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번째 공식:
🧮 자유낙하 거리 공식
📘 이게 무슨 뜻이냐면?
"물체가 위에서 떨어질 때, **얼마나 떨어졌는지(높이, 거리)**를 구하는 공식"이야!
✅ 공식 속 단어들 뜻
- s: 얼마나 떨어졌는지 (거리, 높이)
- g: 지구에서의 중력가속도 → 보통 9.8 m/s² (외우자!)
- t: 떨어진 시간 (몇 초 동안 떨어졌는지)
🎯 공식 풀어보기 예시
예를 들어, 물체가 3초 동안 자유낙하했다면?
➡ 44.1미터 높이에서 떨어졌다는 뜻!
🧠 왜 1/2 이 들어갈까?
이유: 속도가 점점 빨라지기 때문이야!
🎯 자유낙하는 등가속도 운동이야
- 물체가 떨어질 때 처음에는 멈춰 있다가,
- 점점 빨라져서 1초, 2초, 3초 갈수록 속도가 커짐
그러니까 속도는 계속 바뀌는 중이고,
👉 우리가 알고 싶은 건 **그 전체 시간 동안의 “평균 속도”**야.
📐 비유로 이해해보자
- 만약 어떤 사람이 처음엔 0km/h → 10초 뒤엔 100km/h로 달렸다면,
👉 전체 평균속도는?
즉, 속도가 0에서 점점 커질 땐 평균속도가 전체 속도의 절반쯤이야.
→ 그래서 거리 = 평균속도 × 시간이 되는데,
→ 평균속도가 gt의 절반 → 1/2gt
→ 거기에 시간 한 번 더 곱하면
📌 한 줄 요약
"처음에 멈춰 있다가 점점 빨라지니까,
그 평균속도가 전체 속도의 절반 → 그래서 1/2이 붙음.
✅ 두 번째 공식
🧮 자유낙하 속도 공식
📘 이게 무슨 뜻이냐면?
“물체가 떨어질 때, 시간이 지나면 속도가 얼마나 빨라지는지를 알려주는 공식이야!”
✅ 공식 속 단어들 뜻
- v: 낙하 순간의 속도 (예: 땅에 닿기 직전의 속도)
- : 중력가속도 (9.8 m/s²)
- t: 낙하 시간 (몇 초 떨어졌는지)
🎯 핵심 개념: 중력은 계속 끌어당긴다!
- 1초 후 → 9.8m/s
- 2초 후 → 19.6m/s
- 3초 후 → 29.4m/s
→ 즉, 매초마다 9.8씩 속도가 늘어난다는 뜻!
💬 실생활 비유
중력이 끌어당기는 힘은 일정해서,
1초 지날 때마다 속도가 9.8씩 붙는 느낌이야.
📌 예시 문제
물체가 3초 동안 자유낙하했다면?
→ 땅에 닿을 때 속도는 초속 29.4미터!
🧠 한 줄 암기
“속도는 시간 × 중력!
v=gt 그냥 곱하면 끄읏-
✅ 세 번째 공식
🧮 평균속도 공식
📘 이게 무슨 뜻이냐면?
“**전체 이동한 거리(s)**를 **걸린 시간(t)**으로 나누면
→ 그 동안의 평균속도를 알 수 있다!”
✅ 공식 속 단어들 뜻
- vˉ\bar: 평균속도 (전체 평균으로 얼마나 빨랐냐)
- s: 전체 거리
- t: 전체 시간
🎯 언제 쓰이냐면?
- 속도가 계속 바뀌었을 때,
→ “전체적으로 얼만큼 빨랐는가?”를 알고 싶을 때 써
🍜 비유로 생각해보자!
친구랑 라면 먹으러 가는데,
→ 왕복 4km를 40분 걸렸으면?
→ “우리는 평균적으로 시속 6km로 걸은 거야!” 🏃
💡 자유낙하와 연결해서 보면?
우리가 앞에서 계산한 3초 동안 낙하한 거리 s = 44.1m
→ 평균속도는?
