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① 환기당량 (V̇E / V̇O₂)
- 의미: 산소 1L를 섭취하기 위해 필요한 환기량 (리터/리터)
- 특징: 호흡의 효율성을 나타냄.
- COPD 환자에서는 산소섭취 대비 과도한 환기가 일어나 V̇E/V̇O₂ 값이 증가함.
- 📌 예시: 건강한 사람은 V̇E/V̇O₂ ≒ 25, COPD 환자는 3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환기량(V̇E)은 1회 호흡량(V̇T)에 호흡수(f)를 곱한 값으로, 분당 전체 환기량을 뜻함”
산소 1리터를 쓰기 위해 너무 많은 양의 공기를 들이마셔야 하는 상태를 '과도한 환기'라함. 환기당량이 상승했다는 뜻은 똑같은 산소를 쓰는데 더 많은 공기를 몸에 집어 넣어야 한다는 뜻. 효율이 빵꾸니까 COPD 환자들의 환기당량은 쓸데없이 높다.
그럼 헐떡이는거임? 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ㄴㄴ 걍 수치가 높은거.
② 환기예비량지수 (V̇E / MVV)
- 의미: 현재 환기량(V̇E)이 최대의지성환기량(MVV) 대비 얼마나 되는지 (%)
- 특징: 호흡 여유의 정도를 나타냄. 값이 클수록 여유가 적음
- COPD 환자에서는 운동 중 V̇E가 MVV에 근접함 → 값 증가 .
- 📌 예시: 건강인 50 ~ 60%, COPD는 80 ~ 90%까지 올라감. 숫자가 클수록 숨 쉴 여유가 없다는 뜻임. 환기예비량이라고 해서 예비니까 여유공간이 많다는 뜻인가? 오해할 수 있는데 COPD 환자는 이미 숨이 찬 상태에서 더 못 쉬는 상태라는 뜻에 가까움. 그래서 환기예비량지수는 정산인은 낮고, COPD 환자는 높음.
- 운동중에 정상인은 숨 10번 중 5번만 쉬고도 괜찮은데, COPD 환자는 10번 다 쉬고도 더 숨 쉬기 힘들어함.
③ 1회 호흡량에 대한 환기량 (V̇T / V̇E)
- 의미: 전체 환기 중 실제 1회 호흡당 차지하는 비율
- 특징: 호흡 패턴의 깊이를 나타냄 → 비정상적 호흡에서는 이 비율이 낮아짐
- COPD 환자는 얕은 호흡을 자주 하기 때문에 V̇T/V̇E 비율이 낮음
- 📌 예시: 정상인 > 0.4, COPD 환자 < 0.3
④ 생리적 사강 비율 (V̇D / V̇T)
- 의미: 들이마신 공기 중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공기의 비율
- 특징: 폐포 손상 및 폐관류 이상이 있을 경우 증가함
- COPD 환자에서는 비효율적인 폐환기로 인해 V̇D/V̇T 증가
- 📌 예시: 정상인 ≒ 0.3, COPD 환자 > 0.4
✍ 한 줄 요약
COPD는 산소당 환기량↑, 호흡 여유↓, 얕은 호흡↑, 사강비율↑로 나타남!
🎯 암기 팁
"COPD는 호흡이 낭비되고 여유가 없다!" 😤
- V̇E/V̇O₂ ↑ → 산소당 환기 낭비
- V̇E/MVV ↑ → 환기 여유 없음
- V̇T/V̇E ↓ → 얕고 자주 쉬는 호흡
- V̇D/V̇T ↑ → 사강 증가로 비효율
📊 정상인 vs COPD 환자 호흡가스 지표 비교표
지표정상인 수치 경향COPD 환자 수치 경향해석 요약
지표 | 정상인 수치 경향 | COPD 환자 수치 경향 | 해석 요약 (COPD 환자 기준) |
V̇E / V̇O₂ 환기당량 | 낮음 (~25) | 높음 (~35 이상) | 산소 1L당 환기량이 많아져 비효율 ↑ |
V̇E / MVV 환기예비량지수 | 낮음 (50~60%) | 높음 (80~90%) | 최대 환기 대비 여유는 없어 수치는 높다^^; |
V̇T / V̇E1 1회흡량에 대한 환기량 | 높음 (>0.4) | 낮음 (<0.3) | 얕은게 쉬고 자주 쉰다. |
V̇D / V̇T 생리적 사강 비율 | 낮음 (~0.3) | 높음 (>0.4) | 사강 증가 → 가스교환 비효율 ↑ |
정상인 기준으로 외우세요. COPD 환자는 항상 비효율적 방향으로 바꾸면 되니까,
담배 끄늡시다
반응형
'🔴건강운동관리사🔴 > 🏃♂️운동부하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기팁] 증상제한 최대운동검사의 절대적/상대적 금기사항 8개 암기방법 (1) | 2025.05.03 |
---|---|
노인의 운동부하검사 특징 : 왜 민감도는 높고, 특이도는 낮은가? (0) | 2025.05.03 |
정상인 vs 폐질환자 '동맥혈산소포화도' 차이 수준 ㄷㄷ (1) | 2025.04.27 |
운동시 맥박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한 손가락 -> 귓볼, 이마 변경 이유 (0) | 2025.04.27 |
심장이식을 준비하는 고위험 만성 심부전 환자와 호흡가스측정의 관계 (1) | 2025.04.27 |
[운동부하검사] ACSM 혈압관련 정리 (0) | 2025.04.21 |
[운동부하검사] 심전도(EKG) 외에 영상의학적 검사가 추가로 필요한 경우와 이유 설명 (0) | 2025.04.13 |
[운동부하검사] 햄최몇으로 알아보는 동정맥산소차의 개념 (0) | 2025.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