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운동상해

[운동상해] 뇌신경 12쌍 개념정리 및 암기법 (절대 못까먹음)

by 둔근해 2025. 4. 20.
반응형

🧠 뇌신경(Cranial Nerves) 12쌍 요약 정리

번호한글 이름영어 이름주된 기능신경 종류
번호 한글이름 구/신용어 영어이름 주된 기능 신경종류
I 후각신경/후각신경 Olfactory 후각(냄새) 감각
II 시신경/시각신경 Optic 시각(눈) 감각
III 동안신경/눈돌림신경 Oculomotor 안구 운동, 동공 수축 운동
IV 활차신경/도르래신경 Trochlear 안구 아래·안쪽 회전 운동
V 삼차신경/삼차신경 Trigeminal 얼굴 감각, 저작근(씹기) 혼합
VI 외전신경/갓돌림신경 Abducens 안구 외전(가쪽보기) 운동
VII 안면신경/얼굴신경 Facial 얼굴 표정, 미각(앞 2/3), 눈물, 침 혼합
VIII 전정와우신경/속귀신경 Vestibulocochlear 청각 + 평형감각(균형) 감각
IX 설인신경/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미각(뒤 1/3), 연하, 타액 분비 혼합
X 미주신경/미주신경 Vagus 발성, 연하, 자율신경(장기) 혼합
XI 부신경/더부신경 Accessory 목, 어깨 근육(승모근, SCM) 운동
XII 혀밑신경/혀밑신경 Hypoglossal 혀 움직임 운동

🎯 신경 종류별 분류

분류해당 신경특징 요약
분류 해당 신경 특징 요약
🔵 감각신경 I, II, VIII 감각 정보(후각, 시각, 청각/평형) 전달
🔴 운동신경 III, IV, VI, XI, XII 눈, 목, 혀 등 운동 명령 전달
🟣 혼합신경 V, VII, IX, X 감각 + 운동 모두 포함 (입, 얼굴, 인후 등 복합 기능 담당)

 


📌 같이 외우면 좋은 감각/운동/혼합 분류

구간신경종류
구간 신경 종류
후(1), 시(2), 전(8) 감각신경 후각, 시각, 청각/평형
동안(3), 활(4), 외(6), 부(11), 혀(12) 운동신경 눈, 어깨, 혀
삼(5), 안(7), 설(9), 미(10) 혼합신경 감각 + 운동 다함

“감각은 앞쪽, 운동은 중간, 혼합은 말많은 중간~뒤쪽!”


🧪 뇌신경 검사 예시 (간단 정리)

검사 부위  확인할 뇌신경
후각 테스트 I번 (후각신경)
시야/시력 검사 II번 (시신경)
눈동자 반응 III, IV, VI번 (동안, 활차, 외전)
얼굴 감각 + 씹기 V번 (삼차신경)
얼굴 표정 + 미각 VII번 (안면신경)
균형, 청력 VIII번 (전정와우신경)
인후 반사 + 연하 IX, X번 (설인, 미주신경)
어깨 으쓱, 목 돌림 XI번 (부신경)
혀 움직임 XII번 (혀밑신경)

 

설마 이따구로 정리해두고 암기해...

??? :  쓰니 손목 몃개야,,??

죽고싶음?

 

호호호 당연히 준비햇죠 여러분들의 시간을 아껴드리겠읍니다.

 

 

뇌신경 12쌍 암기 그림

빨강은 운동신경, 파랑은 감각신경, 보라는 혼합신경

인터넷에 있는 그림들이 조금씩 다른 이유는 다르게 외우는 것 같아서 그런 것 같다. 나는 이렇게 외우는게 편해

[외우는 방법 : 숫자를 활용해 얼굴을 그리고 순서대로 외워본다.]

1번 후각신경 = 코를 그린다. 코는 1자니까 코=1 , 1번 신경 = 후각신경. 후각은 냄새를 맡는 감각이니까!! 감각신경임ㅎ

 

2번 시신경= 눈깔을 숫자 2로 눈깔 2개를 그린다. 눈알을 그렸으니까 시신경이다. 시각도 감각이므로 파란색 감각신경!

