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기별 요소 해설
①번 칸: 안지오텐시노겐 (angiotensinogen)
📌 간에서 생성되는 불활성 전구물질
- 평상시 혈액에 존재하지만 활성화되어야 기능함
- 바로 레닌의 작용을 받아야 다음 단계로 진행됨
②번 칸: 신장 (Kidney)
📌 혈압이 낮거나, 나트륨 부족 시 → 신장이 레닌(renin) 분비
- 레닌은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시킴
③번 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 폐에서 주로 작용
- 안지오텐신 I → 안지오텐신 II로 전환
- 안지오텐신 II는 혈관 수축 + 알도스테론 분비 자극
④번 칸: 부신피질 (Adrenal Cortex)
📌 안지오텐신 II가 작용해 알도스테론 분비 자극
- 알도스테론은 나트륨 재흡수 증가 → 수분 재흡수 → 혈압 상승으로 이어짐
🔁 전체 흐름 요약 순서
- 간 → 안지오텐시노겐 생성
- 신장 → 레닌 분비
- 레닌 →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
- 폐에서 ACE(전환효소) → 안지오텐신 II 생성
- 부신피질 → 안지오텐신 II가 알도스테론 분비 유도
- 알도스테론 → 혈관 수축 + 나트륨 재흡수 → 혈압 상승
📘 개념 도식으로 기억하기 (한 줄 요약)
간(🧠예비물질) → 신장(레닌) → 폐(ACE) → 부신(알도스테론)
🔁 핵심 기전: 혈압 떨어지면 → 나트륨 잡고 물 붙잡아 → 혈압 올려!
🧠 암기 팁
“간신폐부” 순서로 외우자!
- 간: 안지오텐시노겐
- 신장: 레닌
- 폐: ACE
- 부신: 알도스테론
💥 [운동생리학] 기출 풀이 – 리아노딘 수용체(RyR) 문제
✅ 정답: ③ 리아노딘 수용체(RyR)
📦 <보기> 요약
- ✅ **근형질세망(sarcoplasmic reticulum)**에 존재
- ✅ Ca²⁺ 이온 방출에 직접 관여
- ✅ **DHPR(디하이드로피리딘 수용체)**에 의해 활성 조절됨
→ 이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건 바로 RyR밖에 없다!
🧬 리아노딘 수용체(RyR)의 역할 정리
위치 | 작용 | 작동 방식 |
**근형질세망(SR)**의 막 | Ca²⁺ 이온 방출 | DHPR의 전기적 자극 → RyR 열림 → 칼슘 방출 |
- 골격근 수축의 핵심 트리거는 Ca²⁺ 이온이고,
그 칼슘을 **“뿌리는 통로”**가 바로 RyR임! - DHPR (T-튜불의 L-type Ca²⁺ 수용체) → RyR 기계적 연동 활성화
🔁 보기 소거법 정리
보기 | 이름 | 위치/역할 | 탈락이유 |
① 트로포닌 | 얇은 필라멘트(액)의 Ca²⁺ 결합 단백질 | 세포질 내 위치, 수축 직접 조절 | ❌ SR에 없음 |
② 네불린 | 액틴 정렬 보조 단백질 | 구조 안정성 유지 | ❌ 칼슘 방출 X |
③ 리아노딘 수용체 | SR 막에 존재, Ca²⁺ 방출 통로 | ✅ 정답 | |
④ 데스민 | 근원섬유 지지, Z선 사이 연결 | 구조 단백질일 뿐 | ❌ 칼슘 무관 |
*SR = Sarcoplasmic Reticulum (근형질세망)
🧠 DHPR – RyR 연동 암기 팁
“DHPR가 전기자극을 감지하면, RyR가 창문 열고 칼슘을 뿌린다!”
- DHPR: 전기 신호 감지 센서 (T-튜불)
- RyR: SR의 칼슘 방출 밸브
- 이 둘은 기계적 연결로 연동됨 (특히 골격근에서 중요!)
✅ 한 줄 정리
RyR는 근형질세망에 위치한 칼슘 방출 통로,
DHPR의 신호로 열려서 근수축을 유도하는 핵심 수용체다!
