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가 밀렸네ㅣ... 어쩜.. 고쳐서 쓰세여..오른쪽으로 밀어 미렁..
알고 가야할 점
🧠 개념 정리: "결정 타당도 지수"란?
‘결정 타당도 지수’라는 표현은 **ACSM이나 심리측정·평가학(Measurement & Evaluation)**에서
다음 두 가지 맥락으로 쓰여:
1. 협의의 의미 (좁은 의미):
- “현장검사(예측검사)가 준거검사의 결과를 얼마나 정확히 예측했는가?”
- 즉, 예측의 ‘정확성’ 자체에 집중함
→ 여기서 쓰이는 지표가 바로:- 양성 예측도 (PPV)
- 음성 예측도 (NPV)
✔️ 따라서 이런 문맥에서는 “결정 타당도 지수 = 예측도 지표”로 간주 가능함!
2. 광의의 의미 (넓은 의미):
- 준거검사 기준으로 현장검사의 분류 전체 정확도
- 즉, 전체 정확도(accuracy) 또는 분류 정합도로 이해
✅ 정리하면 이렇게!
용어 | 의미 | 대응 지표 |
결정 타당도 지수 (좁은 의미) | 예측값의 신뢰성 | ✅ PPV, NPV |
결정 타당도 지수 (넓은 의미) | 전체 분류의 정확성 | ✅ Accuracy |
타당도 (일반) | 검사 결과가 참값에 얼마나 가까운가 | 민감도, 특이도 포함 |
🎯 예시 적용 (아까 11번 문제 기준)
- “현장검사에서 비만 판정의 타당도 지수”
→ ➡️ 이건 양성예측도(PPV) 의미임
- “준거검사에 근거한 정확도”
→ ➡️ 이건 전체 정확도(accuracy) 의미임
🐾 한 줄 요약
✔️ 결정 타당도 지수는 상황에 따라 PPV/NPV 또는 Accuracy를 의미할 수 있음
✔️ 시험에서는 보기에 나온 문장을 해석해서 정확한 지표로 바꿔 읽는 게 핵심!
🔍 보기별 검토 및 정확한 통계 지표 대조
① 현장 검사에 의한 비만 판정의 타당도 지수는 57.5이다.
🔎 이 말은 → 현장검사가 “비만”이라고 판단한 사람 중 실제로 비만인 비율
즉, 양성 예측도(PPV: Positive Predictive Value) 의미함.
→ ❌ 보기에서 57.5라고 했으니 틀림
② 준거 검사에 의한 비만 판정의 타당도 지수는 52.5이다.
🔎 이건 말 자체가 이상함… 준거검사는 원래 “정답 기준”인데,
“준거검사에 의한 타당도”란 말은 논리적으로 성립이 안 됨
→ ❌ 의미 불명확, 틀림
③ 준거 검사에 근거한 현장 검사의 분류 정확 확률은 80.0%이다.
🔎 이건 정확히 **정확도(Accuracy)**를 말하는 보기야!
→ ✅ 정확함 → 정답
④ 두 검사의 상관계수는 .90으로 현장 검사는 높은 타당성을 나타낸다.
🔎 ❌ 문제에 **상관계수(R)**에 대한 수치는 주어지지 않았고,
표만으로는 상관계수 계산이 불가능함
→ 느낌상 맞는 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수치적 근거가 없음
→ ❌ 틀림
✅ 정답: ③
🎯 지표 요약 정리
지표 이름 | 의미 | 계산식 | 값 |
민감도 (Sensitivity) | 실제 비만자 중 비만으로 맞춘 비율 | TP / (TP + FN) = 90 / 105 | ≈ 85.7% |
특이도 (Specificity) | 실제 정상 중 정상으로 맞춘 비율 | TN / (TN + FP) = 70 / 95 | ≈ 73.7% |
양성 예측도 (PPV) | 비만으로 판단된 사람 중 실제 비만 | TP / (TP + FP) = 90 / 115 | ≈ 78.3% |
음성 예측도 (NPV) | 정상으로 판단된 사람 중 실제 정상 | TN / (TN + FN) = 70 / 85 | ≈ 82.4% |
정확도 (Accuracy) | 전체 중 올바른 판정 | (TP + TN) / 전체 = 160 / 200 | = 80.0% |
여러분...식은 외웠지만 언제 어디서 쓸지 모르는 분들 있겠죠.,,?
