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기능해부학, 운동역학

내전근의 심화기능

by 둔근해 2025. 1. 24.
반응형

암기 팁 : Brevis&longus는 전면에서 잘 보이고, minimus&magnus 는 후면에서 잘 보임.
전면에서 잘보이니까 굴곡과 조금 더 연관있고, 후면에서 잘 보이니 신전과 외회전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하면 편함. 

pc 최적화 표입니다.

  Brevis Longus Minimus Magnus
위치 치골하부~대퇴후면 치골상부~대퇴중앙 치골하부~대퇴 상후면 치골,좌골~대퇴후면,내측상과
주요
기능
AD
약한FL (신전상태에서 약간 굴곡보조)
ER (내전하면서 약간 외회전)
AD
약한FL (신전상태에서 약간 굴곡보조)
중립적인 회전보조
(IR or ER 없이 안정성을 유지)
AD
ER (내전하면서 약간 외회전할 때 활성화)
약한FL (신전상태에서 약간 굴곡보조)
AD (가장 강함)
EX
회전보조 (IR&ER 모두 안정화 역할 수행)
심화
기능
-보행 중 고관절 내전과 외회전을 통해 골반 안정화
-방향전환동작시 고관절 위치 조정 역할
-보행 시 내전 조절, 싱글레그 체중 지지시 골반의 안정성을 도움.
-달리기, 점프 시 몸 중심을 안정화
-빠른 방향전환 움직임에서 중요역할(드리블,스텝에서 세밀한 조정자)
-대내전근과 함께 EX, ER 보조해 무게중심 잡는 역할 수행
-고관절 안정화
내측섬유 : AD & EX
후면섬유 : EX & ER
-고중량 운동시 하체 안정성 담당, 다리정렬 유지 역할
활성화 -Hip FL 70도
-움직임 범위 작게 설정. 편측 운동 o
-천천히 수축.
-골반고정 후, 다리 움직임만 사용.
-Hip FL 70도
-HIP FL 80도 이상 신전기능로 전환.
-고관절 중립 위치에서 약간 굴곡 상태
-고관절의 외회전 움직임을 추가한 스트레칭 (개구리, 나비자세) 병행.
등척성 수축 활용.
-고관절의 다양한 각도에서 활성화. 특히 신전된 상태에서 내전 활성.
-고관절 굴곡 상태에서는 내전과 내회전 기능 수행.
운동








코펜하겐 플랭크 움직임 다리의 외회전이 들어간 상태에서 내전으로 슬라이드.
스쿼트, 데맆 전 활성화 필요. 고강도x
-딥스쿼트, wide stance
-신전에 개입되므로 데맆이나 힙쓰 같은 운동과 병행. 고강도o
내전근근육군은 골반 안정화, 보행, 방향 전환, 하체 힘 전달 및 균형 유지에 큰 역할을 함.

 

작은모음근, 소내전근은 해부학책에서 잘 다루지 않으나 고관절 안정화에 영향을 주는 근육이므로 존재감을 느껴볼 것!?ㅋㅋ 

가장 강력한 모음근으로 큰내전근은 후면과 내측섬유로 구분지을 수 있고 저렇게 덕지덕지(?) 붙어있어 강한 힘을 발휘함과 동시에 다양한 각도에서 활성화가 됨.  특히 후면에서 이렇게 넓게 분포되어 있어 신전된 상태에서 내전이 활성화가 더 잘 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