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공부🟡/🏗운동처방프로그램

[자폐스펙트럼] 아동을 위한 운동치료, 무엇을 근거기반으로 할까?

by 둔근해 2025. 5. 8.
반응형

 

감각조절부터 사회성 향상까지, 과학적으로 입증된 운동중재 방법을 소개합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운동치료, ‘근거기반 중재’가 핵심입니다

무작정 뛰고 던지는 운동이 아닌, 효과가 입증된 운동만 써야 하는 이유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가진 아이들에게
운동은 단순한 체력 향상을 넘어 행동, 정서, 감각, 사회성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강력한 중재 도구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그냥 운동"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검증된 ‘근거기반 중재(Evidence-Based Intervention)’**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그럼 과연, 자폐 아동에게 효과적이라고 입증된 운동 방식은 무엇일까요?


🟢 근거기반 중재란 무엇인가요?

근거기반 중재란,
👉 실제 연구 결과와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가 입증된 방법만 골라서 적용하는 중재 방식입니다.

단순히 “공을 던져보자”, “스트레칭하자”가 아니라
“이 운동은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 활동은 감각 조절 능력을 키운다”는 연구 기반의 접근인 거죠.

자폐 아동에게 운동을 지도할 때도, 이런 검증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 실제로 쓰이는 ‘근거기반 운동중재’ 3가지


✅ 1. 구조화된 운동 프로그램

예측 가능한 운동 루틴으로 참여도와 안정감을 높여줍니다

✔ 어떤 방법인가요?

  • 매번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 운동 루틴 구성
  • 시작-중간-마무리가 정해져 있어서 아이가 예측 가능하게 참여할 수 있어요.

✔ 예시로는?

  • 매주 30분 수업:
    ① 준비운동 → ② 목표 동작 (균형·협응) → ③ 마무리 스트레칭
  • 시간, 순서, 장소가 항상 동일하게 진행돼야 효과가 큽니다.

✔ 왜 효과적일까?
연구에 따르면,
구조화된 운동 환경은 자폐 아동의 불안을 줄이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며,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an CY, 2010; Lang et al., 2010)


✅ 2. 감각통합 기반 운동

불균형한 감각처리를 조절하고 정서적 안정을 유도합니다

✔ 어떤 방법인가요?
자폐 아동은 감각 과민 또는 둔감한 경향이 있어요.
이를 조절하기 위한 전정계(평형감각), 고유감각 자극 운동이 핵심입니다.

✔ 예시로는?

  • 트램폴린 점프
  • 스윙(그네) 타기
  • 균형보드 위에서 걷기

✔ 왜 효과적일까?
이런 활동은 감각 정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불안, 과잉행동, 감정 폭발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어요.
(Schaaf & Nightlinger, 2007)


✅ 3. 협동적 신체활동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어떤 방법인가요?
혼자 하는 운동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활동을 통해
👉 눈 맞추기, 차례 기다리기, 규칙 따르기, 말 걸기 같은 기술을 훈련하는 전략입니다.

✔ 예시로는?

  • 공 던지기/받기 게임
  • 짝을 이뤄 하는 릴레이
  • 역할 나눠서 진행하는 팀 게임

✔ 왜 효과적일까?
신체활동을 통해 반복적으로 사회적 상황을 경험하면
자폐 아동의 **공동 주의(joint attention)**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고돼 있어요.
(Bremer et al., 2016)


✅ 마무리하며

운동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단순한 신체 활동을 넘어 감각, 감정, 사회성까지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아무 운동이나 해서는 안 됩니다.
효과가 입증된 근거기반 중재를 적용해야 진짜 변화를 만들 수 있어요.

구조화된 수업 루틴, 감각 통합 운동, 협동적 활동.
이 3가지는 자폐 운동중재의 기본 골격이자 필수 전략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