 

3번 동안신경은 눈꺼풀 모양을 숫자 3으로 그린다. 노진구 눈꺼풀이다.이 새기 안경 벗으니까 뵈는게 없어서 아침인지 저녁인지 구분도 못하고, 도라에몽 어딧는지 눈깔 굴리지도 못함. [암기끝!] ㅋㅋㅋㅋ동공 수축(운동)과 눈알 굴리기 (대부분의 안구 근육 지배 위,아래,안쪽) = 운동신경이군!! 3번! 노진구 눈꺼풀!! (눈꺼풀이라고 표현했지만 여러분 사실 안구운동만 해당함니다 착각 ㄴㄴ)

4번 활차신경은 양쪽 눈 안쪽에 눈꼽끼는 자리에 그려준다. 눈꼽처럼 그리는 이유는 눈 운동 중 아래쪽과 안쪽 (사상근)만 움직이는 신경이기 때문임. 님들 눈으로 아래와 안쪽을 봐보삼. 약간 사시 됨ㅎㅎ앗 !! 4번 ! 4시!!!

3번 동안신경과 4번 활차신경(활차는 도르래처럼 생긴 구조를 말하고 사시눈깔은 그냥 끝과 끝에서 사선으로 당기는게 아니라 도르래처럼 당겨져서 이름이 이런거임.) 알겠찌? 눈꼽=사시=4번=활차=도르래

5번은 닉값못하게 영어로도 트라이 tri+ 제미니 gemini 쌍둥이 같은 이라는 의미인데... 헉...!!! 트라이 3+쌍둥이 2=5번!!! 그렇군요!!! (일단 우겨라) 삼차 신경은 한자로도 삼차(三叉) 인데 이게 세 갈래로 갈라지는 모양이란다. 얼굴에 넓게~ 3가지로 뻗어져나감. 눈, 이마, 코 위쪽인 눈가지 1번, 위턱, 광대, 위 잇몸으로 뻗어나가는 위턱가지2번, 아래턱, 귀, 입, 씹는 근육 감각과 운동 담당인 3번 아래턱 가지 이렇게 나눠서 삼차신경임ㅇㅇ !! 그래서 숫자 5번을 ㅈㄴ 크게 그려서 얼굴처럼 맨들어놓은기라, 요약하면 이마, 광대, 턱임. 씹을 때 근육이 많이 필요하니까 넓게 퍼진 5번 삼차신경이 담당. (7번이랑 혼돈 xxxxx)

 

와 12개중에 벌써 5개를 외워버렸다!!!

6번부터는 우리 고양이 조교 아르키 등장

 

⚫ CN VI – 외전신경 (Abducens nerve)

  • 어원: abducere (멀리 당기다) → 눈을 바깥쪽으로 당김
  • 기능: 외직근(lateral rectus muscle) 지배 → 눈을 가쪽(abduction) 으로 움직임
  • 🔴 단일 근육 전담 신경
  • 기억팁:
    → 6번은 외쪽 전문! 외모에 집착해서 항상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체크함! 
  • 나는 그림을 속눈썹처럼 그려놨음ㅎㅎㅎ좀 내려도 될 듯?

CN VII – 안면신경 (Facial nerve)

  • 어원: facies = 얼굴
  • 기능:
    🔴 표정근(face muscles) 운동
    🔵 앞쪽 2/3 혀의 맛 감각 (chorda tympani)
    🟣 눈물샘, 침샘(타액 분비) 자율신경
  • 기억팁:
    → 7번은 "얼굴 표현 + 맛 + 눈물" 담당하는 감성적 신경
    → “웃고 울고 맛보는” 감정의 삼위일체
  • 사실 5번과 7번의 면적을 비교하면 5번이 더 넓은게 맞음. 근데 표정이 더 티나 확남. 사람의 얼굴을 봤을 땐 다른 사람눈엔 그 사람의 감각이 보이겠니? 아니면 표정이 더 잘 보이겟니? 표정이 더 잘 보이니까 7번을 더 크게 표현함 ㅇㅇㅋ 이마, 눈, 입 주변 다 쓰잖아. 그리고 신맛 느끼면 얼굴 표정 쑤레기, 침샘폭팔 되는것도 연관됨ㅎ   그리고 혀 앞 2/3 미각은 모든 맛을 다 느낄 수 있음. 7번은 표정과 맛, 침 담당! 5번은 얼굴 전체 감각과 씹기 운동!

