성과 관련이 있어.
3. 성장인자에 의한 증식 유도
- **PDGF(혈소판 유래 성장인자)**와 같은 성장인자는
민무늬근육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촉진해.
이는 혈관 손상 후 재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 요약
- 민무늬근육세포는 일반적으로는 분열이 적지만,
**특정 조건(손상, 성장인자 자극 등)**에서는
활발한 증식과 재생이 가능해. 로 귀결될 수 있어서 문제 보기의 내용으로는 틀린 말이 됨.
③ ❌ 심장근은 위성세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아 재생 불가
- 심장근 세포는 post-mitotic 상태 (세포 분열 거의 없음)
- 심근경색 후 섬유조직으로 대체됨
④ ✅ 뼈대근(skeletal muscle)은
- 성인에서는 근섬유 자체는 분열하지 않지만,
- **근육위성세포(myosatellite cell)**가 분화하여 새로운 근섬유로 재생 가능
📊 근육 조직 비교 정리표
분류 기준 | 뼈대근육 | 심장근육 | 민무늬근육 |
가로무늬 여부 | 있음 (striated) | 있음 (striated) | 없음 (non-striated) |
수의적 조절 | ✅ 수의근 (voluntary) | ❌ 불수의근 (involuntary) | ❌ 불수의근 (involuntary) |
재생 가능성 | ✅ 제한적 (위성세포 있음) | ❌ 거의 없음 | ❌ 극히 제한 |
핵 위치 | 말단 주변부 | 중앙 1개 | 중앙 1개 |
분포 | 골격 전체 | 심장벽 | 내장기관, 혈관, 방광, 자궁 등 |
연결 구조 | 없음 | 간극연접(intercalated disc) 있음 | gap junction 가능 |
작용 방식 | 빠르고 강한 수축 | 리드미컬한 자동 수축 | 느리고 지속적 수축 |
🧠 핵심 개념 정리
- 가로무늬 = 뼈대근육 + 심장근육
- 수의근 = 뼈대근육만 해당
- 위성세포 = 뼈대근 전용 재생기전
🔖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근육조직 #위성세포 #심장근 #민무늬근 #가로무늬근 #건운사기출
좋아, 이건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의 뇌의 기능별 구조에 대한 문제야.
정답은 **③ 시상하부(hypothalamus)**가 맞아.
✅ 정답: ③번
📌 보기별 해설
① 대뇌겉질(cerebral cortex) – ❌
- 자율신경계의 명령을 내리는 상위 조절자이긴 하지만,
- 직접적으로 처리하고 조절하는 역할은 아님
- 자율신경계의 1차 조절은 시상하부와 뇌간이 담당함
② 소뇌(cerebellum) – ❌
- 운동 조절, 평형 유지, 자세 조절에 핵심
- 혈압·호흡 같은 자율생리 조절은 하지 않음
→ 이 기능은 연수(medulla oblongata) 영역의 역할임
③ 시상하부(hypothalamus) – ✅
- 자율신경계의 핵심 조절 센터
- 소화, 배뇨, 성적 행동, 체온, 혈압, 수면 등
→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내장 기능들 담당
④ 시상과 중간뇌(thalamus and mesencephalon) – ❌
- 시상(thalamus): 감각 정보의 중계
- 중간뇌(mesencephalon): 운동 반사, 시청각 반응
- 장기 기억이나 재생은 해마(hippocampus), 대뇌피질의 영역임
🧠 뇌의 기능 분류 요약
구조 | 기능 |
대뇌겉질 (cerebral cortex) | 고등 정신기능 (판단, 언어, 기억, 의식적 운동) |
시상하부 (hypothalamus) |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조절, 항상성 유지 |
시상 (thalamus) | 감각정보 중계 (후각 제외) |
해마 (hippocampus) | 기억 형성, 저장 |
소뇌 (cerebellum) | 균형, 자세, 협응 운동 |
연수 (medulla oblongata) | 호흡, 심박수, 혈압 조절 |
중간뇌 (mesencephalon) | 시각, 청각 반사 통합 |
뇌간 전체 | 생명 유지 기능(기본 반사, 호흡 등) 담당 |
🔖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뇌기능 #시상하부 #소뇌 #자율신경계 #건운사기출
뇌의 시상면 단면도를 도식화해서 그려서 외움
✅ 정답: ②번
🔍 개념 정리: 파워(Power) = 힘 × 속도 (또는 힘 ÷ 시간)
- 즉, 같은 힘을 얼마나 빠르게 발휘하느냐가 핵심
- 단위: W(와트) = N × m/s
→ 최대근력 발현 시점이 빠를수록 파워는 커짐
📈 보기별 분석
① 느리게 도달 (곡선이 완만)
- 최대 근력 도달은 500ms 지점
- 늦고, 파워 낮음
② 급격하게 도달 → 유지
- 100ms 이전에 최대 근력 도달
- 이후 그대로 유지
- ✔️ 가장 짧은 시간에 최고 힘 도달 → 가장 큰 파워
③ 경사 급하지만 200ms 소요
- 최대 근력은 ②와 같지만 도달 시점이 2배 느림
- 파워는 ②보다 낮음
④ 최대근력 자체가 낮음
- 최대치 120N
- 도달 속도도 늦음
- 힘과 시간 모두 약함 → 파워 가장 낮음
🧠 핵심 개념 정리
파워는 단순히 최대 근력이 아니라,
그 힘을 얼마나 빠르게 발휘하느냐에 달려 있음.