🧠 개념 핵심 정리: 준거검사 vs 현장검사
항목 | 준거검사 | 현장검사 |
별명 | '정답', '기준검사', 'Gold Standard' | '예측검사', '빠른 검사' |
목적 | 진짜 상태를 정확히 판단 (예: 의료영상, DXA) | 빠르게 대략 예측 (예: 인바디, 왕복달리기) |
정확도 | 매우 높음 (신뢰도·타당도 확보됨) | 상대적으로 낮음 |
예시 | DEXA, 심전도 검사, 의학적 진단 | 체성분 분석기, 교차윗몸일으키기 |
평가 관점 | 기준으로 삼는다 | 기준에 맞춰 얼마나 잘 맞는지 본다 |
✅ 비유로 이해해볼래?
준거검사 = 정답지
현장검사 = 내가 푼 문제
→ 내가 푼 정오표를 기준으로,
✅ 얼마나 맞췄는지?
❌ 얼마나 틀렸는지?
→ 이걸 계산해주는 공식들이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 예측도들이야!
📌 그럼 공식들은 언제 쓰냐?
🔸 내가 "비만이다"라고 현장검사에서 판단했을 때
👉 그 중에 실제 비만자는 몇 명일까?
→ PPV (양성 예측도) 사용
🔸 실제로 비만인 사람 중에
👉 현장검사가 잘 잡아낸 비율은?
→ 민감도 (Sensitivity) 사용
🔸 실제로 정상인 사람 중에
👉 현장검사가 잘 피해서 "정상"이라 판정한 비율은?
→ 특이도 (Specificity) 사용
🔸 전체 검사자 중에
👉 맞춘 비율은?
→ 정확도 (Accuracy) 사용
🐾 한 줄 요약표 (암기용)
판단 기준 | 말 바꾸면 | 공식 |
현장검사에서 비만이라 판단된 사람 중에 진짜 비만? | ➝ PPV | TP / (TP + FP) |
실제로 비만인 사람을 잘 잡았나? | ➝ 민감도 | TP / (TP + FN) |
실제로 정상인 사람을 잘 피했나? | ➝ 특이도 | TN / (TN + FP) |
전체 사람 중에 제대로 판별했나? | ➝ 정확도 | (TP + TN) / 총합 |
뇌절이지만...
보기 2번은 논리가 성립되지 않는 말 일때, 논리가 성립되는 다른 보기로 만든다면 무엇이 있을까?
음성 예측도를 묻는 보기라고 바꾸면
현장검사에서 정상 판정자는 82.4% 확률로 실제 정상이다. 이런 문장도 나올 수 있음.
🎯 정리 – 보기 ②를 정답 가능 문장으로 바꾸려면?
보기를 바꿔 묻는다면? | 문장 예시 | 설명 |
✅ 민감도 | “비만을 85.7% 민감도로 판별” | TP 기준 |
✅ 정확도 | “전체 정답률 80%” | TP + TN 기준 |
✅ NPV | “정상 판정자의 82.4%는 실제 정상” | TN 기준 |
결론은 준거검사는 양성예측도, 현장검사는 음성예측도로 물을 수 있음.
🧠 [건강체력평가] 12번 기출문제 해설 – 국민체력100 체력등급 해석
정답: ④ 건강체력이 모두 상위 50% 이내이고, 운동체력 중 한 가지가 상위 50% 이내이기 때문에 체력등급은 2등급에 해당된다.
