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스언더스탠딩 포인트
산소 10개가 들어와서(동맥), 말초에서 7개를 쓰고, 남아 돌아오는게 3개(정맥)라면, 동정맥 산소차는 3개이다 ?
삐빅- 정답은 7임.
🍔 햄버거 배달로 배우는 동정맥산소차(a-vO₂ difference)
운동생리학에서 자주 나오는 어려운 개념,
동정맥산소차는 사실 이렇게 쉽게 이해할 수 있어!
✅ 개념 한 줄 요약
“몸이 산소를 얼마나 쓰고 돌려보냈는지를 보는 차이”
→ ‘많이 써서 남은 게 적으면’ → 차이가 커!
🛵 햄버거 배달 비유
우리 몸은 산소를 실어 나르는 배달기사라고 생각해봐.
몸 구석구석(=손님)에게 산소(=햄버거)를 배달하는 거지!
🟢 정상인 = 배달 많이, 손님은 적게 먹음
- 🛵 배달 갈 때 햄버거 12개 들고 감
- 🍽 손님이 6개만 먹고, 6개는 안 먹음
- ↘ 돌아올 때 가방에 6개 남아있음
- ➡️ 햄버거차 = 12 - 6 = 6
→ 손님(말초)이 산소 6만 사용 → a-vO₂차 = 6
🔴 심장이식 환자 = 배달 적게, 손님은 많이 먹음
- 🛵 배달 갈 때 햄버거 9개밖에 못 들고 감 (심장이 약해서)
- 🍽 손님이 8개나 먹음! (말초에서 더 열심히 사용)
- ↘ 돌아올 때 가방에 1개만 남음
- ➡️ 햄버거차 = 9 - 1 = 8
→ 손님이 산소 8 사용 → a-vO₂차 = 8
🧠 핵심 포인트 정리
- 동정맥산소차(a-vO₂차) =
산소를 실어 나를 때 양 - 말초에서 다 쓰고 남은 양 - 남은 게 적을수록 → 더 많이 썼다는 뜻 → 차이가 크다!
🔑 정리 문장
“배달은 적게, 손님은 싹쓸이 → 동정맥산소차는 커진다!”
→ 이게 바로 심장이식환자의 운동 생리 반응!
그래서 심장이식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동정맥산소차가 크다. (0)
근데 동정맥산소차는 절대량을 묻는 문제임.
만약에 숫자가 병신같이 나왔다고 해보자
📌 상황
구분 | 들이마신 산소(동맥) | 말초에서 사용한 산소(정맥) | 남은 산소 | a-vO₂차 계산 = 동 - 정 |
정상인 | 10 | 5 | 5 | 10 - 5 = 5 |
심장이식환자 | 7 | 5 | 2 | 7 - 2 = 5 |
✅ 여기서 주인쟝 질문:
둘 다 5만큼 사용했으면, 누가 산소차가 더 크다고 말할 수 있는 거야?
→ 답: 둘 다 a-vO₂차는 "같다!" → 동정맥산소차는 "절대량 기준"이기 때문!
🧠 중요한 포인트
- a-vO₂차는 ‘몇 개를 사용했는가’의 절대량 차이를 말하는 거야
→ 비율이나 상대적인 퍼센트가 아니라, 그냥 “숫자 차이”!
💡 그렇다면 “누가 더 효율적이냐?”를 따질 땐?
이런 경우엔 a-vO₂차의 절대값은 같지만,
**산소 활용 비율(%)**을 보면 심장이식환자 쪽이 더 효율적으로 뽑아 쓴 거야.
구분 | 사용률 = 사용량/공급량(%) |
정상인 | 5 / 10 = 50% 사용 |
심장이식환자 | 5 / 7 = 71.4% 사용 |
→ 즉, **말초가 더 “빡세게 짜서 써먹은 쪽은 이식환자”**지!
🧠 요약
- a-vO₂ 차는 절대 차이로 계산 → 둘 다 5면 a-vO₂차는 같음!
- 그러나 산소 활용률로 보면, 이식환자가 더 효율적
(적게 받고 더 많이 써먹음)
🔑 찐정리 문장
a-vO₂차는 “몸이 공급받은 산소에서 말초조직이 실제로 얼마나 사용했는지를 반영”
“많이 사용하면 → 정맥에 남은 게 줄어들고 → 차이는 커진다”는 논리
a-vO₂차는 사용량의 차이!
효율은 비율로 따진다!
→ 산소를 많이 써도 퍼센트로 누가 더 잘 썼는지는 따로 봐야 해!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 🏃♂️운동부하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1) | 2025.05.03 |
---|---|
노인의 운동부하검사 특징 : 왜 민감도는 높고, 특이도는 낮은가? (0) | 2025.05.03 |
정상인 vs 폐질환자 '동맥혈산소포화도' 차이 수준 ㄷㄷ (1) | 2025.04.27 |
운동시 맥박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한 손가락 -> 귓볼, 이마 변경 이유 (0) | 2025.04.27 |
심장이식을 준비하는 고위험 만성 심부전 환자와 호흡가스측정의 관계 (1) | 2025.04.27 |
[운동부하검사] ACSM 혈압관련 정리 (0) | 2025.04.21 |
[운동부하검사] 심전도(EKG) 외에 영상의학적 검사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와 이유 설명 (0) | 2025.04.13 |
[운동부하검사] COPD 예측에 사용되는 호흡가스 지표 정리 (0) | 2025.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