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운동관리사🔴/🏃‍♂️운동부하검사

[운동부하검사] COPD 예측에 사용되는 호흡가스 지표 정리

by 둔근해 2025. 4. 12.
반응형

 

① 환기당량 (V̇E / V̇O₂)

  • 의미: 산소 1L를 섭취하기 위해 필요한 환기량 (리터/리터)
  • 특징: 호흡의 효율성을 나타냄.
  • COPD 환자에서는 산소섭취 대비 과도한 환기가 일어나 V̇E/V̇O₂ 값이 증가함.
  • 📌 예시: 건강한 사람은 V̇E/V̇O₂ ≒ 25, COPD 환자는 3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남

💡 “환기량(V̇E)은 1회 호흡량(V̇T)에 호흡수(f)를 곱한 값으로, 분당 전체 환기량을 뜻함”

산소 1리터를 쓰기 위해 너무 많은 양의 공기를 들이마셔야 하는 상태를 '과도한 환기'라함.  환기당량이 상승했다는 뜻은 똑같은 산소를 쓰는데 더 많은 공기를 몸에 집어 넣어야 한다는 뜻. 효율이 빵꾸니까 COPD 환자들의 환기당량은 쓸데없이 높다. 

그럼 헐떡이는거임? 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ㄴㄴ 걍 수치가 높은거.

 

② 환기예비량지수 (V̇E / MVV)

  • 의미: 현재 환기량(V̇E)이 최대의지성환기량(MVV) 대비 얼마나 되는지 (%)
  • 특징: 호흡 여유의 정도를 나타냄. 값이 클수록 여유가 적음
  • COPD 환자에서는 운동 중 V̇E가 MVV에 근접함 → 값 증가 . 
  • 📌 예시: 건강인 50 ~ 60%, COPD는 80 ~ 90%까지 올라감. 숫자가 클수록 숨 쉴 여유가 없다는 뜻임. 환기예비량이라고 해서 예비니까 여유공간이 많다는 뜻인가? 오해할 수 있는데 COPD 환자는 이미 숨이 찬 상태에서 더 못 쉬는 상태라는 뜻에 가까움. 그래서 환기예비량지수는 정산인은 낮고, COPD 환자는 높음. 
  • 운동중에 정상인은 숨 10번 중 5번만 쉬고도 괜찮은데, COPD 환자는 10번 다 쉬고도 더 숨 쉬기 힘들어함. 

 

③ 1회 호흡량에 대한 환기량 (V̇T / V̇E)

  • 의미: 전체 환기 중 실제 1회 호흡당 차지하는 비율
  • 특징: 호흡 패턴의 깊이를 나타냄 → 비정상적 호흡에서는 이 비율이 낮아짐
  • COPD 환자는 얕은 호흡을 자주 하기 때문에 V̇T/V̇E 비율이 낮음
  • 📌 예시: 정상인 > 0.4, COPD 환자 < 0.3

 

④ 생리적 사강 비율 (V̇D / V̇T)

  • 의미: 들이마신 공기 중 가스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공기의 비율
  • 특징: 폐포 손상 및 폐관류 이상이 있을 경우 증가함
  • COPD 환자에서는 비효율적인 폐환기로 인해 V̇D/V̇T 증가
  • 📌 예시: 정상인 ≒ 0.3, COPD 환자 > 0.4

 

 

✍ 한 줄 요약

COPD는 산소당 환기량↑, 호흡 여유↓, 얕은 호흡↑, 사강비율↑로 나타남!


🎯 암기 팁

"COPD는 호흡이 낭비되고 여유가 없다!" 😤

  • V̇E/V̇O₂ ↑ → 산소당 환기 낭비
  • V̇E/MVV ↑ → 환기 여유 없음
  • V̇T/V̇E ↓ → 얕고 자주 쉬는 호흡
  • V̇D/V̇T ↑ → 사강 증가로 비효율

 

📊 정상인 vs COPD 환자 호흡가스 지표 비교표

지표정상인 수치 경향COPD 환자 수치 경향해석 요약

지표  정상인 수치 경향 COPD 환자 수치 경향 해석 요약 (COPD 환자 기준)
V̇E / V̇O₂ 환기당량 낮음 (~25) 높음 (~35 이상) 산소 1L당 환기량이 많아져 비효율 ↑
V̇E / MVV 환기예비량지수 낮음 (50~60%) 높음 (80~90%) 최대 환기 대비 여유는 없어 수치는 높다^^;
V̇T / V̇E1 1회흡량에 대한 환기량 높음 (>0.4) 낮음 (<0.3) 얕은게 쉬고 자주 쉰다. 
V̇D / V̇T 생리적 사강 비율 낮음 (~0.3) 높음 (>0.4) 사강 증가 → 가스교환 비효율 ↑

정상인 기준으로 외우세요. COPD 환자는 항상 비효율적 방향으로 바꾸면 되니까, 

담배 끄늡시다

 

 

 

 

반응형

댓글