✍️ 예상문제 예시
다음 중 근파워(power output)의 향상과 가장 밀접한 생리적 요인은?
① 근섬유 크기 증가
② 고속 신경자극 전달
③ 지근섬유 비율 증가
④ 혈류량 증가
정답: ② 고속 신경자극 전달
→ 빠른 힘 발현 = 파워 향상
본인은 파워는 힘/거리 공식에 거리를 시간으로 넣어서 풀어서 가장 큰 값인 2번 (1.2)로 정답 찍음.
✅ 왜 “힘 ÷ 시간” 방식이 유효한가?
📌 공식 복습:
- 파워(P) = 힘(𝐹) × 속도(𝑣)
→ 속도 = 거리 ÷ 시간 ⇒ 파워 = (힘 × 거리) ÷ 시간
→ 또는 힘 ÷ 시간에 비례 (거리가 일정하다면)
🔍 네 방식으로 다시 계산해보면:
보기 | 최대 힘 | 도달시간 | 힘/시간 |
① | 150 | 500 | 0.30 |
② | 120 | 100 | 1.20 ✅ |
③ | 150 | 200 | 0.75 |
④ | 120 | 400 | 0.30 |
- ②번이 단연 최고 → 너가 말한 계산: 120 ÷ 100 = 1.2가 정답 맞음
🧠 한 줄 정리
거리(또는 이동량)가 일정하다면, **힘을 얼마나 빨리 냈는가(= 시간)**가 곧 파워의 결정 요소다.
빠르고 강한 수축 = 파워 근육의 핵심 역량임.
💡 좋은 확장 방향
이 계산 방식은 **Rate of Force Development (RFD)**라는 개념과도 연결돼.
→ 단위 시간당 근력 발현 속도, 즉 폭발력과 직결됨.
운동처방, 훈련 프로그래밍할 때도 매우 중요한 개념임!
✅ 정답: ② 가쪽관절주머니 - 넙다리빗근·반막모양근 → ❌ 틀린 연결
📌 보기별 해설
① 앞관절주머니 – ✅
- 보강 근육: 넙다리네갈래근(quadriceps femoris)
- 특히 **대퇴직근(rectus femoris)**과 **슬개건(patellar tendon)**이 직접 관여함
→ 정확한 연결
② 가쪽관절주머니 – ❌
- 보기에서는 "넙다리빗근(sartorius)"과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을 제시
- ❗ 이 둘은 실제로 안쪽 또는 뒤안쪽 주머니를 보강함
- 실제 가쪽관절주머니를 보강하는 건
→ 장경인대(iliotibial band), 넙다리근막긴장근(TFL), 종아리두갈래근의 가쪽갈래 등임
③ 뒤안쪽관절주머니 – ✅
- 보강 근육: 두덩정강근(gracilis), 반힘줄근(semimembranosus)
- 이들은 거위발 pes anserinus 구성 근육이자,
내측 안정성 강화에 핵심적 역할
④ 뒤관절주머니 – ✅
- 보강 근육: 오금근(popliteus), 장딴지근(gastrocnemius)
- 이 두 근육은 오금(popliteal fossa) 부위를 통해
후방 안정성 제공
🔍 핵심 정리표
관절 주머니 부위 | 보강 근육 |
앞쪽 | 넙다리네갈래근(quadriceps), 슬개건 |
뒤쪽 | 오금근, 장딴지근 |
안쪽 | 거위발 구성 근육들 (박근, 반힘줄근, 넙다리빗근) |
가쪽 | 장경인대, 넙다리근막긴장근, 종아리두갈래근 |
✍️ 예상문제 예시
다음 중 무릎의 가쪽관절주머니를 직접적으로 보강하지 않는 근육은?
① 장경인대
② 넙다리근막긴장근
③ 종아리두갈래근
④ 반막모양근
정답: ④ 반막모양근
🔖 해시태그
#기능해부학 #무릎관절 #jointcapsule #슬관절 #근육연결 #건운사기출
✅ 정답: ④ 발목관절 – 발등굽힘 – 장딴지근(비복근)
❌ 왜 틀렸는가?