🫀 [운동생리학] 좌심실 PV loop 문제 – 박출률 계산
✅ 개념 정리: 박출률(%EF, Ejection Fraction)
- EDV: 이완기 말 용적 (end-diastolic volume) → 점 A
- ESV: 수축기 말 용적 (end-systolic volume) → 점 D
- SV (stroke volume): EDV – ESV
🎯 1단계. 안정 시 EF 계산
안정 시:
- EDV = 150mL
- ESV = 75mL
- SV = 150 - 75 = 75mL
🎯 2단계. 운동 시 EF 계산
운동 시:
- EDV = 200mL (A점)
- ESV = 40mL (D점)
- SV = 200 - 40 = 160mL
✅ 3단계. 운동 시 EF가 몇 %p 증가했는가?
- EF 증가량 = 80% – 50% = 30%p
🧠 개념 요약 정리
용어 | 의미 |
EDV | 좌심실 수축 직전의 최대 혈액량 (A점) |
ESV | 수축 후 남은 혈액량 (D점) |
SV | 1회 박출량 = EDV – ESV |
EF | SV ÷ EDV → 심장의 펌핑 능력 지표 |
바보같은 질문 하나 !
Q. 왜 이완기말용적이 더 큰거냥? 심장이 이완되면 빵빵한게 줄어드니까 용적도 줄어드는거 아니냐?
A. 이 병신! 그럴 줄 알았다!!! 이완기말 용적이 수축기말 용적보다 큰 이유는, 이완이 끝났을 때가 이완기 말!이라고!!! \끝끝끝!!! 이는 좌심실 안에 가장 많은 혈액양이 들어와서 부풀고 느슨해져서 그 안에 혈액이 커비빵빵처럼 커져있는 상태임. 즉, 수축 시작 직전을 이완기말용적이라고 생각하면 돼 뷰ㅜㅇ신아ㅜㅜ
디스커버리나 다시 해라 이 뵨시나!!! 그래서 공식이 분모값이 가장 넓었을 때 분의 큰거에서 작은거 뺀거를 비교하면 얼마남았는디 알 수 있음. ㅇㅋㅂㄹ??
✅ 한 줄 정리
운동 시에는 수축력이 증가해 더 많은 혈액을 내보내므로,
박출률(EF)은 30%p 증가 → ②번이 정답!
🧠 [운동생리학] 14번 문제 해설 – 좌심실 압력-용적 루프(PV loop) 기반 개념
문제 유형
- 좌심실 압력-용적 그래프(Pressure-Volume Loop)를 바탕으로
- 심장주기의 각 구간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현상을 파악하는 문제
- 정답: ❌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정답: ③ C 지점에서의 좌심실 용적은 좌심실 수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 왜 ③번이 틀렸는가?
- C 지점은 수축 말기 지점(ESV, End-Systolic Volume)
- 좌심실 수축력이 커질수록 남는 혈액이 줄어들어야 함 → 즉, 용적은 감소해야 정상임 (다 쥐어짜낸다.)
- 따라서 "수축력이 증가할수록 좌심실 용적이 증가한다"는 잘못된 설명임
→ 정답!
📌 보기별 해설 정리
① A~B 구간은 등용적 수축기(isovolumic contraction)
- 모든 판막 닫힘 → 용적은 그대로, 압력만 상승
- ✔ 맞는 설명
② B 지점은 좌심실 압력이 대동맥 압력보다 커지는 지점
- 대동맥판이 열리며 혈액이 대동맥으로 분출됨
- ✔ 맞는 설명
③ ❌ C 지점은 좌심실 수축 종료 후 잔류 혈액(ESV) 상태
- 수축력이 클수록 더 많이 짜내므로 → 잔류 용적은 줄어야 정상
- ✖ 수축력이 증가하면 용적이 감소해야 하는데 "증가한다"로 돼 있어서 틀린 설명
④ D~A 구간은 이완기 충만기 (ventricular filling)
- 승모판 열림 → 혈액 유입 → 좌심실 용적 증가
- 결국 박출량(SV)이 증가하는 데 기여함
- ✔ 맞는 설명
🧾 핵심 개념 요약 (심장주기 루프 기반)