✅ 1. 신체구성 분석 먼저
🟢 BMI 계산
못하는 흑우 읍죠? 체중을 신장(m)제곱으로 나눠주세요
✔ 정답 보기 ①: BMI ≈ 24.0 → O
🟢 체지방률
- 체지방량: 22.8kg
- 총체중: 59.1kg
- 체지방률:
→ ❌ 보기 ①에서 28.6%라고 했지만 38.6%가 맞음
→ 정답 ①은 틀림
✅ 2. 건강체력 vs 운동체력 구분
체력영역 | 항목 | 등급추정 |
건강체력 |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 모두 50% 이내 (2등급 또는 경계선) |
운동체력 | 유연성, 민첩성, 순발력 | 유연성과 민첩성은 2등급 경계선, 순발력은 3등급 이하 |
📌 종합 등급 판정 기준 (국민체력100 공식)
- 건강체력 3종 모두 50% 이내 (2등급 이내)
- 운동체력 중 1개 이상이 50% 이내면 → 종합 2등급
→ 위 기준에 딱 부합하는 사람임!
🔍 보기 검토
① ❌
BMI 수치는 맞음, 체지방률 28.6%는 틀림 (38.6%가 맞음)
② ❌
건강체력은 2등급 맞음, 운동체력도 한 가지는 2등급에 해당되므로 3등급은 아님
③ ❌
건강체력 ≠ 신체구성 포함 아님
→ 건강체력은 근력/근지구력/심폐지구력만 포함함
→ 3등급 아니고 2등급이 맞음
④ ✅
건강체력 전부 50% 이내
운동체력 중 1개 이상이 50% 이내
→ ✔ 종합 2등급
🎯 최종 정리
✔ 건강체력: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 모두 2등급
✔ 운동체력: 유연성 or 민첩성 → 2등급
→ 🔥 종합체력등급은 2등급
✅ 정답: ④번
시간날 때 국체100 측정하러 가서 내 점수 가지고 고민하면 훨씬 잘 암기됨.
🧠 [건강체력평가] 13번 기출문제 해설 – 타당도 유형 해석
정답: ④ 내용 - 공인 - 수렴
📌 문제 핵심 요약
이 문제는 20m 왕복오래달리기 검사의 타당도 확보 과정을
어떤 유형의 타당도로 설명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야.
✅ 각 타당도 개념 간단 정리
타당도 유형 | 의미 | 예시 |
내용 타당도 (Content Validity) | 전문가가 문항/검사가 측정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검토 | 전문가가 체력요소 구성해 평가항목 설정 |
공인 타당도 (Criterion-Related Validity – Concurrent) | 기존의 ‘정답 검사’와 결과를 비교 | VO₂max와 20m셔틀런 결과 상관 분석 |
수렴 타당도 (Convergent Validity) | 동일 개념을 측정하는 다른 검사와 상관성 확인 | 20m셔틀런 ↔ 스텝검사/1600m검사 상관성 |
📝 보기 문장 해석
① “건강체력 평가 전문가 집단의 전문성을 기초로 ⓵ 타당도를 검증”
→ 🔹 전문가 평가 기준 = 내용타당도 (Content Validity)
② “VO₂max 측정 결과와 상관분석”
→ 🔹 이미 확립된 준거검사와의 비교 = 공인타당도 (Criterion Validity – Concurrent)
③ “스텝검사, 1600m 검사와의 상관분석”
→ 🔹 동일 속성 측정 검사를 비교 → 수렴타당도 (Convergent Validity)
✅ 정답 조합
- ⓵ 내용
- ⓶ 공인
- ⓷ 수렴
👉 ✅ 정답: ④번
🎯 한 줄 요약 정리
✔️ 전문가 판단 → 내용타당도
✔️ 이미 검증된 기준검사와 비교 → 공인타당도
✔️ 유사개념의 다른 검사와 비교 → 수렴타당도
❓예상문제
Q. 동일한 체력 요소를 측정하는 여러 검사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식은?
① 내용타당도
② 공인타당도
③ 수렴타당도
④ 구성타당도
✅ 정답: ③ 수렴타당도
참고글
2025.04.12 - [📕ACSM/필수개념정리] - [건강체력평가] 타당도 vs 신뢰도 vs 객관도
[건강체력평가] 타당도 vs 신뢰도 vs 객관도
📌 타당도(validity)란?검사가 **무엇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도를 말해!🟢 타당도의 주요 종류종류정의 예시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전문가의 판단을 통해 검사 내용이 측정하고
corebox21.tistory.com
🧠 신체효율지수 (Physical Efficiency Index, PEI)란?
