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운동처방프로그램

[우울증] 보상에 대한 민감도 감소로 인한 운동시 발생되는 문제점

by 둔근해 2025. 5. 8.
반응형

우울증 환자의 운동처방시 유의할 점은 보상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한다는 것.

우울증환자는 보상에 대한 민감도가 감소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리고 그로 인해 운동시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은 무엇이 있을까?

“Individual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ay have reduced sensitivity to reward, which can make it more difficult to adhere to a physical activity program.”
—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11th ed.


⚫ 이게 무슨 말이냐면?

🔵 1. **보상 민감도(reward sensitivity)**란?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할 때 즐거움·만족감·성취감 같은 ‘보상’을 느끼면,
그 행동을 **반복하려는 동기(motivation)**가 생기지.
이게 뇌의 **보상회로(reward circuit)**가 작동해서 그런 거야.
대표적인 신경전달물질은 **도파민(dopamine)**임.

🔴 그런데 우울장애가 있으면?

  • 도파민 회로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둔감해져 있음.
  • 즉, 운동을 하더라도
    → “기분 좋아지는 느낌이 안 듬”
    → “재미도 없고, 성취감도 없음”
    → 그래서 운동을 계속하려는 동기가 약해지는 것

🔸 실제 예시로 풀어보면?

예시 1: 걷기 프로그램 참여 사례

우울증이 있는 A씨는, 의사가 "매일 30분 걷기를 하면 기분이 나아질 수 있다"고 권유했어.
그런데 막상 걸어봐도 "별로 기분이 안 좋아지고", "힘만 빠지고", "뭘 해도 의미가 없어"라고 느껴.
그 결과, 운동 참여가 오래 유지되지 않고 중단되는 것.

예시 2: 피트니스 센터에서의 집단 운동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Zumba나 GX 프로그램 같은 집단 운동에 참여해도,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스트레스로 느껴지고,
운동이 끝난 뒤에도 도파민성 쾌감(‘와 재밌었다~’)이 잘 안 생김.
그래서 프로그램을 지속하지 못하고 중도에 포기할 확률이 높음.


🟢 운동처방에서의 실제 대응 전략

우울장애 대상자에게 운동을 설계할 때는 다음을 고려해야 함:

요소 전략
보상 둔감성 외부 보상을 먼저 제공 → 예: 스탬프 카드, 작은 선물, 칭찬 피드백
동기 저하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을 높이는 소목표 설정 → “10분만 해도 성공이야!”
사회적 스트레스 혼자 운동할 수 있는 환경 우선 제공 → 자연 걷기, 홈트레이닝 등
변화의 체감 어려움 기록, 시각화로 체감 유도 → 예: 운동 일지, 걸음 수 앱, Before/After 사진
 

✅ 한 줄 요약

우울장애가 있는 사람은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진다’는 보상 반응이 잘 안 생기기 때문에,
운동을 꾸준히 이어가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음.
따라서 인지행동적 접근, 작은 성공 경험, 외적 보상 도입 등이 병행되어야 함.


📢ai와 함께 작성하고, 주관적인 견해와 용어가 가미된 해설입니다.
📢암기를 위해 의식의 흐름인 서술형식으로 풀이를 써놓았습니다. 
📌운동생리학, 스포츠의학 최신판 교재를 활용, 구글 서칭을 이용한 풀이내용입니다.
💌 오류사항, 누가봐도 잘못된 내용, 지적 받습니다. 댓글 남겨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 클릭 부탁드립니다.

🍑by. 이하나의 둔근해가 떴습니다.

 

포스팅에 쿠팡 관련 링크가 삽입된 경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