- A~B: 등용적 수축기 → 압력↑, 용적 일정
- B~C: 박출기 → 용적↓, 압력 최대
- C~D: 등용적 이완기 → 압력↓, 용적 일정
- D~A: 충만기 → 압력 거의 일정, 용적↑
✔ 박출량(SV) = EDV - ESV
✔ 수축력↑ → ESV↓ → SV↑
❓예상문제
Q. 좌심실 수축력이 증가하면 발생하는 변화로 옳은 것은?
① ESV가 증가한다
② SV가 감소한다
③ ESV가 감소한다
④ EDV가 감소한다
✅ 정답: ③
→ 수축력이 증가하면 더 많은 혈액이 분출돼 **ESV(끝수축기 용적)**는 감소함
비슷한 문제로는 22년 생리학 9번 문제가 있다.
2023.01.13 - [📕운동생리학/15~22년도기출문제풀이] - 2022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생리학A 1~10번 기출문제풀이 (feat.둔근해)
2022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생리학A 1~10번 기출문제풀이 (feat.둔근해)
💜공부키워드💜 에너지 기질 (탄수화물=>포도당, 단백질=>아미노산, 지방=>글리세롤&유리지방산) = 에너지 덩어리 팔미트산 동물, 식물, 미생물에서 발견되는 가장 일반적인 '포화 지방산'이란
corebox21.tistory.com
이번 시험 문제는 저 빨간색 그래프인 좌심실압력에 대한 문제가 나왔다.
🧠 [운동생리학] 15번 기출문제 해설 – 사강 환기량(dead space ventilation) 계산
문제 요약
- 호흡 빈도: 12회/분
- 1회 호흡량(Tidal Volume, TV): 500 mL
- 폐포 환기량(Alveolar Ventilation): 4,200 mL/min
👉 사강 환기량(Dead Space Ventilation)은?
✅ 정답: ① 1,800 mL·min⁻¹
📌 풀이 과정 (step-by-step)
1️⃣ 분환기량 (Minute Ventilation, VE) 계산
VE = TV × 호흡수
= 500 mL × 12
= 6,000 mL/min
2️⃣ 사강 환기량 계산 공식
VE = 폐포환기량 + 사강 환기량
→ 사강 환기량 = VE - 폐포환기량
= 6,000 - 4,200
= ✅ 1,800 mL/min
<이해를 돕기위한 중학생 수듄 해설 : 왜 이런 공식이 나오는가>
🧠 먼저 개념을 그림처럼 상상해보자!
네가 숨을 한번 들이마셨다고 해봐.
그 공기 500mL 중에서...
- 👉 일부는 진짜 폐 속 깊은 데까지 가서 산소 교환을 하고 (이게 폐포 환기)
- 👉 나머지는 그냥 코랑 기관지에서 왔다 갔다만 하고 나가는 공기야 (이게 사강 환기)
그럼 이렇게 나뉘겠지?
📦 500mL (1번 숨 쉴 때 들어온 전체 공기)
→ ⚪ 폐포까지 가는 공기 (폐포 환기)
→ 🔲 폐포까지 못 가고 밖으로 나가는 공기 (사강 환기)
✨ 그래서 공식이 이렇게 나오는 거야
네가 1분 동안 12번 숨 쉰다고 하면
전체 들어온 공기 총합 = 분환기량 = 500mL × 12 = 6,000mL
근데 이 중 실제로 산소 교환한 공기량은 4,200mL라고 했잖아?
그러면 나머지 6,000 - 4,200 = 1,800mL는
→ 그냥 기관지에 머물다 나간 공기, = 사강 환기량인 거야!
📦 정리하면 이렇게 외워!
💨 "분환기량 = 폐포 + 사강"
그러니까
🔲 사강 환기량 = 전체 숨량 - 진짜 쓴 숨량
🎨 한 장면으로 기억하자!
🟦 수조에 물을 붓는다고 생각해봐
- 총 6,000mL의 물을 부었는데
- 수조 안에 실제로 담긴 물은 4,200mL뿐이야
- 나머지 1,800mL는 물이 새거나 흘러버린 부분 = 사강 환기!
✅ 요약 한 줄
사강 환기량은 ‘쓸모 없이 빠져나간 공기’ = 전체 숨 중에서 폐까지 못 간 공기량!
그래서 "사강 = 전체 - 폐포"로 계산하는 거야!
