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기능해부학, 운동역학

내전근과 거위발근육과의 상관관계

by 둔근해 2025. 1. 28.
반응형

요약 : 고관절과 무릎 관절 안정성 및 움직임 협응으로 내전근과 거위발근육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또한 내전근의 약화나 불균형은 거위발 근육의 과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두 근육간의 균형이 중요.

 

1. 내전근군의 역할

1) 고관절 내전에 주된 역할, 골반과 대퇴골을 연결해 골반 안정성 유지. 보행 시 다리를 모아 중심을 잡거나 방향전환에 중요.

2) 무릎의 안정성에 간접적 기여 : 고관절과 대퇴골 정렬을 유지하여 무릎 관절에 과도한 부하가 가지 않도록 도움.

 

2. 거위발 근육의 역할

1) Sartorius, Gracilis, Semitendinosus 는 대퇴 내측상과에 붙어 고관절 내회전과 내측 안정성에 기여. 거위발 근육은 고관절과 무릎 관절을 모두 가로지르는 다관절 근육으로 하지 움직임의 협응과 힘 전달을 조율.

 

3. 내전근군와 거위발 근육의 상관관계

1) Gracilis : 고관절 내전하며 내측안정성을 유지. 방향 전환 동작에서 무릎의 내측 회전 담당. 내전근군과 협력해 체중 이동을 매끄럽게 만듬.

2) Sartorius : 고관절 외회전&굴곡에 관여. 내전근군이 과도하게 수축되거나 약화되면, sartorius가 과부하될 가능성이 높음. (고관절 안정성이 떨어질 경우, 봉공근이 보상적으로 더 많은 작업을 하게 됨)

3) semitendinosus : 고관절 신전과 무릎 굴곡에 기여. 거위발 근육 중 강력한 움직임 조절자 역할. 내전근군이 고관절 내전/안정성을 담당할 때, 반건양근은 대퇴골과 tibia의 회전 정렬을 조율하여 무릎 안정성을 지원.

 

3. 기능해부학적 관계

고관절과 무릎 관절의 협응 : 내전근은 고관절, 거위발은 고관절&무릎 ==> 복합적인 협응 동작에 기여. 내전근군이 고관절 내전과 골반안정성을 제공한다면 거위발은 무릎 굴곡, 내회전, 그리고 무릎 내측 안정성 강화에 기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직 AI가 해부학적 그림을 멋지게 그려주는건 무리인가보다

거위발 너무 한거아니가..? 검정색 반스 저거 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단 엽기적이고 귀여우니까 합격이다!

 

 

2025.01.24 - [🔴건강운동관리사🔴/📕기능해부학, 운동역학] - 내전근의 심화기능

 

내전근의 심화기능

암기 팁 : Brevis&longus는 전면에서 잘 보이고, minimus&magnus 는 후면에서 잘 보임.전면에서 잘보이니까 굴곡과 조금 더 연관있고, 후면에서 잘 보이니 신전과 외회전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하면 편함.

corebox21.tistory.com

 

2021.01.14 - [🔴건강운동관리사🔴/📕기능해부학, 운동역학] - 거위발 Pes anserinus. 근육 종류와 특징. 그리고 공통점

 

거위발 Pes anserinus. 근육 종류와 특징. 그리고 공통점

거위발 Pes anterinus 안쪽부터(몸의 중심과 가까운 쪽부터) 외우자. 거위발에 뽕박힘! 1. 봉공근/sartorius/넙다리빗근 2. 박근/gracilis/두덩정강근 3. 반건양근/semitendinosus/반힘줄근 거위발 근육의 공통

corebox21.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