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ore🟡/📒뉴만 정리9

<뉴만> 어깨복합체 근육군들 (올림과 내림/내밈과 뒤당김/위쪽돌림+팔올림과 아래쪽돌림+모음과 폄/안쪽돌림과 가쪽돌림) 어깨올림근 위등세모근 Upper Trapezius 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 마름근 Rhomboids (Major/Minor) 특징 팔이음뼈Shoulder girdle 이상적인 자세 = 어꺠뼈의 약간 올림, 비교적 뒤당김, 관절오목의 약간의 위쪽 향함. 위등세모근만 마비 - 척수더부신경(제11뇌신경)에 대한 손상 때문에 일어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뇌졸증 이후나 근육퇴행위축 , 길랭-바레증후군과 같은 질환에 의해 약화 or 마비됨. 팔이음뼈 주변 근육이 약해지면 중력 때문에 어깨가 축 처질 수 있다. 이는 어깨뼈 내림+내밈+과도한 아래쪽돌림으로 인해 발생된다. 위등세모근의 마비가 있다면 내림된 빗장뼈는 SC관절의 위쪽탈구를 초래. 내림된 빗장뼈몸통은 빗장밑 혈관들과 팔신경얼기의 일부를 압박.. 2021. 6. 15.
<뉴만> 어깨복합체의 근육과 관절의 신경지배 C5~T1까지의 신경뿌리의 앞가지들로 형성된 팔신경얼기를 통해 신경지배를 받는다. 팔신경얼기는 크게 2 영역 (뒤신경다발과 팔신경열기의 몸쪽분절)으로 나눌 수 있다. 뒤신경다발 : 겨드랑신경/어깨밑신경/가슴등신경 팔신경얼기의 몸쪽분절 : 등쪽어깨신경/긴가슴신경/가슴근신경/어깨위신경 XI (11 뇌신경) : 등세모근만 일차적으로 뇌신경 지배를 받고 위쪽 목신경들의 신경 뿌리로도 운동과 감각 신경지배도 약간 받음. 제 11 신경은 부신경, 체성운동, 목구멍과 목근육 운동을 담당. 몸쪽 안정자 : 척추, 갈비뼈, 머리뼈에서 시작 ~ 어꺠뼈와 빗장뼈에 부착 근육들. (등세모근/앞톱니근) 먼쪽 가동자 : 어깨뼈와 빗장뼈에서 시작 ~ 위팔뼈나 아래팔에 부착 근육들. (어깨세모근/위팔두갈래근) 안정자와 가동자 사이의.. 2021. 6. 14.
<뉴만> 어깨위팔리듬 운동형상학적 6대 원리 (자연스러운 어깨의 움직임) 180도 어깨벌림 = 120도 GH관절 벌림 + 60도 ST관절 위쪽돌림 위에서 60도 ST관절 위쪽돌림 = AC관절 위쪽돌림 + SC관절 올림 (각관절의 정확한 각운동은 증명하기 어려움.) 어깨벌림동안 빗장뼈는 SC관절 뒤당김 어깨벌림동안 빗장뼈는 뒤쪽으로 돌림 어깨벌림동안 어깨뼈는 뒤쪽 기울임, 약간 가쪽돌림 어깨벌림동안 GH관절 가쪽돌림 그림 A 해부학적 자세시 느슨한 부리빗장인대 그림 B 앞톱니근이 어깨뼈를 위쪽돌림시킴에 부리빗장인대는 팽팽해짐. => 빗장뼈 뒤쪽돌림+Ac관절 위쪽돌림 2021. 6. 14.
<뉴만> GH관절 운동형상학(모음,벌림/굽힘,폄/안쪽돌림,가쪽돌림) 자유도 3도 (굽힘/폄, 벌림/모음, 안쪽돌림/가쪽돌림) GH관절에서 120도 벌림. 어깨복합체에서 완전한 벌림은 어깨뼈의 위쪽돌림 60도 동시작용. 모음 : 아래쪽으로 구르기와 위쪽으로 미끄러짐 벌림 : 위쪽으로 구르기와 아래쪽으로 미끄러짐 그림 A : 위팔뼈머리 22도 벌림에 의한 위쪽 구르기 1cm 그림 B : 벌림시 아래쪽 미끄러짐이 없다면 부리봉우리활에 대한 위팔뼈머리의 부딪힘을 유발. 벌림이 원활x 70도보다 더 큰 어깨각도에서 벌림시 어깨의 앞쪽 통증은 반드시 가시위근의 힘줄 씹힘 때문만은 아닌, 봉우리밑공간의 다른 구조물의 압박에 의해 발생되거나, 돌림근띠 근육의 전반적인 건병증과 같은 다른 원인도 있음. 노란색 : 위팔뼈머리가 봉우리의 밑면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벌림 각도 빨간색 : 가.. 2021. 6. 14.
