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 운동역학

거위발 Pes anserinus. 근육 종류와 특징. 그리고 공통점

by 둔근해 2021. 1. 14.
반응형

거위발 Pes anserinus. 근육 종류와 특징. 그리고 공통점
거위발 Pes anserinus. 근육 종류와 특징. 그리고 공통점

 

 

거위발 Pes anterinus 

안쪽부터(몸의 중심과 가까운 쪽부터) 외우자. 거위발에 뽕박힘!

1. 봉공근/sartorius/넙다리빗근

2. 박근/gracilis/두덩정강근

3. 반건양근/semitendinosus/반힘줄근

 

거위발 근육의 공통점은 

1) 무릎의 신전과 내회전 역할을 한다.

2) 정지점이 동일하다.  Tibia : medial surface (superior part)

 

그래. 모양을 봐선 거위발처럼 생기긴 했는데 애들을 왜 묶어서 표현하눈데?!

 

뉴만 624쪽

1) 봉공근, 박근, 반건양근의 결합된 3개의 힘줄은 거위발로 알려진 공통의 넓은 결합조직막을 이용하여 정강뼈에 부착된다. 하나의 근육무리로 거위발 근육들(pes muscle)이라 하고 무릎의 굽힘근이면서도 효과적인 내회전근육이다.

2) 무릎의 안쪽면에 대한 중요한 동적인 안정성을 더해준다.

3) 안쪽관절주머니와 함께 거위발 근육들에서의 능동장력은 무릎의 외회전과 무릎에 가해지는 밖굽이(외반슬/x다리/valga)의 부하들을 저항하게 된다. 즉 외회전과 외번(가쪽들림)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근육들.

4) 경골에 대한 대퇴골의 내회전 감속 역할.

5) 안쪽관절주머니를 덮고 있어 그 부분에서 점액낭염에 걸리면 다리의 안쪽 즉, 세 근육의 정지점이 붓게 된다.

 

 

정리

1. 거위발 Pes anserineus 거위발에 뽕박힘

1) 넙다리빗근(봉공근 Sartorius)

2) 두덩정강근(박근 Gracilis)

3) 반힘줄근(반건양근 Semitendinosus)

<추가설명>

1) Knee FX, IR 기능 수행

2) 슬관절의 ER, Valgus stress 에 저항.

3) 정강뼈에 대한 넙다리뼈와 골반의 내회전을 감속시키는 역할 수행

4)모두 정강뼈 몸쪽 내측 위치하며 정지점 동일. 점액낭염 발생 가능성이 있어 무릎의 안쪽측면이 부을 수 있음.

 

거위발 근육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