✔ 처음엔 정지(0 m/s)였고
✔ 마지막엔 29.4 m/s
➡ 평균이 14.7 m/s → 딱 중간값!
✅ 한 줄 요약!
“거리 ÷ 시간 = 평균속도!”
평균속도는 언제나 거리/시간이 기본이야 😼
✅ 네 번째 공식
🧮 등가속도 운동 공식 – 속도 & 거리 관계
📘 이게 무슨 뜻이냐면?
“**초기 속도(v₀)**가 있고,
**가속도(a)**를 받아서 **거리(s)**만큼 움직였다면,
그때의 **속도(v)**는 어떻게 될까?”
→ 그걸 계산해주는 공식이야!
✅ 공식 속 단어들 뜻
- v: 최종 속도 (나중 속도)
- v0: 처음 속도 (출발 속도)
- a: 가속도 (자유낙하라면 g)
- s: 이동한 거리 (위치 변화)
🎯 이 공식을 언제 쓰냐면?
- 시간을 모를 때!
- “거리만 알 때 속도를 구하고 싶다” → 이때 써!
- 자유낙하에서도 처음에 밀어 떨어뜨렸을 때 쓸 수 있음
📌 예시
물체를 초속 0으로 낙하시켜서 44.1m를 떨어졌다면,
→ 땅에 닿을 때 속도는?
864의 제곱근을 쌀집계산기로 계산 할 수 없지만 일단 갠또를 때릴 순 있음. 20의 제곱은 400이고 30의 제곱은 900이니까 대충 29의 제곱 때리면 841 나오니까 비슷한 숫자 고르면 될듯ㅋㅋㅋㅋㅋ 흑
✔︎ 시간 안 써도 속도를 구했지?
🧠 이 공식을 외우는 꿀팁
“속도의 제곱은 출발 속도의 제곱 + 거리와 가속도 곱하기 2!”
💬 비유로 외우기
"v²는 에너지 느낌나는 공식"
속도 제곱, 거리, 가속도 → 전부 뭔가 힘/속도/거리 관련된 느낌
→ 그래서 운동에너지 공식이랑 느낌 비슷해서
고난도 문제에서 자주 나옴!
그래서!!! 기능해부학 16년도 9번 풀 수 있다!!!
🧮 문제 요약
- 자유낙하 시간 : 초
- 중력가속도: g=9.8 m/s^2
- 물체가 낙하한 높이 s와, 도달 순간 속도 v는?
✅ 사용하는 공식
낙하 거리 공식
낙하 속도 공식
🎯 정답:
③ s = 44.1m, v = 29.4m/s
📌 보기 분석
- 보기 ①, ④: 거리 틀림 + 속도 단위 틀림 (m/s²는 가속도 단위야 ❌)
- 보기 ②: 속도 값은 맞지만 단위가 틀렸고 거리도 틀림
- 보기 ③: 완벽함 ✔
반복만이 답이닷....
'🦴기능해부학, 운동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능해부학] 보행과 달리기 비교 설명 (0) | 2025.04.21 |
---|---|
[기능해부학★★★★★] 관절의 형태 종류와 설명, 예시, 암기팁 (0) | 2025.04.13 |
[기능해부학] 둔근 섬유 방향별 기능 (대둔근 위/아래섬유, 중둔근 앞/뒤섬유) (1) | 2025.04.13 |
[기능해부학★★★★★] 상지 하지 신경근 수준별 근육 기능, 반사, 테스트, 손상 암기 (1) | 2025.04.05 |
[기능해부학★★★★★] 신경별 지배 근육 암기 꿀팁 (0) | 2025.04.05 |
[기능해부학] 근육 층 총정리 (발바닥, 손바닥, 척추기립근 등 7가지) (0) | 2025.03.15 |
내전근군 근육과 내측연골과의 상관관계와 운동 (0) | 2025.01.28 |
내전근과 거위발근육과의 상관관계 (0) | 2025.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