어디서 본건데 사강이 폐에 고여있는 공기라고 했던 것 같ㅇ느데 그거 구라고
즉, 기도만 왔다갔다리하는 공기임. 기관, 기관지, 코/입, 인두 같은 통로에 머무르다가 나가는 애들.
그리고 폐에 고여있는 공기가 잔기량임 ;; = 숨을 아무리 다 내쉬어도 폐속에 남아있는 공기.
🔍 핵심 개념 정리
용어 | 의미 |
Tidal Volume (TV) | 1회 호흡량, 한 번에 들어오거나 나가는 공기량 |
Minute Ventilation (VE) | 1분 동안의 총 환기량 = TV × 호흡수 |
Alveolar Ventilation | 실제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공기의 양 |
Dead Space Ventilation | 사강에 머무는 공기, 교환되지 않고 빠져나가는 공기량 |
❓예상문제
Q. 호흡수 15회/min, TV 600mL, 폐포 환기량이 5,400 mL/min일 때 사강 환기량은?
VE = 600 × 15 = 9,000
→ 사강 환기량 = 9,000 - 5,400 = ✅ 3,600 mL/min
🧠 [운동생리학] 16번 기출문제 해설 – 혈류 저항과 반지름 관계
문제 요약
세동맥(arteriole)의 혈류 저항이 가장 높아지는 경우는?
👉 혈관의 길이는 일정, 혈액의 점도 또는 혈관 반지름이 변화할 때 저항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정답: ④ 혈관의 반지름을 반으로 감소
📌 핵심 개념 – 포아즈이유 법칙 (Poiseuille's Law)
혈류 저항(R)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돼:
📌 여기서,
- R: 저항 (Resistance)
- : 혈액의 점도 (viscosity)
- L: 혈관의 길이
- r: 혈관의 반지름 ← 중요!
📍 정리 포인트
- 점도가 2배 ↑ → 저항도 2배 증가
- 반지름이 반으로 ↓ → 저항은 2⁴ = 16배 증가! ← ✅ 압도적
❌ 보기별 검토
① 혈액의 점도 두 배 증가
→ 저항 2배 증가 (⭕ 증가하지만 약함)
② 혈액의 점도 반으로 감소
→ 저항 ½배 감소 (❌ 증가가 아님)
③ 혈관의 반지름 두 배 증가
→ 저항 1/16로 감소 (❌ 증가 아님)
④ 혈관의 반지름 반으로 감소
→ 저항 16배 증가 (✅ 정답!)
🎯 한 줄 요약
🔴 혈관의 반지름이 줄어들면 혈류 저항은 4제곱 비율로 폭증한다!
🎨 기억 이미지 (한 장면)
빨대 vs 주사바늘 구멍
빨대(굵은 반지름)로는 술술~
주사바늘 구멍(좁은 반지름)은 팍 막혀!
→ 반지름 좁아지면 저항 확 높아짐!
❓예상문제
Q. 혈관 반지름이 1/2로 줄어들면 혈류 저항은 몇 배 증가하는가?
① 2배 ② 4배 ③ 8배 ④ 16배
✅ 정답: ④
줄어든 양의 분모 값 절대수에 4제곱 시켜주면 몇 배 증가했는지 앎. 반약 1/3로 반지름이 감소했다-> 3의 4제곱 = 81배 저항이 증가했다.
🧠 [운동생리학/신경생리학] 17번 기출문제 해설 –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
문제 요약
신경절 전/후 뉴런에서 어떤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고
그게 어떤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는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
✅ 정답: ①
부교감신경의 신경절후 뉴런에서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무스카린 수용체(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한다.
📌 핵심 개념 –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

구분 | 신경절전 | 뉴런신경절후 | 뉴런작용 수용체 |
부교감신경 | 아세틸콜린 (Ach) | 아세틸콜린 (Ach) | 니코틴(N) → 무스카린(M) |
교감신경 | 아세틸콜린 (Ach) | 노르에피네프린(NE) 또는 에피네프린(Epi) | α, β 수용체 |
❌ 보기별 검토
② ❌ 틀림
- 부교감의 신경절전 뉴런은 니코틴 수용체와 작용 (여긴 '신경절후'임)
- 신경절후에서 작용하는 건 무스카린 수용체
③ ⭕ 맞는 설명
- 교감신경의 신경절후 뉴런에서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 α 수용체 작용 → 혈관 수축 등
④ ❌ 틀림
- 에피네프린은 부신수질에서 나오는 호르몬이지,
- 교감신경의 뉴런이 분비하는 건 아님!
