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운동처방론

[뇌성마비] 신장성 트레이닝이 필요한 이유

by 둔근해 2025. 5. 9.
반응형

뇌성마비 환자의 특별한 고려 사항 내용을 천천히 살펴보자.

한줄씩 뜯어서 의미를 이해해보자

 

📌 ACSM 뇌성마비환자 특별 고려사항 원문 정리

"뇌성마비 환자의 특별 고려사항으로 느린 수축 속도로 단축성 및 신장성 근수축을 수반한 전체 관절가동범위에 걸쳐 저항 운동을 수행해야 한다. 신장성 트레이닝은 동시수축을 줄이고 실제 회전력 발달을 개선할 수 있다."


⚫ 1. 왜 느린 속도(slow velocity)의 저항운동인가?

CP의 핵심 문제:

  • 운동조절 장애(motor control problem)
  • 특히 **속도에 따른 긴장도 변화(spasticity)**가 있어서
    👉 빠른 움직임을 하려 하면 근경련, 협응 실패, 비의도 수축이 발생함.

따라서,

  • 느린 수축 속도신경계가 움직임을 더 정교하게 통제할 시간을 줌.
  • 즉, 뇌가 근육 간 타이밍 조절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늘려주는 거임.

🔴 2. 단축성(concentric) + 신장성(eccentric) 수축을 전 범위(RoM)로 수행해야 하는 이유

✅ 단축성 수축(concentric):

  • 근육이 짧아지면서 힘을 내는 것.
    → CP 환자들은 의도적 움직임 생성이 약해서, 단축성 수축 훈련이 필요함.

✅ 신장성 수축(eccentric):

  • 근육이 늘어나면서 버티는 힘을 쓰는 거.
    → 신장성 수축은 중추신경계의 제어가 덜 필요하고, 작은 신경 유닛부터 동원되어 정밀한 제어가 쉬움.
    → 게다가 회전력(torque) 생성 능력이 더 큼. 즉, 작은 노력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전 관절가동범위(full RoM):

  • CP 환자는 관절 사용 범위가 자꾸 줄어들고 **근육 구축(contracture)**이 생기기 쉬움.
    전체 관절가동범위를 써주는 연습이 관절 기능 보존 + 스트레칭 효과를 줌.

🟣 3. 왜 신장성 트레이닝이 동시수축(co-contraction)을 줄여주는가?

❗ CP 환자의 특징:

  • **동시수축(co-contraction)**이 과다함 → 굴곡근과 신전근이 동시에 수축함.
    → 이유는 움직임을 안정시키려는 뇌의 보상 작용이야. 근데 이게 실제론 움직임을 더 어색하고 비효율적으로 만들지.

🧠 신장성 운동을 하면?

  • 근육이 길어지면서도 버티는 힘을 발휘해야 하므로, 뇌는 불필요한 길항근 수축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조절을 배움.
  • 즉, 움직임 시 근육 타이밍과 선택적 수축 능력(selective motor control)이 향상됨.

➡ 그래서 동시수축이 줄고, 움직임이 더 유연하고 효율적이 되는 거임.


🔴 4. 실제 회전력(torque) 발달에 도움이 되는 이유?

  • **신장성 수축은 같은 근육에서 더 큰 장력(force)**을 만들어냄.
  • 게다가 신경근 제어도 향상되기 때문에 운동 단위의 동원 효율도 개선됨.
  • 결과적으로, 관절에 작용하는 토크(torque) 생산 능력 = 실제 움직이는 힘이 향상됨.

즉, 단순히 '힘이 세진다'가 아니라, 쓸모 있는 방향으로 제대로 힘을 쓸 수 있게 되는 것.


✅ 한 문장 요약 공식:

CP 환자에게 느린 속도의 신장성 저항운동은, 불필요한 동시수축을 줄이고, 전체 관절 움직임을 되살리며, 실제 쓸모 있는 근육 힘(회전력)을 길러주는 효과적인 처방 전략이다.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