구분 | 내용 |
정의 | 회복 능력을 바탕으로 심폐지구력을 정량화하는 지표 |
공식 | PEI = (운동시간 × 100) ÷ 맥박수의 총합 (운동 후 일정 시간 측정값) |
해석 | 운동 후 심박 회복이 빠를수록 → PEI 수치가 높아짐 (효율 ↑) |
✅ PEI는 어디에서 사용되냐?
🔹 1. 하버드 스텝 테스트 (Harvard Step Test) ☑️
- PEI 지수의 대표적 적용 검사
- 5분간 스텝 업다운 후, 1분 간격 3회 맥박 측정
- 심폐회복력 = 신체효율성으로 간주
✔️ → 지금 기출문제에 사용된 게 바로 이 방식이야!
🔸 2. 그 외 테스트에서 사용될 수 있는가?
❗ 원칙적으로는 PEI는 하버드 스텝 테스트 전용 지표야.
🔎 이유:
- PEI 공식 자체가 **하버드 스텝 테스트 설계(높이 18인치, 5분, 30회/분)**에 맞춰 설계됨
- 운동 시간과 심박 측정 시점이 고정되어야 PEI가 의미 있음
✅ 결론:
PEI는 사실상 하버드 스텝 테스트에만 적용 가능한 타당한 지표다!
그 외 검사에서는 심박회복률이나 HRR 지표 등 다른 방법을 씀
🟩 보충: 다른 지표 예시
지표 | 사용하는 테스트 | 설명 |
PEI | 하버드 스텝 테스트 | 심박회복 기준 효율성 측정 |
HRR (Heart Rate Recovery) | 모든 유산소성 부하검사 | 운동 후 1분 후 심박수 변화량 |
VO₂max | 셔틀런, 트레드밀 | 최대산소섭취량 추정 |
🐾 결론 한줄요약
PEI는 하버드 스텝 테스트 전용이다.
다른 테스트에는 사용 불가하며, HRR이나 VO₂max 같은 다른 지표를 사용해야 함!
수치가 높을수록 심장의 회복능력이 좋아 신체의 효율이 높다라고 말할 수 있음.
🎯 핵심 정리
- PEI는 하버드 스텝 테스트 전용 지표다
- 맥박수 총합이 낮을수록 PEI↑ = 회복 능력 우수 (분모가 더 커야항게)
- 유산소 운동(걷기, 러닝, 자전거 타기 등)은
PEI 개선에 효과적이다!
🧠 [건강체력평가] 15번 기출문제 해설 – 운동 중 위험요인 분석
정답: ④ ㄱ, ㄴ, ㄷ
✅ 보기별 해석
🟩 보기 ㄱ.
"돌연심장사와 급성심근경색의 발생 위험은 안정 시 보다 고강도 운동에서 더 높다."
✔️ 맞음.
📌 ACSM's Guidelines(11판)에서도 강조하고 있어:
“급성 심혈관 사건(acute cardiac events)은 주로 고강도 운동 중 또는 직후에 발생하며,
특히 비활동성인 사람이 갑자기 격렬한 운동을 할 때 위험성이 급증한다.”
→ ✅ 심혈관계 급성 사건은 안정기보다 고강도 운동 시 위험↑
🟨 보기 ㄴ.
"고강도 신체활동은 근골격계 손상과 잠재적인 심혈관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 이것도 맞음.
- 근골격계 손상:
고강도 활동일수록, 관절·건·근육 손상 가능성이 커짐 - 심혈관계 위험:
고강도 운동 중 혈압 급상승, 심장 부하 증가 등으로 잠재적 문제 가능성↑
→ ✅ 고강도 운동은 일반적으로 전신 스트레스가 크다 = 위험성 높음
🟦 보기 ㄷ.