🎨 기억 꿀팁 (암기 이미지)
계열 | 전-후-수용체 |
🟢 부교감 | Ach → Ach → N → M |
🔴 교감 | Ach → NE → N → α/β |
❓예상문제
Q. 교감신경의 신경절전 뉴런에서 분비되는 물질은?
① 아세틸콜린 ② 노르에피네프린 ③ 에피네프린 ④ 도파민
✅ 정답: ① (신경절전은 무조건 Ach)
2025.03.23 - [📕운동생리학/필수개념정리] - [운동생리학]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운동생리학]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 교감신경 vs 부교감신경 개념 정리 (운동생리학 관점 포함)🧠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개요불수의적(involuntary) 기능 조절표적 기관: 심장, 소화기, 내분비샘, 혈관, 땀샘 등두 분지로
corebox21.tistory.com
🧠 [운동생리학] 18번 기출문제 해설 – 골격근 수축과 ATP 에너지
문제 요약
근수축에서 ATP가 어떤 과정에 사용되는지,
그리고 에너지 사용에 따른 생리적 현상(사후경직, 회복 등)을 아는지를 묻는 문제
✅ 정답: ④ ㄱ, ㄴ, ㄷ 모두 옳음
📌 보기별 검토
ㄱ. 사후경직(rigor mortis)은 근육세포 내 ATP 고갈이 원인이다.
✅ 맞음
- 죽으면 ATP 합성이 멈춰 →
- 마이오신과 액틴이 붙은 채 분리되지 못해 → 근육이 굳음
→ 이것이 사후경직!
ㄴ. 에너지는 파워 스트로크(power stroke)를 위한 힘으로 사용된다.
✅ 맞음
- 실제로 마이오신 머리가 액틴을 당기는 ‘파워 스트로크’ 과정에서 ATP가 분해돼 에너지 공급됨
→ 이때 생긴 에너지가 근수축력의 직접적인 원천
ㄷ. 근수축 후 칼슘은 ATP를 사용하는 펌프에 의해 근형질세망(SR)으로 회수된다.
✅ 맞음
- 칼슘을 다시 SR로 돌려보내는 건 세르카 펌프(SERCA pump)
- 이건 **능동 수송(active transport)**이라 ATP 소비가 필요함
🎯 핵심 개념 요약 (ATP 사용 3대 장소)
사용 위치 | 목적 |
🟥 마이오신 분리 | 결합 해제 (사후경직과 관련) |
🟥 파워 스트로크 | 수축력 발생 |
🟥 SERCA 펌프 | 칼슘 재흡수 (이완) |
🎨 기억용 이미지 비유
💥 힘을 내는 데도 쓰이고
🔓 잡은 걸 놓는 데도 쓰이고
🚿 정리하는 데도 쓰이는 게 ATP다!
❓예상문제
Q. 근수축과정 중 ATP가 사용되지 않는 곳은?
① 마이오신-액틴 분리
② 파워스트로크
③ 칼슘 이온 방출
④ 칼슘 이온 회수
✅ 정답: ③
→ 칼슘 방출은 수동적이고, 회수에만 ATP 필요
🧠 [운동생리학] 19번 기출문제 해설 – 산소친화도와 조직 내 산소해리
문제 요약
혈액이 모세혈관을 통과할 때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조직에 잘 놓아주는 조건(=산소 친화도 감소)**을 고르는 문제.
✅ 정답: ① ㄱ. 체온 증가
📌 핵심 개념 – 산소해리곡선 & Bohr 효과
헤모글로빈은 산소에 붙었다가 (폐에서),
조직에 와서는 산소를 놔줘야 해.