<뉴만> 정적인 안정성에 대한 어깨가슴의 자세와 그 영향 뉴만 정적인 안정성에 대한 어깨가슴의 자세와 그 영향 줄은 근육의 힘을 방향을 나타냄. SCS(관절주먼의 위쪽 구조물들로 위관절주머니인대, 부리위팔인대, 가시위근의 힘줄의 수동장력을 표현.)에서의 수동장력은 중력에 의해 생산된 힘과 합성되면서 압박력CF를 만들어냄. 경사면을 누르고 있는 공(위팔뼈머리)에 비유. 중력은 위팔뼈를 밑으로 당길 수 있다. 이것이 지지되지 않아 아래쪽으로 당김이 지속된다면 위쪽 구조물들에서의 가소성 변형을 초래. 아래쪽 아탈구로 이어짐. 움직이지 않을 때 관절주머니의 위쪽구조들SCS가 위팔뼈머리를 위한 1차적인 인대성 지지 제공. 정적인 지지를 위한 근육의 이차적 지원은 주로 돌림근띠 근육에 의해 제공. 만성적인 견갑 아래쪽돌림은 위등세모근과 같은 어떤 근육의 약화나 마비에 의.. 2021. 6. 12.
<뉴만> 돌림근띠 근육과 위팔두갈래근의 긴갈래, GH관절 안정화 조직 돌림근띠(회전근개 4가지 근육 : 가시위근/가시아래근/작은원근/어깨밑근) 중에 가장 두꺼운 근육은 어깨밑근(subscapularis)이다. 관절주머니 앞쪽에 위치. 가시위근/가시아래근/작은원근은 관절주머니의 위쪽과 뒤쪽에 위치. 이 근육들의 힘줄은 관절주머니와 섞이게 됨. 위쪽관절주머니Superior ~ Rotator interval (돌림근띠간격)~ 중간관절주머니 Middle ~ 아래관절주머니 Inferior 돌림근띠간격이란, 가시위근과 어깨밑근 사이 영역을 말하는데 그 부분을 감싸는 관절주머니는 없다. 관절주머니의 앞/위쪽 영역을 말하며 이 영역의 돌림근간격에서 얇고 다양한 구멍이나 결손을 야기시킨다. 돌림근간격은 위팔두갈래근 장두 힘줄, 부리위팔인대, 위오목위팔인대와 중간오목위팔인대에 의해 강화됨... 2021. 6. 11.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오목위팔관절 지지구조들 오목위팔(GH)관절의 결합조직과 지지구조들 위팔두갈래힘줄 긴갈래를 보면 힘줄이 윤활집(Synovial sheath)로 감싸져있고 오목관절 테두리에서 시작됨을 알 수 있다. 섬유성 관절 주머니(fibrous capsule)에 둘러싸인 GH 관절의 주변 조직들. GH 관절의 관절 주머니는 비교적 얆고 두꺼운 외부 인대들에 의해 강화됨. GH관절의 동적인 안정자 = 돌림근띠(rotator cuff) 오목위팔관절의 불안정성과 안정성 가동성이 크면 클 수록 안정성은 떨어진다. 오목위팔관절은 가동성에 더 적합한 특징을 갖는다. 관절오목의관절면이 위팔뼈머리 관절면의 약 1/3만 덮고 있다. 받쳐주는 면이 적다는 뜻이다. 떨어지는 안정성 때문에 주변에 인대들과 근육 등 결합조직들이 튼튼하지 않으면 어깨를 오래 사용 할.. 2021. 6. 10.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관절학 (복장빗장과 봉우리빗장) 어깨복합체의 관절학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어깨복합체의 관절 복장빗장관절 SC 봉우리빗장관절 AC 오목위팔관절 GH 어깨가슴관절 ST 이중에 어깨가슴관절만 참관절이 아니다. 어깨뼈는 등에 붙어있음과 동시에 둥둥 떠다니고 미끌려 다닌다는 것을 잊지말쟈! 어깨복합체 중 어깨가슴관절(ST)의 동작 올림 Elevation : 가슴에 대해 어깨뼈가 위로 미끄러짐 내림 Depression : 가슴에 대해 어깨뼈가 아래로 미끄러짐 내밈 Protract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가 가슴에 대해 앞&가쪽으로 미끄러짐 뒤당김 Retract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가 가슴에 대해 뒤&안쪽으로 미끄러짐 위쪽돌림 Upward Rotation : 어깨뼈의 아래각이 위&가쪽으로 돌림 아래쪽돌림 Downward Rotation .. 2021. 6. 10.
<뉴만> 어깨복합체 Shoulder Complex : 골학 태블릿 4시간동안 바라보니까 토 나올 것 같아서 PC를 사용ㅎㅏ기로 맹세했다 쓰바압! .. 사스가 나는 컴터맨.... 펜으로 색칠 깨잘깨잘하는거 재밌긴한데 글 쓰는게 너무 힘들다. 근데 확실히 머리속에 잔상은 글로 쓰거나 공책에 직접 쓰는게 짱인 것 같다. 아무튼 어깨복합체 1회독을 끝내고 사진 위주로 정리를 해보자. 골학 파트는 엄청 세세하게 외운다긴보다는 랜드마크가 무엇이고 그것이 어디에 있는 것인지 빨리 익숙해지면 나중에 다른 공부할 때 매우 수월해진다. 솔직히 처음부터 외우는건 나는 불가능했다. 계속 봤음 그냥. 복장뼈 Sternum 의 골학적 특징 복장뼈자루 빗장관절면 갈비관절면 목아래패임 빗장뼈의 골학적 특징 빗장뼈몸통 복장끝 갈비관절면 갈비거친면 봉우리끝 봉우리관절면 원뽈인대결절 마름인대선 .. 2021. 6.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