"걷기와 중강도 신체활동은 근골격 손상의 위험에 대해 낮은 관계가 있으나, 경쟁적 스포츠는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이 문장도 정확함.
- 걷기·중강도 운동 → 낮은 손상 위험 (low impact, 반복성 안정)
- 경쟁 스포츠 → 고강도, 충돌, 방향 전환 등 → 손상위험↑
→ ✅ ACSM에서도 언급함:
"신체활동의 형태와 강도에 따라 손상 위험이 달라지며,
특히 운동의 성격이 경쟁적일수록 부상 가능성은 증가한다.
🎯 최종 정답: ④번 (ㄱ, ㄴ, ㄷ 모두 옳음)
📌 보너스 정리: 자주 나오는 위험요인 키워드
위험 요인 유형 | 예시 |
급성 심장사 | 고강도 운동 중, 비활동성자의 갑작스러운 무리 |
근골격계 손상 | 점프, 착지, 방향전환, 반복적 고강도 운동 |
운동 형태별 | 걷기(안전), 인터벌 트레이닝(위험 증가 가능), 스포츠(경쟁성↑) |
❓예상문제
Q. 비활동성인 사람이 갑자기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을 시작했을 때 가장 위험한 합병증은?
① 근손실
② 지방감소
③ 돌연심장사
④ 스트레스 감소
✅ 정답: ③
운동이 무조건 좋습니다 회원님! 빡세게 운동하세요!! 라고 하면 안된다는 것을 건붕이들은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개념 문제여따
🧠 [건강체력평가] 16번 기출 해설 – 신뢰구간 & T점수 해석
정답: ③ B회원의 95% 진점수 신뢰구간은 39회에서 51회이다.
✅ 문제에서 주어진 정보 정리
- 평균 = 50회
- 표준편차(SD) = 5
- SEM (측정의 표준오차) = 3
- A회원 = 55회
- B회원 = 45회
- Z값 = 2 (95% 신뢰수준)
📌 각 보기별 분석
① A회원의 T점수 = 65이다.
→ ❌ T점수는 60이다. → 보기 오답
② A회원의 95% 진점수 신뢰구간 = 50 ~ 60회
→ ❌ 보기에서 50~60은 틀림 → 정답은 49~61
③ B회원의 95% 진점수 신뢰구간 = 39 ~ 51회
→ ✅ 정확하게 계산된 신뢰구간
못보던 공식이죠.. 신뢰구간이라는 것을 중딩 수듄으로 설명하겟승빈다...
신뢰구간은 "진짜 점수가 숨은 곳을 찾는 탐정 게임"이야!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친구가 팔굽혀펴기를 몇 번 할 수 있는지 검사했는데,
한 번만 재면 그게 진짜 실력인지 긴가민가하지?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말하는 거야:
“이 친구는 팔굽혀펴기를 55회 했지만, 오차를 생각해서 실제 실력은 49회에서 61회 사이일 가능성이 95%야!”
🔎 즉, 신뢰구간이란:
“진짜 점수가 있을 법한 범위를 알려주는 숫자 상자” 같은 거야.
→ 숫자 하나만 믿지 말고,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 범위를 함께 보는 거지!
🎯 한 줄 요약
신뢰구간은 '진짜 실력'이 숨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구간을 숫자로 알려주는 도구야!
"왜 신뢰구간에서 Z점수 2를 곱하는가?",
🧠 중학생 눈높이 설명: 왜 신뢰구간에서 Z점수 2를 곱할까?
📦 1. 정규분포란?
우리가 뭔가를 많이 측정하면, 대부분의 결과는 평균 근처에 몰리고
양 옆으로 퍼지면서 종 모양이 돼. 이걸 정규분포라고 불러!