그때 산소를 잘 놓게 만드는 상황 = 산소 친화도 감소 → 산소해리곡선 오른쪽 이동(Right shift)
🔍 보기별 검토
ㄱ. 체온 증가 → 친화도 ↓
✅ 맞음
→ 운동 중, 열 올라감 → 산소를 더 쉽게 조직에 놔줌
→ 해리곡선 우측 이동 (Right shift)
ㄴ. pH 증가 → 친화도 ↑
❌ 틀림
→ pH↑(알칼리)에서는 산소를 더 꽉 붙잡음
→ 산소 놓기 힘들어짐 → 해리곡선 좌측 이동(Left shift)
→ 산소 친화도는 감소하지 않음
ㄷ. 2,3-DPG 감소 → 친화도 ↑
❌ 틀림
→ 2,3-DPG는 산소를 놔주는 걸 도와주는 물질
→ 이게 감소하면 산소 친화도↑ → 조직에 산소 잘 못 놔줌
→ 친화도는 감소하지 않음
🎯 핵심 요약:
산소 친화도 ↓ = 조직에 산소 더 잘 전달되는 조건!
(해리곡선 우측 이동)
조건 | 효과 |
🔺 체온 증가 | 친화도 감소 ⭕ |
🔻 pH 감소 (산성화) | 친화도 감소 ⭕ |
🔺 2,3-DPG 증가 | 친화도 감소 ⭕ |
🎨 기억 이미지
운동 중 상황을 떠올리면 쉽다:
열↑, 산↑, DPG↑ → "야 나 산소 놔줘!" → 헤모글로빈: “ㅇㅋ 놔줄게!”
❓예상문제
Q. 산소해리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요인으로 옳은 것은?
① 체온 감소 ② pH 증가 ③ 2,3-DPG 증가 ④ CO₂ 감소
✅ 정답: ③
솔직히 오른쪽 이동 = 운동 중 = 킹 받앗어 전부다 상승함 . 이라고 빨간색으로 외우면 한번에 외움.
산도 때문에 헷갈릴 수도 있으니까 그냥 수소 이온이라고 외우고, pH로 바꿔 생각할 때 주의하기.
산성이다 = 이가 시렵다= 이가 닳고 닳아서 업다... 숫자가 적다.....1과 가깝다....ㄷㄷㄷ
🧠 [운동생리학] 20번 기출문제 해설 – 이산화탄소(CO₂) 운반 형태
문제 요약
세포 대사과정에서 생긴 이산화탄소(CO₂)가 폐로 운반될 때
어떤 형태로 이동하는지를 묻는 문제
👉 운반되지 않는 형태(비정상)를 고르는 문제
✅ 정답: ③ 마이오글로빈과 결합
📌 이산화탄소 운반 형태 (3가지 정상 경로)
운반 | 형태 설명 | 비율 |
① 중탄산염(HCO₃⁻) | 혈액 내에서 가장 많은 형태 (탄산탈수효소 작용) | ~70% |
② 헤모글로빈과 결합 | 카바미노헤모글로빈(HbCO₂) 형성 | 20~23% |
③ 혈장에 용해된 형태 | CO₂가 직접 녹아 이동 | 7~10% |
중카용!
❌ 보기 검토
① 헤모글로빈과 결합
→ O₂ 대신 결합 가능 (카바미노결합)
→ ✅ 정상 운반 방식
② 혈장에 용해
→ ✅ 일부 CO₂는 혈장에 그대로 녹아 이동함
③ 마이오글로빈과 결합
→ ❌ 마이오글로빈은 산소 저장 전용 단백질임
→ CO₂ 운반 기능 없음 → 정답!
④ 중탄산염 전환
→ ✅ 가장 주요한 CO₂ 운반 방식 (70% 이상)
🎯 기억 포인트
CO₂ 운반 방식 3대장!
- 🚚 중탄산염(HCO₃⁻)
- 🚛 헤모글로빈 결합(HbCO₂)
- 🧊 혈장 용해
→ ❌ 마이오글로빈은 산소 저장용, CO₂랑 놀지 않음!
❓예상문제
Q. 다음 중 조직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주요 운반 방식이 아닌 것은?
① HCO₃⁻로 전환
② Hb과 결합
③ 혈장에 용해
④ 림프에 흡수
✅ 정답: ④ (림프랑 CO₂는 무관!)
'🔴건강운동관리사🔴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8 |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5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1) | 2025.04.15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운동생리학 1-10번 (0) | 2025.04.14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6~20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0) | 2025.03.21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1~15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1) | 2025.03.21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6~10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0) | 2025.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