- **장딴지근(비복근, gastrocnemius)**은 **발등굽힘(dorsiflexion)**이 아니라 **발바닥굽힘(plantar flexion)**에 작용하는 근육임.
- 즉, 작용 방향이 반대야.
발등굽힘을 담당하는 근육은 주로
👉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 장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등임.
🔍 나머지 보기는 왜 맞는가?
① 몸통 – 펌 유지 – 척추세움근
- 데드리프트 중 몸통을 중립 정렬로 유지
- 척추세움근(erector spinae)은 척추 신전과 안정성 유지에 핵심 → ✅ 맞는 연결
② 엉덩관절 – 펌 – 큰볼기근
- 데드리프트의 핵심은 엉덩관절 신전 (hip extension)
- **대둔근(gluteus maximus)**이 주된 작용근 → ✅ 맞는 연결
③ 무릎관절 – 펌 – 넙다리네갈래근
- 특히 대퇴직근과 외측광근 등은 무릎 신전 주동근
- 데드리프트 초반부 무릎 펌 시 강하게 작용 → ✅ 맞는 연결
✍️ 정리 한 줄
데드리프트는 엉덩관절과 무릎의 신전, 척추 안정성,
그리고 발목 안정 보조를 포함한 복합 관절 신전 운동이다.
💡 보충 개념: 발목 역할
- 데드리프트는 주로 고관절-무릎-척추 중심 운동이지만,
발목은 지면 반력에 저항하며 안정성을 유지 - 동작 내내 발등굽힘은 제한적이며,
발바닥을 눌러주는 힘이 강조됨
→ 그래서 종아리 뒤쪽의 발바닥굽힘 근육들이 등척성 수축함. 실제로 뒷꿈치가 들리지 않으니까 단축성 수축이 아닌 등척성임.
🧠 예상문제 예시
데드리프트에서 발목관절의 주요 근육 작용 형태는?
① 등장성 수축 – 발등굽힘
② 등장성 수축 – 발바닥굽힘
③ 등척성 수축 – 발바닥굽힘
④ 등장성 수축 – 발바닥굽힘
정답: ③ 등척성 수축 – 발바닥굽힘
좋아, 이 문제는 **교감신경(sympathetic nerve)**에 대한 생리학적 이해를 묻는 문제고,
정답은 ④번이 맞아. 이유를 아래에서 정리해줄게.
✅ 정답: ④번
"교감신경은 동공수축, 소화샘 분비, 배뇨 등에 영향을 미친다." → ❌ 부교감신경의 작용
📌 보기 해설
① 척수옆신경절 + 척수앞신경절 → ✅
- 교감신경절은 척수의 T1~L2에서 기원하여
👉 척수옆신경절(paravertebral ganglia)
👉 척수앞신경절(prevertebral ganglia)
두 가지 형태의 절로 퍼짐
→ 정확한 설명
② 피부의 땀샘 → 아세틸콜린 → ✅
- 대부분 교감신경은 노르에피네프린(NE) 사용하지만
👉 땀샘을 지배하는 교감신경 말단은 예외적으로 ACh(아세틸콜린) 사용 - 이건 대표적인 예외로 자주 출제됨!
③ 알파/베타 수용기 → ✅
- 교감신경은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을 통해
👉 α(알파) 수용체: 혈관 수축, 방광 괄약근 수축
👉 β(베타) 수용체: 심박수 증가, 기관지 확장 등 작용
→ 정확한 내용
④ ❌ 교감신경은 동공 수축, 소화샘 분비, 배뇨 유도와 관련 없음
- 이 기능들은 대부분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작용
- 교감신경은 오히려
- 동공 확대
- 소화 억제
- 방광 이완 및 괄약근 수축 → 배뇨 억제
📊 요약 비교표
기능 | 교감신경 | 부교감신경 |
동공 | 확대 | 수축 |
소화샘 분비 | 억제 | 촉진 |
심박수 | 증가 | 감소 |
방광(배뇨) | 이완 (저장) | 수축 (배출) |
땀샘 분비 | ↑ (ACh) | 거의 없음 |
✍️ 예상문제 예시
다음 중 부교감신경계의 작용으로 옳은 것은?
① 기관지 확장
② 심박수 증가
③ 동공 확대
④ 배뇨 촉진
정답: ④번
같이 정리해 두어요
'🔴건강운동관리사🔴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건강운동관리사 기능해부학 1-10번 기출풀 (개념정리포함) (0) | 2025.04.21 |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기출풀이 11-20번 (개념정리포함) (1) | 2025.04.20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상해 기출풀이 1-10번 (개념정리포함) (0) | 2025.04.20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20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4.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