예를 들어:
- 대부분 친구들의 키는 160~170cm쯤 돼
- 키 180cm 넘는 애도 있고, 150cm인 애도 있어
- 이런 분포가 종(鐘)처럼 생겼어! 🔔
🎯 2. "Z점수 2"는 정규분포에서 어떤 위치냐면…
평균에서 양쪽으로 ‘2칸(2표준편차)’ 떨어진 곳까지,
전체의 **95%**가 포함돼!
즉,
- 평균 ± Z=1 → 약 68% 포함
- 평균 ± Z=2 → 약 95% 포함 ← 우리가 자주 쓰는 신뢰수준!
- 평균 ± Z=3 → 거의 99% 포함
그래서 우리가 말하는 "진짜 점수는 95% 확률로 여기 안에 있어요!" 할 때
→ Z=2 × 오차범위(SEM) 를 쓰는 거야!
🔢 비유로 말하면?
우리가 진짜 점수를 숨겨놓고 그걸 찾는 박스를 만든다고 해보자!
그런데 그냥 박스를 아무 크기로 만들 순 없잖아?
- 너무 작으면 진짜 점수가 박스 밖으로 튀어나가
- 너무 크면 너무 넓어서 쓸모 없어
그래서 우리는 수학적으로 “95% 확률이면 딱 여기쯤 있어!”
→ 그 크기를 딱 Z=2 배만큼 키운 박스를 만드는 거야
✅ 핵심 한줄요약
Z=2는 평균에서 양쪽으로 2칸(2×오차) 떨어졌을 때,
전체 데이터의 95%가 들어가는 위치이기 때문에 신뢰구간 계산에 쓰는 거야!
④ 두 회원 간 차이가 있다
- A: 55회 ±6 = [49 ~ 61]
- B: 45회 ±6 = [39 ~ 51]
→ ✅ 신뢰구간이 겹친다 (49~51)
→ ❌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다
🎯 핵심 개념 요약
항목 | 의미 | 계산식 |
T점수 | 개인 점수를 표준화한 점수 | ![]() |
신뢰구간 | 측정값이 실제 값을 포함할 확률 범위 | ![]() |
SEM | 반복 측정 시 생기는 오차 범위 (정확도의 척도) | 보통 표준편차와 연계됨 |
유의한 차이 판단 | 신뢰구간이 겹치면 ❌ 차이 없음 | 독립된 구간이면 ✔ 유의 차이 |
✅ 정답: ③
❓예상문제
Q. 평균 100, 표준편차 10, 개인 점수 120일 때 T점수는?
① 60
② 70
③ 80
④ 90
✅ 정답: ②
ㅡㅡ... 어르신은 민첩성 검사 항목이 업서요. 협응력 8자 보행과 평형성 의자에 앉아 3미터 표적 돌아오기가 잇음.
정답은 3번 ㄱ,ㄴ,ㄷ
🧠 [건강체력평가] 18번 기출문제 해설 – 규칙적 운동의 이점
정답: ①번 (ㄱ, ㄴ)
📌 문제 핵심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을 했을 때 우리 몸이 평소(안정 시) 어떻게 좋아지는지"를 묻는 문제야.
반대로 말하면, **일시적인 운동 반응(acute response)**이 아닌
**장기적 적응 효과(training adaptation)**을 고르는 문제지!
✅ 보기 분석
🟩 ㄱ. "안정 시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감소"
→ ✅ 맞는 설명이야!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혈관의 탄성 개선 + 자율신경 조절 능력 향상으로 인해
안정 시 혈압(특히 이완기 혈압)을 낮춰줘. - 특히 고혈압 위험이 있는 사람에게 가장 추천되는 운동 효과 중 하나임
🟩 ㄴ. "포도당 내성 증가, 인슐린 요구도 감소"
→ ✅ 이거 아주 핵심적인 운동 효과야!
- 운동은 근육세포의 포도당 흡수 능력을 증가시켜주고
-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해줌 → 같은 혈당을 처리하는 데 적은 인슐린이 필요
→ 당뇨병 예방 효과까지 있는 대표적인 유익한 적응!
🟥 ㄷ. "절대적 최대 강도에서 분당호흡량 증가"
→ ❌ 틀렸어.