CN VIII – 청각전정신경 (Vestibulocochlear nerve)

  • 어원: vestibule(전정기관, 평형) + cochlea(달팽이관, 청각)
  • 기능:
    🔵 청각 (cochlear)
    🟢 평형감각 (vestibular)
  • 기억팁:
    → 8번은 귀를 전담, 한쪽은 소리, 한쪽은 균형 → "귀 속 이중인격 신경" 
  • 부처님 귀 처럼 8자 모양으로 덜렁덜렁 그려주자. 

CN IX – 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 어원: glossa = 혀 + pharynx = 인두
  • 기능:
    🔵 혀 뒤 1/3의 맛 감각
    🔴 연하(삼킴) 관련 근육 (인두 상승근 stylopharyngeus)
    🟣 침샘(이하선) 분비
    ⚫ 혈압조절 (경동맥 소체 감지)
  • 기억팁:
    → 9번은 "맛보고 삼키고 압력까지 감지" 하는 멀티센서 신경
  • 혀 뒷쪽 1/3은 쓴맛이 느껴지고 구역질 반사 곳임. 그러니까 혀 앞에 손가락이 있는거랑 혀 깊숙히 손가락 넣는거랑 느낌이 다르제? 9번은 깊숙한 곳에 있음. 

⚫ CN X – 미주신경 (Vagus nerve)

  • 어원: vagus = 방랑자 (wanderer)
  • 기능:
    🟣 목~가슴배까지 자율신경 지배 (심장, 폐, 소화기 대부분)
    🔴 발성, 삼킴 (후두, 인두 일부 지배)
    🔵 내장 감각 전달
  • 기억팁:
    → “몸 안 방랑자
    → 얼굴에서 출발해 배까지 간 유일한 광역신경
  • 10번은 그림을 더 크게 그려야할 것 같다.

 

햇바닥 한 장면 요약

👅 혀를 세 등분해서 이렇게 기억하자!

  • 앞: VII – 안면신경 → 미각 귀공자 (맛만 느낌)
  • 중간: IX – 혀인두신경 → 맛과 감각 둘 다
  • 뒤: X – 미주신경 → 깊은 곳까지 커버

→ 감각신경의 릴레이처럼 이어진 구조임!

 

⚫ CN XI – 더부신경 (Accessory nerve)

  • 어원: accessory = 보조의, 부수적인
  • 기능:
    🔴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승모근(trapezius) 지배
    → 고개 돌리기, 어깨 으쓱이 가능
  • 기억팁:
    → "머리와 어깨의 근육 트레이너"
    → 11번은 자기 PR 강한 신경 → 고개 돌리고 어깨 으쓱ㅋㅋ (이건 너무 억지야)
  • 니 승모근 ㄹㅇ 굵어서 목 굵어보임. 11자임ㅎㅎㅎ 그리구 SCM ㅈㄴ 잘보임., 무슨 모양으로 ? 11자 모양으로 ㅎㅎㅎㅎ

⚫ CN XII – 설하신경 (Hypoglossal nerve)

  • 어원: hypo = 아래 + glossa = 혀 → 혀 아래에서 나옴
  • 기능:
    🔴 혀 근육 대부분의 운동 담당 (말하기, 씹기, 삼킴 보조)
  • 기억팁:
    → 12번은 “혀 근육 조련사”, 말하고 씹고 삼키는 데 필수
    혀를 내밀 때 삐뚤어지면 이 신경 이상 의심
  • 캐릭터들 마지막에 으앙 쥬금 . 혓바닥 내빌고 쥬금 ㅠㅠ 뇌신경 12번으로 끝남 ㅠㅠ 우우 쥬금 ㅠㅠㅠ

 

어때 다 외웠지?

그리고 또 틀리고 이거 또 보면 됨 ㅎㅎㅎ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