- 분당호흡량(VE)은 운동 중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생리 반응
- 최대 강도일수록 당연히 올라가지만, 규칙적인 운동의 장점이라고 보기 어려움
- 이는 acute response이지 chronic adaptation이 아님
🟥 ㄹ. "절대적 최대 강도에서 심박수와 혈압 증가"
→ ❌ 이것도 운동의 '이점'이 아냐!
- 최대 강도에서 심박수와 혈압이 올라가는 건 당연한 생리적 반응
- 오히려 규칙적인 운동은 같은 강도에서 심박수 반응이 더 낮게 나타나는 것이 이점이지
- 증가가 이점이 되진 않아!
✅ 정답: ①번 (ㄱ, ㄴ)
🎯 한 줄 요약
규칙적인 운동의 이점은 안정 시 생리적 상태가 더 건강하게 변화하는 것이다.
📌 예상문제
Q.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의 장기적 적응으로 옳은 것은?
① 안정 시 혈압 상승
② 안정 시 심박수 감소
③ 운동 중 호흡수 감소
④ 운동 중 혈당 증가
✅ 정답: ②
지겹지 않습니까..? 계속 용어로 우리를 시험하는 것이..?
2025.04.15 - [📕ACSM/필수개념정리] - [병태/생리/건체평] 인슐린과 포도당 말장난 정리 ㅡㅡ
[병태/생리/건체평] 인슐린과 포도당 말장난 정리 ㅡㅡ
🧠 [운동생리학] 인슐린과 포도당 용어 총정리 – 낚시 문제 방지 세트!인슐린? 민감성? 저항성? 포도당 내성?뭔가 다 들어본 말인데 헷갈리는 단어들 한 번에 정리해줄게!🧩 1. 인슐린 관련 용
corebox21.tistory.com
그래서 준비했습ㄴ지다 후후...
와 여러분 책에 있는거 통째로 나왔씁니다
징후 !!!@ 징후가 중요합니다!!!!!!!!!!!!!!!!!! 질환보다 징후가 중요하요/111
🧠 [운동처방] 19번 기출 해설 – 운동 전 의학적 평가 알고리즘(ACSM 11판 기준)
정답: ②번
📌 문제 핵심 요약
이 문제는 ACSM’s Guidelines (11판)에 수록된
“운동참여 전 의학적 평가 필요성 판단 알고리즘”을 그대로 그림으로 낸 거야.
요소는 총 3가지:
- 규칙적 운동 참여 여부
- 기저 질환 보유 여부 (심혈관/대사/신장)
- 운동 중 증상 유무 (흉통, 현기증, 호흡곤란 등)
✅ 보기 위치별 해설
🔷 ① 규칙적 운동 참여 中
기저질환 없음 + 증상 없음
→ 운동 중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거의 없음
✅ ⬅ 의료적 평가 필요 없음 + 운동 권장
🔷 ② 기저 질환 있음 + 무증상
→ 현재는 안전하지만, 기저질환 보유로 인해
고강도 운동 전에만 의학적 평가 필요
✅ ⬅ 의료적 평가 필요 없음 + 운동 권장
단, 고강도 운동 전엔 확인 필요!
🔷 ③ 증상 또는 징후 있음
→ 운동 강도/질병 여부와 무관하게
일단 증상이 있으면 의학적 평가 필요!
✅ ⬅ 의료적 평가 필요 + 운동 보류
🔷 ④ 의학적 허가 후
→ 허가 받은 뒤에는 ACSM 지침 따라 점진적 운동 OK
✅ ⬅ 운동할 수 있음 (권장 아님!)
📌 정답 조합: ②번
① 필요 없음 / 필요 없음 / 운동 권장
② 필요 없음 / 필요 없음 / 운동 권장
③ 필요함 / 운동 보류
④ 운동할 수 있음
🎯 예상문제 예시
Q. 규칙적으로 운동하던 사람이 흉통을 느꼈다면?
① 의료적 평가 없이 운동 지속
② 운동 강도를 줄여서 유지
③ 운동 중단하고 의학적 평가 받기 ← ✅
④ 고강도만 피하면 괜찮다
🔁 ACSM 운동참여 알고리즘 – 한 문장 요약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사람은 대부분 OK,
기저질환 있으면 고강도 전엔 확인,
증상 있으면 무조건 의사부터!
🧠 추가 해석 (3줄 완성형)
- 규칙적 운동자 + 무증상 → 거의 다 운동 가능
- 기저질환 有 → 중강도 OK / 고강도 전엔 확인 필요
- 증상 有 → 무조건 운동 STOP, 의료적 평가 먼저!
이걸 “규-기-증” 3단계 판단법이라고 기억하면 좋아:
- 규칙적이면 OK
- 기저질환 있으면 고강도 전 체크
- 증상 있으면 무조건 STOP
실제로 이렇게 암기해야지 고르는데 시간이 덜 걸림. 텍스트로 외우면 머리아품
🧠 [운동생리학/건강체력평가] 20번 기출 해설 – 신체활동 측정 도구
정답: ①번
📌 문제 핵심
문제는 "신체활동 측정 도구"들의 측정 원리를 정확히 알고 있냐를 물은 거야.
정답이 아닌 걸 고르는 문제이므로
✔ 옳은 보기 3개 vs ❌ 틀린 보기 1개
→ 정확한 분류 기준이 필요해!
✅ 보기 분석
❌ ① 보수계는 보행 강도와 이동 속도를 통해 측정한다
- ❌ 틀림!
- **보수계(pedometer)**는 ‘걸음 수’를 측정하는 기계일 뿐
보행 강도나 이동 속도는 측정할 수 없어! - 즉, 단순한 “수량”만 측정하지 속도나 강도는 못 봄
✅ ② 직접열량계는 열량계를 통해 수분이 환기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 ✅ 맞는 설명!
- 직접열량계는 폐쇄된 방에서 열 생산량 자체를 측정함
- 수분이 응축되며 방출하는 열 등을 포함해서 실제 열 방출량 측정
✅ ③ 간접열량계는 호기 가스생성량을 기초로 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한다
- ✅ 맞음!
- 산소 소비량 (VO₂), 이산화탄소 생성량 (VCO₂) 기반으로
→ 대사량 추정하는 게 간접열량계
✅ ④ 가속도계는 움직임의 시간과 속도의 변화량 감지를 통해 측정한다
- ✅ 이건 완벽하게 맞는 설명!
- **가속도계(accelerometer)**는 가속도(속도의 변화량)를 측정
→ 움직임의 양과 질을 동시에 추적 가능
✅ 정답: ①번 (보수계는 강도나 속도 측정이 불가능함)
🎯 한 줄 요약
보수계는 단순히 걸음 수만 셀 수 있고, 강도나 속도는 알 수 없다!
🧩 표 정리: 신체활동 측정 도구 vs 측정 원리
측정 도구 | 측정 방식 | 측정 내용 |
보수계 | 걸음 수 | 단순 이동 횟수 |
가속도계 | 속도 변화량 | 강도 + 시간 + 빈도 |
직접열량계 | 열 발생 측정 | 실제 열량 소비 |
간접열량계 | 가스 교환 측정 | 에너지 소비 추정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풀이본 건체평 중에 가장 사악한 난이도를 자랑하는군!!! 절레절레
'🔴건강운동관리사🔴 > 💯24년도 기출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20 |
---|---|
2024 건강운동관리사 운동부하검사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9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2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1)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운동처방론 1-10번 기출문제 풀이 및 개념정리 (0) | 2025.04.18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건강체력평가 1-10번 기출문제 해설 및 개념정리 (1) | 2025.04.15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운동생리학 11-20번 (0) | 2025.04.15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기출문제 풀이ㅣ운동생리학 1-10번 (0) | 2025.04.14 |
24년 건강운동관리사 스포츠심리학 16~20번 기출 해설 및 개념 정리 (0)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